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우(思宇) - 유우(劉宇)
중국 전한(前漢) 선제(宣帝)의 아들. 원제(元帝)가 즉위한 후 전횡(專橫)하였음.
?~B.C.2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사우(思愚) - 박사우(朴思愚)
조선 명종(明宗) 때 문신. 본관은 태인(泰仁).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박수량(朴守良)의 아들로, 별제(別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우감계(師友鑑戒) - 사우감계록(師友鑑戒錄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안방준(安邦俊)이 지은 글. 사우(師友) 관계의 귀감이 될 만한 조헌(趙憲)의 사적(事蹟)을 적은 글로, 저자의 《은봉전서(隱峯全書)》에 실려 있음.
1638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작품명
-
사우당(四友堂)@김구용 - 김구용(金九容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ㆍ문인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우왕 때 삼사 좌윤(三司左尹)으로 이숭인(李崇仁)ㆍ정도전(鄭道傳) 등과 북원(北元) 사절의 영접을 반대하다 죽주(竹州)로 귀양 감. 사장(詞章)에 뛰어나고, 특히 시(詩)로 유명함.
1338~1384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우당(四友堂)@이의 - 이의(李嶬)
조선 전기의 유학. 임운(林芸)과 교유했으며, 그와 수작한 시가 《첨모당집(瞻慕堂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우당(四友堂)@전찬 - 전찬(全纘)
조선 전기의 유학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시에 뛰어났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우당(四友堂)@임원준 - 임원준(任元濬)
조선 세종(世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문장이 뛰어났고 경사(經史)와 의학(醫學)에도 정통했음. 성종(成宗) 즉위 후 좌리공신(佐理功臣)으로 서하군(西河君)에 봉해졌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 후 아들 임사홍(任士洪)의 죄로 관직이 삭탈된 후 추살됨.
1423~1500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우당(四友堂)@한명회 - 한명회(韓明澮)
조선 문종(文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예종(睿宗)ㆍ성종의 국구(國舅). 세조를 도와 계유정난(癸酉靖難)과 남이(南怡)의 옥사 때 공을 세우는 등 여러 차례 공신(功臣)에 책록되고, 영의정 등을 지냄. 갑자사화 때 부관참시되었다가 후에 신원됨.
1415~148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사우당(四友堂)@이민상 - 이민상(李敏祥)
조선 전기의 유학.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에 추증됨. 김귀영(金貴榮)의 《동원집(東園集)》에 제문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우례(士虞禮) - 의례(儀禮)
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. 13경(經) 중의 하나이며, 《주례(周禮)》ㆍ《예기(禮記)》와 함께 삼례(三禮)로 불림. 관혼상제(冠婚喪祭)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우록(師友錄) - 사우명행록(師友名行錄)@남효온
조선 전기의 문신인 남효온(南孝溫)이 스승 김종직(金宗直) 및 지기(知己) 김굉필(金宏弼) 등 50여 명의 언행(言行)ㆍ문장(文章) 등을 간략하게 기록한 책. 실본(實本)은 전하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사우록(師友錄)@박세채 - 동유사우록(東儒師友錄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인 박세채(朴世采)가 신라부터 조선 선조(宣祖) 때까지 유학자들의 사우(師友) 관계를 밝혀 놓은 책. 37권 19책. 필사본. 1682년(숙종 8)에 편집하고, 뒤에 문인인 이세환(李世瑍)이 보편(補編)함.
1682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사우정(四雨亭) - 이식(李湜)
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. 세종(世宗)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셋째 아들로, 시(詩)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.
1458~14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종친
-
사우특생례(士虞特牲禮) - 의례(儀禮)
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. 13경(經) 중의 하나이며, 《주례(周禮)》ㆍ《예기(禮記)》와 함께 삼례(三禮)로 불림. 관혼상제(冠婚喪祭)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욱(士郁) - 노한문(盧漢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노자장(盧自璋)의 아들로, 사관(史官)의 조보(朝報) 작성과 이를 재상(宰相)에 전송(傳送)하는 일을 혁파했으며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운(史雲) - 범염(范冉)
중국 후한(後漢) 환제(桓帝) 때의 문신. 당고지화(黨錮之禍)를 당해서도 권력에 아첨하지 않고 청렴함을 지킨 고사로 유명함.
112~185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웅(士雄)@안사웅 - 안사웅(安士雄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제검(提檢) 안자흠(安子欽)의 아들이자 이조 좌랑(吏曹佐郞) 안사언(安士彦)의 동생으로, 병조 참의(兵曹參議) 등을 지내고 청빈(淸貧)한 생활을 함.
1529~1592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웅(士雄) - 왕희걸(王希傑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개성(開城). 이황(李滉)ㆍ노수신(盧守愼)ㆍ홍섬(洪暹) 등 당대의 명유와 교유하였고, 문장ㆍ글씨ㆍ그림에 모두 뛰어났으며, 함경도 어사(咸鏡道御史) 시절에 보우(普雨)의 승직을 삭탈하는 계기가 된 장계를 올림.
?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嗣源) - 김사원(金嗣源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상의원 정(尙衣院正)을 지내고, 사후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순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士元)@유종인 - 유종인(柳宗仁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 유희임(柳希任)의 아들이며, 유종례(柳宗禮)의 형.
1516~1545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