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국자감시(國子監試)
고려시대 국자감에서 실시한 예부시(禮部試)의 예비시험. 제술과(製述科)ㆍ명경과(明經科)로 이루어지며, 급제하면 진사(進士)가 되어 예부시에 응시할 자격이 주어짐.
1031 한국>고려전기 , 법제>제도
-
국조명신사략(國朝名臣事略)
중국 원(元) 나라의 학자 소천작(蘇天爵)이 저술한 책. 원 전기와 중기의 인물 47명의 전기를 기록함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국조보감(國朝寶鑑)
조선 역대 국왕의 치적 중에서 선정(善政)만을 모아 수록한 편년체(編年體)의 역사책. 조선 세종(世宗) 때 편찬을 시작하여 순종(純宗) 때 완성됨. 90권 28책. 활자본.
한국>조선후기ㅣ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국조보감별편(國朝寶鑑別編)
조선 후기에 《국조보감(國朝寶鑑)》을 만들면서 명(明) 나라를 떠받든 역대의 기록을 따로 모아 합편한 책. 10권 3책.
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국조시산(國朝詩刪)
조선 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문인인 허균(許筠)이 엮은 시문집. 9권 4책. 목판본. 정도전(鄭道傳)ㆍ백광훈(白光勳)ㆍ최경창(崔慶昌) 등의 작품을 수록하였으며, 숙종(肅宗) 때 광주 부윤(廣州府尹) 박태순(朴泰淳)이 간행함.
169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광주 , 문헌>서명
-
국조오례의(國朝五禮儀)
조선 성종(成宗) 때 신숙주(申叔舟)ㆍ정척(鄭陟) 등에 의해 완성된 예전(禮典). 국가의 기본예식인 오례(五禮), 즉 길례(吉禮)ㆍ가례(嘉禮)ㆍ빈례(賓禮)ㆍ군례(軍禮)ㆍ흉례(凶禮)에 대해 규정함.
1474 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국조유선록(國朝儒先錄)
조선 전기의 문신인 유희춘(柳希春)이 선조(宣祖)의 명으로 김굉필(金宏弼)ㆍ정여창(鄭汝昌)ㆍ조광조(趙光祖)ㆍ이언적(李彦迪)의 행적을 모아 엮은 책. 5권 4책. 필사본(筆寫本).
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문헌>서명
-
국좌(國佐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대부(大夫). 직언(直言)을 일삼다가 영공(靈公)에게 살해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국파집(菊坡集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문인 최여지(崔與之)의 문집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국하(國夏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 경공(景公) 때의 대부. 고장(高張)과 더불어 경공의 애첩인 예희(芮姬)의 아들 도(荼)를 후사로 옹립하여 제 나라 정권을 전횡했으나, 공자 양생(陽生)을 내세운 전걸(田乞)에게 패배하여 거(莒) 나라로 망명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국헌유집(菊軒遺集)
조선 임진왜란 때 경상도 청도(淸道)에서 창의했던 박경윤(朴慶胤)에 대한 기록을 담은 책. 밀양박씨(密陽朴氏) 일가 14인의 창의사적(倡義事蹟)을 기록한《십사의사록(十四義士錄)》에 수록됨.
1867 한국>조선후기 , 문헌>서명
-
군옥대(群玉臺)
강원도 고성(高城)에 있는 바위 이름. 금강산(金剛山)의 산줄기가 뻗어나간 것으로, 구사맹(具思孟) 등 많은 시인들이 시재(詩材)로 삼아 작품을 남김.
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군위(軍威)
경상도 중앙에 위치한 고을 이름. 대구(大丘)와 안동(安東)을 연결하는 교통의 요충지임.
경상도>군위 , 지명>행정지명
-
군진(君陳)
중국 주(周) 성왕(成王) 때의 대부. 충신으로 성왕이 그에게 효우(孝友)를 칭찬했다고 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굴^가(屈^賈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문인인 굴원(屈原)과 전한(前漢) 때의 문인인 가의(賈誼)를 함께 부르는 말. 사부(辭賦)의 대가를 가리킴.
중국>전한ㅣ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굴^송(屈^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시인인 굴원(屈原)과 송옥(宋玉)을 함께 부르는 말. 사부(辭賦)의 대가를 가리킴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관용어
-
굴건(屈建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초(楚) 나라의 대부(大夫). 아버지 굴도(屈到)가 평소에 기(芰 : 마름)를 좋아하여 자신의 제사상에 올려주기를 부탁했으나, 예에 맞지 않는다 하여 원래대로 검(芡 : 연밥)을 쓰도록 했다고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굴도(屈到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초(楚) 나라의 대부(大夫). 굴건(屈建)의 아버지. 평소에 기(芰 : 마름)를 좋아하여 죽을 무렵 자신의 제상에 기(芰)를 올려 달라 부탁했다고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굴묘편시(掘墓鞭屍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오자서(伍子胥)가 아버지 오사(伍奢)의 복수를 위해 죽은 평왕(平王)의 무덤을 파헤쳐 시체를 매질한 데서 나온 말로, 통쾌한 복수나 지나친 행동을 이르는 말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굴원(屈原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대부ㆍ시인. 회왕(懷王)의 좌도(左徒)를 맡아 활약하였으나 정적(政敵)들의 중상모략을 받아 자신의 뜻을 펴지 못하다가 멱라수(汨羅水)에 투신하여 죽음.
B.C.343~B.C.27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경대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