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아(士雅)@이희징 - 이희징(李希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생원(生員) 이계근(李繼根)의 아들. 1513년(중종 8년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아(士雅)@이숙문 - 이숙문(李淑文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윤식(李允植)의 아들로, 1460년(세조 6년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였으며, 사간(司諫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아(士雅)@이승언 - 이승언(李承彦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김굉필(金宏弼)과 함께 김종직(金宗直)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, 한성부 참군(漢城府參軍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악(師諤) - 김사악(金師諤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하였으며,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김안국의 증시(贈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안(士安)@강사안 - 강사안(姜士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강온(姜溫)의 아들로, 강호(姜滸)에게 출계(出系)함. 예문관 봉교(藝文館奉敎)ㆍ병조 정랑(兵曹正郞) 등을 지냄.
1523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안(士安) - 권질(權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장인. 신사무옥(辛巳誣獄)으로 사림파가 쫓겨날 때 아우 권전(權磌)이 장살(杖殺)되면서 그도 예안(禮安)으로 유배되었음.
1483~154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안(士安)@황보밀 - 황보밀(皇甫謐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. 집안이 빈한하여 고학으로 제자백가(諸子百家)를 섭렵하고 많은 저서를 남겼는데, 특히 침구학(鍼灸學)에 심취하여 《황제삼부침구갑을경(黃帝三部針灸甲乙經)》등을 저술함.
215~28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사안(士安)@이녕 - 이녕(李寧)@조선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 이보(李𥙷)의 넷째 아들이며, 군자감 주부(軍資監主簿) 김중행(金仲行)의 사위.
1418~147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사안(士安)@주이 - 주이(周怡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주세귀(周世龜)의 아들로, 1546년(명종 1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고 도사(都事) 등을 지냄. 타고난 성품과 거동이 훌륭하여 신선 같다는 평을 들음.
1515~15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안(士安)@협사안 - 협사안(郟士安)
중국 원(元) 나라 말기의 문인. 정몽주(鄭夢周)가 사(辭)를 보냄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사안(師顔) - 김경우(金景愚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전한(典翰)을 지낸 김기(金紀)의 아들이며, 김식(金湜)의 문인(門人).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지냈으며, 기대승(奇大升)ㆍ김인후(金麟厚)ㆍ양응정(梁應鼎) 등과 시회(詩會)를 만들어 교유함.
1517~155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안(思安) - 이사안(李思安)
고려 후기의 문신. 춘곡(春谷) 정탁(鄭擢)의 장인으로, 삼중대광(三重大匡)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안(思顔) - 구사안(具思顔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부마. 중종의 셋째 딸 효순공주(孝順公主)를 맞아 능원위(綾原尉)에 봉해졌으며, 을사사화(乙巳士禍)에 공을 세워 위사 원종공신(衛社原從功臣)에 책록됨. 학문을 즐겨 많은 책을 수집하였으며 경사(經史)에 밝았음.
1523~156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인척
-
사암(俟菴) - 정약용(丁若鏞)
조선 정조(正祖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유형원(柳馨遠)ㆍ이익(李瀷)의 학문과 사상을 계승하여 조선 후기 실학(實學)을 집대성함. 주자(朱子) 성리학(性理學)의 공리공담을 배격하고 봉건제도의 폐해를 개혁하려는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함.
1762~18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강진ㅣ경기도>광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암(徙庵) - 노관(盧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신고당(信古堂) 노우명(盧友明)의 아들로,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낸 노진(盧禛)의 동생. 강익(姜翼)ㆍ김우옹(金宇顒) 등과 교유함.
1522~15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암(徙菴) - 노관(盧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신고당(信古堂) 노우명(盧友明)의 아들로, 예조 판서(禮曹判書)를 지낸 노진(盧禛)의 동생. 강익(姜翼)ㆍ김우옹(金宇顒) 등과 교유함.
1522~15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암(思庵)@정대년 - 정대년(鄭大年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예문관 검열(藝文館檢閱) 정전(鄭荃)의 아들. 1532년(중종 27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ㆍ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등을 지냄.
1503~157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암(思庵) - 김일손(金馹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김해(金海). 스승인 김종직(金宗直)이 쓴 조의제문(弔義帝文)을 실록(實錄)에 기재한 일로 인해 훈구파(勳舊派)의 미움을 사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사형당함.
1464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청도ㅣ경상도>밀양ㅣ경기도>용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암(思庵)@오눌 - 오눌(吳訥)
중국 명(明) 나라 인종(仁宗)~영종(英宗) 때의 문신. 벼슬은 우부도어사(右副都御史)를 역임하였고, 저서로는 《소학집해(小學集解)》가 있음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암(思庵)@양흔 - 양흔(梁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양희(梁喜)의 형. 오건(吳健)ㆍ노진(盧禛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