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형(士衡)@육기 - 육기(陸機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. 육조시대(六朝時代) 화려한 시풍의 선구자로, 동생 육운(陸雲)과 함께 ‘이륙(二陸)’으로 일컬어지고, 《문부(文賦)》 등을 저술함. 혜제(惠帝) 때 팔왕(八王)의 난(亂)에 휘말려 동생과 함께 죽임을 당함.
261~30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사형(士衡)@이철균 - 이철균(李鐵均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김굉필(金宏弼)과 교유하였으며, 경학(經學)에 밝고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 등을 지냄.
1450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형(士衡) - 김언평(金彦平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청해군(靑海君) 이우(李堣)와 함께 정희량(鄭希良)의 문집인 《허암유집(虛庵遺集)》을 간행함.
?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형(士衡)@김사형 - 김사형(金士衡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제1차 왕자난 때 태종의 즉위를 도움.
1333~1407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형(士衡)@성세균 - 성세균(成世鈞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성임(成任)의 아들이자 성현(成俔)의 조카로, 성현의 《허백당문집(虛白堂文集)》에 그를 애도한 제문(祭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형(士馨) - 노직(盧稷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교하(交河). 남평 현감(南平縣監) 노홍우(盧弘祐)의 아들로, 1584년(선조 17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였으며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등을 지냈고, 서화에 능함.
1545~161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형집(士衡集) - 육사형집(陸士衡集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학자인 육기(陸機)의 시문집. 남송(南宋) 때 서민첨(徐民瞻)이 유문(遺文) 10권을 얻어 저자의 아우인 육운(陸雲)의 시문과 합하여 《진이준문집(晉二俊文集)》으로 간행한 이후 명대(明代)에 여러 차례 간행됨.
중국>송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호(四皓) - 상산사호(商山四皓)
중국 진(秦) 나라 말기에 난세를 피해 상산(商山)에 은거한 네 명의 노인. 동원공(東園公)ㆍ하황공(夏黃公)ㆍ녹리선생(甪里先生)ㆍ기리계(綺里季)를 이름.
중국>전한ㅣ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집단>조직
-
사호(士浩)@장순손 - 장순손(張順孫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인동(仁同). 1485년(성종 16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고 병조 판서(兵曹判書)ㆍ영의정(領議政) 등을 지냄. 권신 김안로(金安老)의 일파가 되어 벼슬했다는 비난을 받음.
1453~153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호(士浩)@강혼 - 강혼(姜渾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시문(詩文)에 뛰어났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봉해짐.
1464~151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사호(士浩) - 김생명(金生溟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을사사화(乙巳士禍) 후 사직하고 학문연구에만 몰두함.
1504~157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호(士豪)@탁사준 - 탁사준(卓思俊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도호부사(都護府使)를 지낸 탁복해(卓福海)의 아들로, 지현사(知縣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사호(士豪)@남이흥 - 남이흥(南以興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의령(宜寧)으로, 남유(南瑜)의 아들. 이괄(李适)의 난 때 장만(張晚)의 휘하에서 공을 세워 진무공신(振武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정묘호란 때 안주성(安州城) 전투에서 분전하다가 자결함.
1576~162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사호(士豪)@이걸 - 이걸(李傑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손자이며, 용천군(龍川君) 이수한(李壽鷴)의 맏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사호(士豪)@박사호 - 박사호(朴士豪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. 황정욱(黃廷彧)의 《지천집(芝川集)》에 그에게 보낸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길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사호(士豪) - 문세걸(文世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김정(金淨)의 《충암집(冲庵集)》에 실린 〈도문사호(悼文士豪)〉라는 시(詩)의 원주에서 “탐라(耽羅)의 뛰어난 인물인데 요절했다”고 기록되어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사호(師昊) - 서사호(徐師昊)
중국 명(明) 나라의 도사. 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황제의 명으로 고려 산천에 제사를 지내기 위해 사신으로 옴.
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사호(思湖) - 오장(吳長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함양(咸陽). 오건(吳健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고, 광해군 때 영창대군(永昌大君)의 옥사와 폐모론(廢母論)에 맞서다가 삭직되어 낙향한 후, 정온(鄭蘊)을 비호하다가 토산(兎山)으로 유배됨.
?~161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호(沙湖) - 유색(柳穡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유영립(柳永立)의 아들. 근친인 소북(小北)의 영수 유영경(柳永慶)이 전랑(銓郞)에 추천하였으나 사양하였으며, 전라도 관찰사(全羅道觀察使) 재임 시절 권신 한계남(韓繼男)을 탄핵함.
1561~162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호자(謝虎子) - 사거(謝據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사안(謝安)의 형이자 사낭(謝朗)의 아버지로, 중랑(中郞)을 지냄. 사부(謝裒)의 둘째 아들로, 후에 사씨(謝氏)의 6개 지파(支派) 중 하나를 이룸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