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위(士偉) - 백인걸(白仁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수원(水原). 동지춘추관사(同知春秋館事) 등을 지내고, 동서분당(東西分黨)의 폐단을 논하며 중재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함. 훈구 세력에 맞서 사림파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함.
1497~157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위(思危) - 안수잠(安秀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전함사 별좌(典艦司別坐)를 지낸 안범(安範)의 아들로, 1522년(중종 1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군수(郡守)를 지냄.
1486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위세자(舍衛世子) - 석가(釋迦)
B.C.6~B.C.4세기경 인도(印度)에서 활동한 불교의 창시자. 정반왕(淨飯王)의 아들로, 29세에 출가하여 6년 동안의 고행 끝에 깨달음을 얻은 후 인도 각지를 다니며 포교 활동을 함.
B.C.563?~B.C.483? 고대 , 기타지역 , 인명>기타인명>성현ㅣ인명>왕실>왕자
-
사유(嗣儒) - 탁성손(卓成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. 도사(都事)를 지낸 탁기(卓耆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유(士柔) - 최사유(崔士柔)
고려 말~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최항(崔恒)의 아버지로, 성균관 사예(成均館司藝) 등을 지내고 치사하여 수직(壽職)으로 통정대부(通政大夫)에 봉해짐.
1372~1455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유(思柔) - 백사유(白思柔)
고려 광종(光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수원(水原). 평장사(平章事) 백휘(白揮)의 아버지로, 한림학사(翰林學士) 등을 지내고, 성종 때 사신으로 송(宋) 나라에 다녀옴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유재(四留齋) - 이정암(李廷馣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사직서 영(社稷署令) 이탕(李宕)의 아들로, 황해도 관찰사ㆍ병조 참판 등을 지냄. 임진왜란 때 연안(延安) 수비의 공으로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1541~160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육신사(死六臣祠) - 육신사(六臣祠)@영월
조선 숙종(肅宗) 때 강원도 영월(寧越)에 세운 사당. 사육신(死六臣)과 엄흥도(嚴興道) 등을 배향함.
1685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영월 , 유적>건물>사당
-
사윤(士贇) - 기찬(奇襸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축(奇軸)의 아들로, 1474년(성종 5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이조 좌랑(吏曹佐郞) 등을 지냄.
1424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윤(思胤) - 이사윤(李思胤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기한(李基漢)의 아들로, 이기하(李基夏)에게 출계함. 1714년(숙종 40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파주 목사(坡州牧使) 등을 지냄.
1686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윤(斯允) - 황사윤(黃斯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. 고원 군수(高原郡守)를 지낸 황징(黃澄)의 아버지로, 평안도 절도사(平安道節度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율(士慄) - 나사율(羅士慄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나주(羅州). 소재(蘇齋) 노수신(盧守愼)의 문인(門人). 건재(健齋) 김천일(金千鎰)과 학문을 강구(講究)하고 시(詩)로 서로 면려(勉勵)하며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율(士栗) - 윤사율(尹士栗)
조선 전기의 문인. 하서(河西) 김인후(金麟厚)와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문인
-
사은(四隱) - 이담(李橝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해수(李海壽)의 증손이며,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(門人)으로, 석곡(石谷)의 옥사에 연루되어 삼수(三水)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은(師殷) - 윤사은(尹師殷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배(尹培)의 아들이고, 윤탁(尹倬)의 아버지이며, 운성부원군(雲城府院君) 박종우(朴從愚)의 사위로, 곡성 현감(谷城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은당(四隱堂) - 이담(李橝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해수(李海壽)의 증손이며,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(門人)으로, 석곡(石谷)의 옥사에 연루되어 삼수(三水)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났으며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의(士儀) - 최사의(崔士儀)
조선 세종(世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판한성부사(判漢城府事)를 지낸 최유경(崔有慶)의 아들로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를 지내고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(錄選)됨.
1376~145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의(士宜) - 손경의(孫景義)
조선 전기의 유학. 하항(河沆)의 《각재집(覺齋集)》에 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의(士毅)@권홍 - 권홍(權弘)@1467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령(權齡)의 아들.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ㆍ개성부 유수(開城府留守)ㆍ대사헌(大司憲) 등을 역임하였고 문장이 뛰어났음.
1467~151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의(士毅)@전치원 - 전치원(全致遠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의병장. 본관은 완산(完山). 황강(黃江) 이희안(李希顔)과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문인. 이희안을 위하여 청계서원(淸溪書院)을 창건했으며,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초계(草溪)에서 의병으로 활동함.
1527~159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