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성(師聲) - 이맹현(李孟賢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재령(載寧). 울진 현령(蔚珍縣令) 이애(李璦)ㆍ직장(直長) 이날(李㻋)의 아버지로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지내고, 1464년(세조 10) 수찬낭관(修撰郞官)으로 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편수에 참여함.
1436~14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성(思省) - 권협(權悏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동지중추부사 권상(權常)의 아들.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고,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고급사(告急使)로 명(明) 나라에 가서 원병을 청함.
1553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부평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성(思誠) - 권시(權諰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예조 좌랑(禮曹佐郞)을 지낸 권득기(權得己)의 아들. 잠야(潛冶) 박지계(朴知誡)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, 송시열(宋時烈)과 같은 기호학파(畿湖學派)로서 예론(禮論)에 밝았음.
1604~1672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성(思誠)@맹사성 - 맹사성(孟思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. 세종 때 우의정․좌의정 등을 지내고, 황희(黃喜)와 함께 조선 전기 문화창달에 크게 기여함. 《태종실록(太宗實錄)》ㆍ《팔도지리지(八道地理志)》를 편찬하고, 향악(鄕樂)을 정리함.
1360~1438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성군(泗城君) - 목인길(睦仁吉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무신. 기철(奇轍) 일당을 제거하여 1등 공신에 책봉되고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을 물리쳐 공을 세웠으나, 모반을 꾀한다는 무고로 유배 가서 죽음.
?~138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사천 , 인명>관인>무신
-
사소(士昭) - 유잠(柳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1540년(중종 35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손(思遜) - 심사손(沈思遜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좌의정(左議政)을 지낸 심정(沈貞)의 아들로, 평안도 만포(滿浦)에서 변방방어에 힘쓰던 중 야인(野人)의 기습으로 죽음.
1493~152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솔간(史窣干) - 사사명(史思明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무신. 안녹산(安祿山)과 동향 출신으로, 그가 반란을 일으키자 가세함. 안녹산이 피살된 후 당에 투항하였으나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가 결국 아들인 사조의(史朝義)에게 피살됨.
?~76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사수(四叟) - 상산사호(商山四皓)
중국 진(秦)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(商山)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. 동원공(東園公)ㆍ하황공(夏黃公)ㆍ녹리선생(甪里先生)ㆍ기리계(綺里季)를 이름.
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사수(士受)@기대정 - 기대정(奇大鼎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음보(蔭補)로 강릉 참봉(康陵參奉)이 되었고, 품계를 뛰어 넘어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과 장령(掌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수(士受) - 오수채(吳遂采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병조 판서를 지낸 오도일(吳道一)의 아들이며 윤증(尹拯)의 문인으로, 대사헌을 지냄. 이돈(李墪)ㆍ엄집(嚴緝)이 증편한 《송도지(松都誌)》를 보완하여 1757년(영조 33)에 《속지(續志)》 1권을 펴냄.
1692~1759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수(士秀) - 김여물(金汝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찰방(察訪) 김훈(金壎)의 아들로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충주(忠州)에서 왜적과 싸우다 순절함. 뒤에 영의정(領議政)으로 추증됨.
1548~159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수(士秀)@조사수 - 조사수(趙士秀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조방좌(趙邦佐)의 아들로, 육조(六曹)의 판서(判書)를 거쳐 의정부 좌참찬(議政府左參贊)을 지냄.
1502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수(士秀)@남영 - 남영(南嶸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의관ㆍ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남예석(南禮錫)의 아들. 유성룡(柳成龍)의 천거로 벼슬하여 선조 때 어의(御醫)를 지냈으며, 광해군 때 음죽 현감(陰竹縣監) 등을 지냄.
1548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문경 , 인명>기술인>의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수(士綏) - 홍순복(洪順福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석복(洪碩福)의 형이고 김식(金湜)의 문인으로, 기묘명현(己卯名賢)의 한 사람. 기묘사화 때 성균관 유생들과 함께 대궐문을 막고 저항하였다가 이듬해 이신(李信)의 밀고로 붙잡혀 사사됨.
1492~152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수(士遂) - 임형수(林亨秀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택(平澤). 호당(湖堂)에 있을 때 이황(李滉)ㆍ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이 일어나자 대윤(大尹) 일파로 몰려 사사(賜死)됨.
1504~154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수(師秀) - 김사수(金師秀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귀년(金龜年)의 아들로, 음관(蔭官)으로 출사하여 회덕 현감(懷德縣監) 등을 역임함.
1490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수(沙水) - 사류하(沙流河)
중국 하북성(河北省) 당곡산(黨谷山) 아래에서 발원하여, 양산구(兩山口)를 지나 서남으로 흘러 환향하(還鄕河)에 들어가는 하천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사수(泗水)@공자 - 공자(孔子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ㆍ학자. 유학(儒學)의 개조(開祖). 노 나라에서 대사구(大司寇)를 지내고, 자신의 정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해 열국(列國)을 주유했지만 끝내 채용되지 못하자 후진교육과 저술활동에 전념함.
B.C.552~B.C.479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
-
사수(泗水)@사천 - 사천(泗川)
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한려수도(閑麗水道)의 중심 기항지이며, 서부경남(西部慶南)의 관문(關門)임.
경상도>사천 , 지명>행정지명