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언(士彦) - 안방준(安邦俊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죽산(竹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등 국난을 당할 때마다 의병을 일으켜 항쟁함. 관직을 여러 번 제수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보성(寶城) 우산(牛山)에 들어가 후진 양성에 전념함.
1573~165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언(士彦)@안사언 - 안사언(安士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안자흠(安子欽)의 아들로, 1522년(중종 17) 식년시(式年試)에 문과(文科)급제하여 이조 좌랑(吏曹佐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언(士彦)@방한걸 - 방한걸(房漢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양(南陽). 방귀화(房貴和)의 아들이며, 인조(仁祖) 때 직강(直講)을 지낸 방원정(房元井)의 조부. 《소재집(穌齋集)》에 그의 묘갈명(墓碣銘)이 있음.
1482~1529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언(士彦)@허사언 - 허사언(許士彦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진사(進士) 허찬(許瓚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언(士彦)@이사언 - 이사언(李士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청백리(淸白吏) 이우직(李友直)의 아버지로, 순릉 참봉(順陵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여(史汝) - 조야(趙埜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함안(咸安). 생육신(生六臣)인 조려(趙旅)의 《어계집(漁溪集)》 간행에 참여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역(士役) - 송제민(宋齊民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의병장. 본관은 홍주(洪州). 교서관 정자(校書館正字) 송정황(宋庭篁)의 아들이고 토정(土亭) 이지함(李之菡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장으로 활약하고, 저서로 《와신기사(臥薪記事)》ㆍ《해광집(海狂集)》이 있음.
1549~160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
-
사연(士淵) - 민통수(閔通洙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좌의정 민진원(閔鎭遠)의 아들. 노론계의 집안 출신으로 영조(英祖)의 탕평책(蕩平策)에 거슬리는 논란을 자주 제기하였으나, 관료생활은 깨끗했고 좋은 정책을 제시하기도 했음.
1696~1742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연(士淵)@윤종의 - 윤종의(尹宗儀)
조선 철종(哲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파평(坡平). 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을 지내고 병(兵)ㆍ농(農)ㆍ율력(律曆)ㆍ도상(圖象) 등을 깊이 연구하였으며, 특히 예학(禮學)에 조예가 깊어 헌종(憲宗)의 부묘(祔廟)와 관련해 《방례고증(邦禮考證)》을 저술함.
1805~188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연(師淵) - 조사연(趙師淵)
중국 송(宋) 효종(孝宗)~영종(寧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송 왕조의 종실(宗室)로, 조사하(趙師夏)의 형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으로 《자치통감강목(資治通鑑綱目)》 편찬에 참여하였음.
1150?~121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열(士悅) - 성람(成灠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를 지낸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로,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의 문인. 성리학(性理學)과 의학에 밝았으며, 임진왜란(壬辰倭亂) 후에는 조익(趙翊)ㆍ정경세(鄭經世)ㆍ이준(李埈) 등과 교유함.
1556~162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열(思烈) - 구치관(具致寬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세운 공으로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봉해지고, 사후(死後)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추록됨. 영의정(領議政)등을 지냄.
1406~1470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열(沙熱) - 청풍(淸風)
충청도 제천(堤川) 지역의 옛 지명. 산천경개가 빼어나 청풍명월(淸風明月)이라 한 데서 따온 지명.
충청도>청풍 , 지명>행정지명
-
사열(沙熱)@김길통 - 김길통(金吉通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1432년(세종 1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내고,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어 월천군(月川君)에 봉해짐.
1408~147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영(士英)@여자준 - 여자준(余子俊)
중국 명(明) 나라 대종(代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을 쌓고 보루를 만드는 데 큰 공을 세움.
1429~1489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영(士英) - 이유무(李幼武)
중국 송(送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《송명신언행록(宋名臣言行錄)》을 승계하여 《도학명신언행록(道學名臣言行錄)》을 저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사영(士英)@윤세호 - 윤세호(尹世豪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1503년(연산군 9)에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로 재임 중 조광조(趙光祖)ㆍ김식(金湜)의 일파로 몰려 파직되었다가 복직된 뒤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냄.
1470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영(士英)@이사영 - 이사영(李士英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영강서원(榮江書院)에 봉사(奉祀)된 이해(李蟹)의 손자로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영(士英)@임사영 - 임사영(林士英)
중국 명(明) 나라의 문신. 행인사 행인(行人司行人) 등을 지내고, 1401년(조선 태종 1) 육옹(陸顒)과 함께 혜제(惠帝)의 대통력(大統曆)과 칙서(勅書)를 가지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영(士英)@권준신 - 권준신(權俊臣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인(權寅)의 아들로, 1582년(선조 15) 생원시(生員試)에 형 권호신(權虎臣)과 함께 입격함.
1561~164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