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종(嗣宗)@이오의아들 - 이사종(李嗣宗)@이오의아들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이오(李晤)의 아들로, 김안국(金安國)과 교유하였으며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종(嗣宗)@이애의아들 - 이사종(李嗣宗)@이개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종(太宗)의 맏아들인 양녕대군(讓寧大君) 이제(李禔)의 손자이며, 순성군(順成君) 이개(李𧪚)의 서자로, 작은 키와 굵은 허리 등 독특한 외모로 인해 ‘토미륵(土彌勒)’이라는 별호를 얻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사종(嗣宗)@봉사종 - 봉사종(奉嗣宗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하음(河陰)으로, 고려 충숙왕(忠肅王) 때의 공신 봉천우(奉天祐)의 후손. 안악 군수(安岳郡守)를 지냈으며 군자정(軍資正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종(師宗) - 윤사종(尹師宗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진사. 본관은 영천(永川). 윤형(尹炯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합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주(泗州) - 사천(泗川)
경상남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한려수도(閑麗水道)의 중심 기항지이며, 서부경남(西部慶南)의 관문(關門)임.
경상도>사천 , 지명>행정지명
-
사주(謝柱) - 사영운(謝靈運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. 사현(謝玄)의 손자로, 영가 태수(永嘉太守)를 지냈으나 파쟁(派爭)으로 인하여 유배 중에 처형됨. 자연을 노래한 산수시인(山水詩人)으로 높이 평가받음.
385~43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주당(四珠堂) - 박소(朴昭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정몽주(鄭夢周)의 문인(門人)으로, 안음 현감(安陰縣監)에 제수되어 청렴한 치적을 보임.
1347~1426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준(士俊) - 양사준(楊士俊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양희수(楊希洙)의 아들로, 형 양사언(楊士彦), 동생 양사기(楊士奇)와 더불어 문명(文名)을 날려 당시에 중국의 소순(蘇洵)ㆍ소식(蘇軾)ㆍ소철(蘇轍)에 비유되었으며, 정랑(正郞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준(師準) - 이사준(李師準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의금부 경력(義禁府經歷) 등을 지내고, 정수강(丁壽崗)ㆍ김준손(金俊孫) 등과 시와 술을 즐기며 절친하게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사준(思俊) - 탁사준(卓思俊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도호부사(都護府使)를 지낸 탁복해(卓福海)의 아들로, 지현사(知縣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사중(士中) - 성락(成洛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감사(監司)를 지낸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 문하에서 수학함. 자력으로 경서를 탐독할 정도로 우수하였으며, 친우들의 도움으로 장례를 치러야 할 만큼 청빈한 생활을 함.
1542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중(士重)@김천일 - 김천일(金千鎰)@1537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언양(彦陽). 김언침(金彦琛)의 아들이며, 이항(李恒)의 문인(門人). 임진왜란 때 창의기병(倡義起兵)하여 수원(水原)ㆍ강화도(江華島)에서 전공을 세우고, 2차 진주성(晉州城) 싸움에서 성이 함락되자 순사함.
1537~15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중(士重) - 양산한(梁山翰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제주(濟州).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손자이며, 병절교위(秉節校尉) 양응기(梁應箕)의 아들로, 정릉 참봉(貞陵參奉)을 지냈으나 일찍 죽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중(士重)@이홍남 - 이홍남(李洪男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사복시 정(司僕寺正)을 지낸 이약빙(李若氷)의 아들. 정미사화(丁未士禍)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동생 이홍윤(李洪胤)을 무고해 처형당하게 하고 자신은 풀려남.
1515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중(士重)@권확 - 권확(權確)@조선후기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결(權潔)의 아들로, 1611년(광해군 3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형조 참의(刑曹參議)ㆍ여주 목사(驪州牧使)를 지냄.
1568~163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중(士重)@임현 - 임현(任鉉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으로, 이이(李珥)와 성혼(成渾)의 문인. 정유재란(丁酉再亂) 때 남원 부사(南原府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 장수 양원(楊元)과 함께 성을 수비하였는데 양원은 도중에 도망하고 홀로 분전하다가 전사함.
1549~1597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중(士重)@김사중 - 김사중(金士重)
조선 전기의 유학. 권호문(權好文)의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차운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중(思中) - 정사중(鄭思中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한강(寒岡) 정구(鄭逑)의 아버지이자, 백곡(栢谷) 정곤수(鄭崐壽)의 생부(生父). 충좌위 부사맹(忠佐衛副司猛)을 지내고, 이조 판서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무신
-
사중(思仲)@안구 - 안구(安覯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안보문(安普文)의 아들이자 안증(安嶒)의 아버지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청도 군수(淸道郡守)와 사간(司諫) 등을 지냄.
1458~152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중(思仲) - 신엄(申儼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신승준(申承濬)의 아들로,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를 거쳐 청요직(淸要職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