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원(士元)@고려후기 - 김사원(金士元)@고려후기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문신. 문하시랑찬성사 김련(金璉)의 아들. 충선왕 때 권신 이대순(李大順)의 모함으로 장류(杖流)됨. 돌아와 평양 윤(平壤尹) 등을 거쳐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에 이름.
?~1319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士元)@권응인 - 권응인(權應仁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인. 시재(詩才)가 뛰어나 선위사(宣慰使) 일행이 되기도 했으며, 송(宋) 나라의 시풍(詩風)이 유행하던 문단(文壇)에 만당(晩唐)의 시풍을 받아들여 큰 전환을 가져왔음.
152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문인
-
사원(士元)@김가기 - 김가기(金可幾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군수 김천부(金天富)의 아들이며, 대곡(大谷) 성운(成運)의 문인(門人)이자 처조카. 성운(成運)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시를 수집하였고 아들 김덕민(金德民)이 간행함.
1537~1597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보은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士元)@민우수 - 민우수(閔遇洙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여흥(麗興)으로, 충문공(忠文公) 민진후(閔鎭厚)의 아들. 김창협(金昌協)ㆍ권상하(權尙夏)의 문인으로, 신임사화(辛壬士禍) 이후 관직에서 물러나 학업에 전념함.
1694~175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士元)@이종도 - 이종도(李宗道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보(眞寶)로, 이황(李滉)의 종손(從孫)이며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장 김해(金垓)의 휘하(麾下)에서 의병부장(義兵副將)으로 활약함.
1535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원(士元) - 방통(龐統)
중국 삼국시대(三國時代)의 모사(謀士). 제갈량(諸葛亮)에 버금가는 지략가로, 유비(劉備)의 를 도와 활약하다가 낙성(洛城) 전투 때 낙봉파(落鳳坡)에서 전사함.
179~214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사원(士元)@조선전기 - 김사원(金士元)@조선전기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로, 흡곡 현령(歙谷縣令)을 지낸 김숙춘(金叔春)의 아들. 1492년(성종 23)에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, 파주 목사(坡州牧使)ㆍ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ㆍ첨지사(僉知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士元)@조선후기 - 김사원(金士元)@조선후기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을 규합하여 정제장(整濟將)으로 추대됨.
1539~160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士元)@성숙 - 성숙(成俶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성순조(成順祖)의 아들이며 성준(成俊)의 형으로,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士元)@양희윤 - 양희윤(梁希尹)
조선 후기의 유학. 황정욱(黃廷彧)ㆍ홍성민(洪聖民)과 교유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원(士元)@박태보 - 박태보(朴泰輔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반남(潘南). 박세당(朴世堂)의 아들로, 박세후(朴世垕)에게 출계함. 1677년(숙종 3) 알성시(謁聖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이천 현감(伊川縣監)ㆍ파주 목사(坡州牧使) 등을 지냈으나, 1689년(숙종 15)에 인현왕후(仁顯王后)의 폐위를 반대하다 유배를 가던 중에 죽음.
1654~168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士源) - 홍사원(洪士源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순복(洪順福)ㆍ홍석복(洪碩福)의 아버지로, 천안 군수(天安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思遠)@서사원 - 서사원(徐思遠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달성(達城). 한강(寒岡) 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주자학(朱子學) 및 이황(李滉)의 문집을 깊이 연구하고 후진양성에 힘씀.
1550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이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思遠) - 정은(鄭隱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도사. 갈홍(葛洪)의 스승. 원래 유학(儒學)을 공부하였으나 나이 들어 갈현(葛玄)을 스승으로 모시고 《구정단경(九鼎丹經)》ㆍ《금액단경(金液丹經)》ㆍ《태청단경(太淸丹經)》등을 전수받음.
?~302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사원(思遠)@이첨 - 이첨(李瞻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종친. 이종린(李宗麟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세자(世子)를 호종한 공으로 구성군(龜城君)이 됨.
1553~15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사원(思遠)@신사원 - 신사원(愼思遠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거창(居昌). 양근 군수(楊根郡守)를 지낸 신홍조(愼弘祚)의 아들로, 조지서 별좌(造紙署別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斯遠) - 서문경(徐文卿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인. 주희(朱熹)의 문하생으로, 조번(趙蕃)ㆍ한표(韓淲)와 명성을 나란히 하였고, 저서로 《소추시집(蕭秋詩集)》이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사원(泗源) - 양사원(梁泗源)
조선 전기의 문신. 양산보(梁山甫)의 부친. 본관은 제주(濟州). 은덕(隱德)이 있어 종부시 주부(宗簿寺主簿)에 제수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창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원(詞源) - 김반(金泮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강서(江西). 권근(權近)의 문인으로 경서에 정통하여 김구(金鉤)ㆍ김말(金末)과 함께 경학삼김(經學三金)으로 불림.
한국>조선전기 , 평안도>강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월당(沙月堂) - 유시번(柳時蕃)@1569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손처눌(孫處訥)의 제자로, 1755년(영조 31) 청호서원(靑湖書院)에 배향됨.
1569~1616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