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장(士長)@민형수 - 민형수(閔亨洙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좌의정(左議政) 민진원(閔鎭遠)의 아들로, 영조의 탕평책(蕩平策)에 어긋난 언행을 함으로써 정미환국(丁未換局) 이후 실각한 아버지의 신원(伸寃)을 위하여 이광좌(李光佐)를 소척하려 함.
1690~174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재(思齋)@안영 - 안영(安瑛)@조선후기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순흥(順興)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고경명(高敬命)의 의병(義兵)에 들어가 싸우다가 전사함.
1565~159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재(思齋)@곽몽징 - 곽몽징(郭夢徵)
중국 명(明) 나라 신종(神宗) 때의 장군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원임참장(原任參將)으로, 부총병(副摠兵) 조승훈(祖承訓)과 유격장(遊擊將) 사유(史儒)와 함께 군사를 이끌고 조선에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사재(思齋)@안처순 - 안처순(安處順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성균관 전적(成均館典籍)을 지낸 안기(安璣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이행(李荇)과 함께 연루되었으나 화를 면함. 성균관 학관(成均館學官)ㆍ봉상시 판관(奉常寺判官) 등을 지냄.
1492~1534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재(思齋)@옹영 - 옹영(翁泳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. 주역(周易)에 능통했고, 하도(河圖)에 관한 설(說)이 회자(膾炙)되고 있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사재(思齋) - 김정국(金正國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김굉필(金宏弼)의 문인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동생으로, 성리학에 조예가 깊음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삭탈관직되었다가 복직됨.
1485~1541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절(思節) - 안성(安省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문과에 급제하여 보문각 직학사(寶文閣直學士)ㆍ상주 판관(尙州判官)을 지내고, 조선 개국 후 청백리에 녹선되었으며 참찬(參贊) 등을 지냄.
?~142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점(思點) - 이사점(李思點)
고려 말~조선 초의 유학. 권근(權近)의 《양촌집(陽村集)》에 그에 대한 명자설(名字說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정(司貞) - 정종소(鄭從韶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일(延日). 정이교(鄭以僑)의 아버지로, 성균 사성(成均司成) 등을 지내고, 문장(文章)과 기절(氣節)이 빼어나 김종직(金宗直)의 존중을 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士淨) - 유기(柳沂)@유용의손자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선산(善山). 전라우도 수사(全羅右道水使)를 지낸 유용(柳墉)의 손자로, 현령(縣令)ㆍ감찰(監察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士精)@김상성 - 김상성(金尙星)
조선 경종(景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김시환(金始煥)의 아들. 13세에 영평(永平)의 〈금수정기(金水亭記)〉를 지어 신동(神童)으로 불리고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
1703~175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士精) - 김치(金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부사(府使) 김시회(金時晦)의 아들로, 상락군(上洛君) 김시민(金時敏)에게 출계함. 인조반정 후 한때 대북(大北)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풀려나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577~16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士貞)@윤사정 - 윤사정(尹士貞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원평군(原平君) 윤공(尹恭)의 아들로, 문천 군수(文川郡守)ㆍ온성 부사(穩城府使) 등을 지냄.
1479~152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士貞)@임간 - 임간(任幹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낸 임유겸(任由謙)의 아들로, 종묘서 영(宗廟署令)을 지냄.
1496~1547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士貞)@변사정 - 변사정(邊士貞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의병장. 본관은 장연(長淵). 일재(一齋) 이항(李恒)의 문인으로,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남원에서 의병을 모집하고 많은 전투에서 전공을 세움.
1529~159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士貞) - 권이(權頤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익평공(翼平公) 권람(權攬)의 현손. 중종(中宗) 때 영의정을 지낸 성희안(成希顔)의 외손자이며, 대사헌을 지낸 송인수(宋麟壽)의 사위. 송기수(宋麒壽)의 《추파집(秋坡集)》에 묘표(墓表)가 실려 있음.
1521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정(士靖) - 기자헌(奇自獻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행주(幸州)로, 대사헌을 지낸 기대항(奇大恒)의 손자. 광해군을 즉위시키는 데 공헌하여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폐모론에 반대하다 문외출송(門外黜送)되었으며, 이괄(李适)의 난이 일어났을 때 사사(賜死)됨.
1562~1624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思亭) - 김희조(金希祖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홍건적(紅巾賊)의 침입 때 공민왕을 호종하였으며, 경성(京城)을 지킨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언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思亭)@윤명은 - 윤명은(尹鳴殷)
조선 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효자. 본관은 파평(坡平). 인조의 사친추숭(私親追崇)을 반대하다가 유배되고, 병자호란 때 남양(南陽)에서 조익(趙翼)과 함께 의병을 모집하였으며, 효성이 지극하여 정문(旌門)이 세워짐.
1601~1646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남포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정(思亭)@신석간 - 신석간(申石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문충공(文忠公) 신숙주(申叔舟)의 현손(玄孫)으로, 부사(府使)를 지낸 신연(申淵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