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천(史遷) - 사마천(司馬遷)
중국 한(漢) 나라의 문신ㆍ학자. 흉노(匈奴)에 투항한 벗 이릉(李陵)을 변호하다 궁형(宮刑)에 처해졌으나 고난을 극복하고 아버지인 사마담(司馬談)의 뒤를 이어 《사기(史記)》를 완성함. 중서령(中書令)을 지냄.
B.C.145?~B.C.86?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천(沙川) - 섬진강(蟾津江)
전라도 진안(鎭安)에서 발원하여 동부지역을 남류(南流)하고, 경상도 하동(河東)을 지나 남해로 흘러드는 강 이름.
전라도>진안ㅣ경상도>하동 , 지명>자연지명
-
사천백(沙川伯) - 남을진(南乙珍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정몽주(鄭夢周)ㆍ길재(吉再) 등과 교유하였으며, 조선의 태조(太祖)가 사천백(沙川伯)을 봉했으나 적성(積城)의 감악산(紺嶽山) 석굴에 들어가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적성ㅣ경기도>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철(思哲) - 이사철(李思哲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도조(度祖)의 첫째 아들인 이자흥(李自興)의 종손이며, 이난(李蘭)의 아들로, 《선원록(璿源錄)》 등을 개수하였고, 세조를 도와 정난공신(靖難功臣)과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좌의정 등을 역임함.
1405~1456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사청(嗣淸) - 안종원(安宗源)
고려 충목왕(忠穆王)~우왕(禑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흥(順興)으로, 첨의찬성사(僉議贊成事) 안축(安軸)의 아들. 정당문학(政堂文學)ㆍ문하찬성사(門下贊成事) 등을 역임했음.
1325~139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청(思淸) - 이사청(李思淸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양성(陽城). 이훈(李薰)의 아들이며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금원복(琴元福)의 사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체(四體) - 손방(孫昉)
중국 송(宋) 나라의 태의(太醫). 스스로 ‘불탐불투 포난즉휴(不貪不妒飽暖卽休)’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
-
사초(士初)@윤존성 - 윤존성(尹存性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부(尹釜)의 아들로, 1567년(선조 1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돈용교위(敦勇校尉)ㆍ첨정(僉正) 등을 역임함.
1536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초(士初) - 유휴복(柳休復)
조선 전기의 유학. 서거정(徐居正)의 《사가집(四佳集)》에 그를 전송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촌(沙村)@이축 - 이축(李軸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안악 군수(安岳郡守) 시절 한준(韓準)ㆍ박충간(朴忠侃)ㆍ한응인(韓應寅) 등과 함께 정여립(鄭汝立)의 모반을 고변하여 병조 정랑(兵曹正郞)이 되고, 평난공신(平難功臣)에 책록됨.
1538~161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촌(沙村)@나열 - 나열(羅悅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사헌부 대사헌을 지낸 나세찬(羅世纘)의 아들. 본관은 나주(羅州)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촌(沙村) - 김윤제(金允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장례원 사평(掌隷院司評) 김후(金詡)의 아들. 나주 목사(羅州牧使) 등 지방관을 지내고, 고향에 돌아가 정철(鄭澈)ㆍ김성원(金成遠) 등 후학을 양성함.
1501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ㅣ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촌옹(沙村翁) - 김윤제(金允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장례원 사평(掌隷院司評) 김후(金詡)의 아들. 나주 목사(羅州牧使) 등 지방관을 지내고, 고향에 돌아가 정철(鄭澈)ㆍ김성원(金成遠) 등 후학을 양성함.
1501~1572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ㅣ전라도>광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추(士推) - 윤인서(尹仁恕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호조 참판(戶曹參判) 등 여러 관직을 지냈으나, 권간(權奸)에 아부하고 공명(功名)을 탐하여 누차 탄핵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추(士秋) - 이만성(李晩成)
조선 숙종(肅宗)~경종(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우봉(牛峰)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으로, 학문과 정치에 밝았으며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냄. 영암(靈巖)의 죽정서원(竹亭書院)에 제향됨.
1659~1722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우봉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충(士冲) - 정건(鄭謇)
조선 전기의 유학. 일찍이 주세붕(周世鵬)과 함께 서산(西山) 진덕수(眞德秀)의 《심경(心經)》을 공부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측(士則) - 임병(任柄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. 1524년(중종 19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홍문관 박사(弘文館博士)ㆍ이조 좌랑(吏曹佐郞) 등을 지내고, 글씨에도 뛰어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치(士治) - 왕준(王濬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무제(武帝) 때의 장군. 누선(樓船)을 제조하여 오왕(吳王) 손호(孫皓)를 사로잡고 오 나라를 멸하였으며, 익주 자사(益州刺史)를 거쳐 무군대장군(撫軍大將軍) 등을 역임함.
206~28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사치(士稚) - 노직(盧稙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교하(交河)로, 남평 현감(南平縣監) 노홍우(盧弘祐)의 아들. 호조 판서(戶曹判書)ㆍ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내고, 이원익(李元翼)ㆍ유성룡(柳成龍)ㆍ강서(姜緖) 등과 친교(親交)함.
1536~15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ㅣ경기도>교하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칠논변(四七論辨) - 사칠논변(四七論辯)
조선 성리학(性理學)에서 이황(李滉)과 기대승(奇大升) 간에 전개되었던 사단(四端)과 칠정(七情)에 관한 논변. 이황의 이기이원론(理氣二元論)과 기대승의 이기일원론(理氣一元論) 사이에서 시작된 논쟁으로, 1559년(명종 14)부터 8년에 걸쳐 전개됨.
1559 한국>조선전기 , 사상>이론>학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