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침(士忱) - 나사침(羅士忱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진원 현감(晉原縣監)을 지낸 나질(羅晊)의 아들로, 이성 현감(尼城縣監)을 지냄. 정여립(鄭汝立)의 옥사(獄事)에 무고(誣告)로 인해 문초(問招)를 받았으나 바로 석방됨.
1525~159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침(士琛) - 송사침(宋士琛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남(海南). 1543년(중종 3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여 훈도(訓導)를 지내고, 노수신(盧守愼)ㆍ조서(曺湑)와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해남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택(沙澤) - 사원(沙苑)
중국 섬서성(陝西省) 대려(大荔) 남부에 있는 마을 이름. 서위(西魏)의 우문태(宇文泰)가 고관(高觀)을 대파하고 나무 한 그루를 심었음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사통(嗣通) - 설직(薛稷)
중국 당(唐) 나라 중종(中宗)~현종(玄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. 태자소보(太子少保) 등을 역임하였으며, 두회정(竇懷貞)의 사건에 연루되어 사사됨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畫)에 모두 능하여 명성을 떨침.
649~713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파(泗派) - 사수(泗水)
중국 산동성(山東省)에 있는 강. 산동성 사수현(泗水縣) 동쪽의 배미산(陪(尾山)에서 발원하여 남서로 흘러 공자(孔子)의 출생지인 곡부현(曲阜縣)을 거쳐 제령(濟寧) 부근에서 대운하(大運河)에 합쳐짐.
중국 , 지명>자연지명
-
사파을(沙巴乙) - 양성(陽城)
경기도 서남부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지금의 안성(安城) 지역에 해당하며 천덕산(天德山)과 남쪽의 백운산(白雲山) 사이에 자리잡고 있음.
경기도>양성 , 지명>행정지명
-
사평(士平) - 유돈(柳墩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ㆍ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평(思平) - 차원부(車原頫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문신ㆍ화가. 본관은 연안(延安). 두문동(杜門洞) 72현 중 한 사람. 간의대부(諫議大夫)를 지내고, 정몽주(鄭夢周)ㆍ이색(李穡) 등과 성리학으로 명성을 떨쳤으며, 매화 그림을 특히 잘 그림.
1320~?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사평(思平)@민사평 - 민사평(閔思平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찬성사 민적(閔頔)의 아들이며, 정승 김륜(金倫)의 사위. 이제현(李齊賢)ㆍ정자후(鄭子厚) 등과 함께 문명(文名)이 높았으며, 《동문선(東文選)》에 그의 시 9수가 전함.
1295~135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필(士弼) - 강사필(姜士弼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이조 좌랑(吏曹佐郞)을 지낸 강온(姜溫)의 아들. 조욱(趙昱)의 문인으로, 충청 감사(忠淸監司)ㆍ강원 감사(江原監司) 등을 지냄.
1526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필(士弼)@이사필 - 이사필(李士弼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이공려(李公礪)의 아들로, 명종 때 천추사(千秋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성주 목사(星州牧使) 재임 중에 기민 구제와 전염병 퇴치에 힘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필(師弼)@이사필 - 이사필(李師弼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이증석(李曾碩)의 아들이며 월연(月淵) 이태(李迨)의 아버지. 교위(校尉)를 지냈으며, 무오사화(戊午士禍)가 일어나자 밀양(密陽)으로 퇴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사필(師弼) - 유사필(柳師弼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 유홍(柳泓)의 아들로, 온양 군수(溫陽郡守)를 지냄.
1501~155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하(士夏) - 이만창(李晩昌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우봉(牛峯). 숙종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인 이재(李縡)의 아버지로, 1675년(숙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654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사하(師夏) - 윤사하(尹師夏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영평부원군(鈴平府院君) 윤은(尹垠)의 아들이며, 상주 목사(尙州牧使) 윤탕(尹宕)의 아버지로, 통례원 좌통례(通禮院左通禮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하(師夏)@조사하 - 조사하(趙師夏)
중국 송(宋) 나라 광종(光宗)~영종(寧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이자 손서(孫壻)로, 주희의 예서(禮書) 편찬을 도움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사하(査河) - 목사하(木査河)
황해도 해주(海州) 서쪽에 있는 강 이름.
황해도>해주 , 지명>자연지명
-
사하자(沙河子) - 만주(萬州)
중국 사천성(四川省) 동부 양자강 북안에 있는 고을 이름. 만현(萬縣)의 옛 이름으로 사천성 동부와 귀주성 북부의 산물을 집산하며, 부근에 철광산과 탄광이 있음.
중국 , 지명>행정지명
-
사한(士閑) - 김익돈(金益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김광범(金光範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삼가 , 인명>문사>유학
-
사함(士涵) - 성영(成泳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세평(成世平)의 아들이자 성락(成洛)의 동생. 광해군이 즉위하자 정인홍(鄭仁弘)의 모함을 받아 파직됨. 선조 때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(錄選)됨.
1547~162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