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호접(謝蝴蝶) - 사일(謝逸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문인. 사매(謝邁)의 종형(從兄)으로, 강서시파(江西詩派)의 한 사람. 여희철(呂希哲)에게 수학하였고, 박학(博學)하고 시문(詩文)에 뛰어나 황정견(黃庭堅)으로부터 칭탄을 받았으며, 많은 저술을 남김.
?~111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사혼례(士昏禮) - 의례(儀禮)
중국 춘추전국시대에 편찬한 유교 경전. 13경(經) 중의 하나이며, 《주례(周禮)》ㆍ《예기(禮記)》와 함께 삼례(三禮)로 불림. 관혼상제(冠婚喪祭)를 비롯하여 사회적 의식을 자세히 기록한 책으로 원래는 57편이었으나 17편만이 전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사홍(士洪) - 임사홍(任士洪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아들 보성군(寶城君)의 사위로, 두 아들이 각각 예종(睿宗)과 성종(成宗)의 부마가 되면서 권세를 누림. 무오사화(戊午士禍)와 갑자사화(甲子士禍)를 주도하여 많은 중신(重臣)과 선비를 죽임.
?~1506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풍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화(士和) - 노집(盧輯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창(新昌)으로,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을 지낸 노미수(盧尾壽)의 아들. 단성 현감(丹城縣監)ㆍ조지서 사지(造紙署司紙)를 지냈음.
1489~1536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신창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화(士和)@서문숙 - 서문숙(徐文淑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지례 현감(知禮縣監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조광조(趙光祖)의 유문(遺文)을 수집하여 《정암집(靜庵集)》을 편찬하는 데 기여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대구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화(士華)@박사화 - 박사화(朴士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세희(朴世熹)의 아버지로, 군자감 부정(軍資監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화(士華) - 남곤(南袞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심정(沈貞) 등과 함께 기묘사화(己卯士禍)를 일으킨 주역. 문장에 뛰어나고 글씨에도 능함.
1471~152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화(師和) - 박사화(朴師和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증시(贈詩)와 차운시(次韻詩) 등이 실려 있고, 노진(盧禛)의 《옥계집(玉溪集)》에 만시(輓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회(士懷) - 이근(李瑾)
조선 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사회(士晦) - 김해(金澥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안(醴安). 영흥 도호부사 (永興都護府使) 김반천(金半千)의 아들. 상주 목사(尙州牧使)를 지내던 중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아 항전하다가 전사함.
1534~159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회(士晦)@권현 - 권현(權睍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승(權昇)의 넷째 아들로, 정묘호란과 병자호란 때 의병을 모아 활동하였으며, 외직을 두루 거친 후 여주 목사(驪州牧使) 등을 지냄.
1576~1655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회(士會) - 민창수(閔昌洙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좌의정(左議政) 민진원(閔鎭遠)의 아들이며, 민형수(閔亨洙)ㆍ민통수(閔通洙)의 형. 1714(숙종 4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동몽교관(童蒙敎官)ㆍ세자익위사 부솔(世子翊衛司副率) 등을 지냄.
1685~174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회(士誨) - 송유순(宋惟諄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으로, 풍저창 주부(豊儲倉主簿) 송홍(宋泓)의 아들. 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ㆍ목천 현감(木川縣監)을 지냄.
1551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회(思晦) - 김광찬(金光燦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좌의정 김상헌(金尙憲)의 아들이며 영의정 김수항(金壽恒)의 아버지. 병자호란 때 남한산성(南漢山城)으로 인조를 호종하고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를 지냄.
1597~166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효(事孝) - 황사효(黃事孝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로, 영의정 황희(黃喜)의 손자.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ㆍ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냈음. 부랑무상(浮浪無常)한 행동이 많아 방백의 체통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난을 받기도 함.
?~1495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수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효(士孝)@김제민 - 김제민(金齊閔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성(義城). 훈도(訓導) 김호(金灝)의 아들이며, 이항(李恒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이 일어나자 향리에서 의병을 모집하여 왜군을 맞아 싸웠고, 난이 끝난 뒤 학문연구에 전심함.
1527~15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효(士孝) - 권균(權勻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
143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효(士孝)@민사건 - 민사건(閔師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선조 때 대사성을 지낸 민기문(閔起文)의 조부. 1477년(성종 8)에 친시(親試)에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효(士孝)@신봉전 - 신봉전(申奉全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황해도 도사(黃海道都事)를 지낸 신직(申直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효(思孝)@민사도 - 민사도(閔思道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성수침(成守琛)의 사위로, 1542년(중종 37) 정시(庭試)에 합격하여 강령 현감(康翎縣監)ㆍ성균관 직강(成均館直講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