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구한(具澣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부마ㆍ문신. 중종의 딸 숙정옹주(淑靜翁主)와 결혼하여 능창위(綾昌尉)에 봉해졌으며, 명종의 즉위에 공을 세워 위사원종공신(衛社原從功臣)에 책록됨. 사옹원 제조(司饔院提調)를 지냄. 35세로 요절함.
1524~155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구형왕(仇衡王)
금관가야(金官伽倻)의 제10대 왕. 재위 521~532. 신라(新羅)의 귀족 김서현(金舒玄)의 조부. 532년(법흥왕 19) 신라에 항복하여 상등(上等)의 벼슬과 본국을 식읍(食邑)으로 받음.
한국>가야ㅣ한국>신라 , 경상도>김해 , 인명>왕실>국왕
-
구효연(具孝淵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으로, 내자시 직장(內資寺直長) 구징(具徵)의 아들. 1561년(명종 16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횡성 현감(橫城縣監)ㆍ장단 부사(長湍府使) 등을 지냄.
1526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구후(九侯)
중국 은(殷) 나라 주왕(紂王) 때의 제후(諸侯). 악후(鄂侯)와 더불어 주왕의 비행을 간하여 악후는 포(脯)를 뜨는 형벌을 받고, 구후는 젓을 담그는 형벌을 받음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집단>기타집단
-
구희경(具希璟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능천부원군(綾川府院君) 구수영(具壽永)의 아들이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를 지낸 신수겸(愼守謙)의 사위로, 경기좌도 수운판관(京畿左道水運判官)ㆍ영유 현령(永柔縣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무신
-
구희직(歐希稷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 때의 문신. 행인사 행인(行人司行人)으로 태감(太監)인 장조(張朝)와 더불어 조선에 사신으로 와서 제전(祭奠)과 시호(諡號) 및 부의(賻儀)를 전달함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국간집(菊磵集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 국간(菊磵) 윤현(尹鉉)의 문집. 종질(從姪) 윤안성(尹安性)이 3권 2책으로 정리 간행함.
1591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국담(菊潭)
중국 남양(南陽) 역현(酈縣)에 있는 샘 이름. 이 샘의 물을 마시는 사람은 모두 장수하였다고 함. 송(宋) 나라 사정지(史正志)의 《국보서(菊譜序)》에 기록이 전함.
중국 , 유적>기타유적
-
국당유고(菊堂遺稿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문신ㆍ학자인 국당(菊堂) 박흥생(朴興生)의 문집. 1888년(고종 25)에 후손에 의해 간행됨.
188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국미록(麴美祿)
술의 다른 이름. 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(崔演)이 지은 가전(假傳) 〈국수재전(麴秀才傳)〉의 주인공. 국매(麴酶)와 곡숙현 미씨(穀熟縣米氏)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얻어 황봉(黃封)의 호를 받았으나, 신하들의 무함(誣陷)으로 주천후(酒泉侯)에 봉해져 은둔함.
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국사제강(國史提綱)
조선 후기에 편찬된 역사서. 1책. 필사본. 조선 태조(太祖)부터 숙종(肅宗) 말년까지의 사실을 엮은 것으로, 저자나 간행연대가 불분명함. 《허암유집(虛庵遺集)》 속집(續集)에 보임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국생(麴生)
술의 의인화된 명칭. 누룩[麴]을 원료로 하여 만드는 술에 학생ㆍ학자를 뜻하는 생(生) 자를 붙여 입전(立傳)한 데서 유래한 명칭.
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국선생전(麴先生傳)
고려 고종(高宗) 때 이규보(李奎報)가 지은 가전체 설화(假傳體說話). 술의 재료인 누룩[麴] 등을 의인화하여 당시의 문란한 정치ㆍ사회상을 비판함.
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작품명
-
국성(麴聖)
술의 다른 이름. 고려 후기의 문인 이규보(李奎報)가 지은 가전(假傳) 〈국선생전(麴先生傳)〉의 주인공. 아버지 국차(麴醝)와 어머니 곡씨(穀氏) 사이에 태어나 임금의 총애를 받아 주객 낭중(主客郞中)을 지내고, 난을 평정한 공으로 상동후(湘東侯)에 봉해짐.
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국수재전(麴秀才傳)
조선 전기의 문인 최연(崔演)이 지은 술을 의인화한 가전(假傳). 주인공 국미록(麴美祿)이 임금의 총애를 얻어 출세했으나, 신하들의 무함(誣陷)으로 주천후(酒泉侯)에 봉해져 은둔했다는 내용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작품명
-
국순(麴醇)
술의 다른 이름. 고려 후기의 문인 임춘(林椿)이 지은 가전(假傳) 〈국순전(麴醇傳)〉의 주인공. 국주(麴酎)의 아들로 태어나 임금의 깊은 총애를 얻어 중산후(中山侯)에 봉해지고 권세를 누렸으나, 치사(致仕)하고 나서 갑자기 죽음.
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국순전(麴醇傳)
고려 고종(高宗) 때 문인 서하(西河) 임춘(林椿)이 지은 가전체 설화(假傳體說話). 술을 의인화(擬人化)하여 교훈적으로 풍자한 작품.
한국>고려후기 , 문헌>작품명
-
국어(國語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학자인 좌구명(左丘明)이 지었다고 전하는 책. 춘추시대의 역사를 각 국가별로 나누어 주어(周語)ㆍ노어(魯語) 등 8개국의 기사를 적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국어해고(國語解詁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학자 가규(賈逵)가 저술한 책. 영평 연간(永平年間)에 저술하여 명제(明帝)에게 헌상함.
중국>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국자감(國子監)
고려시대에 유학을 가르치던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. 992년(성종 11)에 종래의 국학(國學)을 당ㆍ송(唐宋)의 제도를 참작하여 정식 교육기관으로 개편하고, 국자학ㆍ태학ㆍ사문학ㆍ율학ㆍ서학ㆍ산학 등의 전문 학과를 둠.
992 한국>고려시대 , 경기도>개성 , 법제>관청