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사효(思孝) - 민사건(閔師騫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으로, 선조 때 대사성을 지낸 민기문(閔起文)의 조부. 1477년(성종 8)에 친시(親試)에 급제하여 충청도 관찰사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효(思孝)@김사효 - 김사효(金思孝)
조선 전기의 유학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, 등암(鐙巖) 이덕익(李德益) 등과 팔현회(八賢會)를 조직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사효(思孝)@선종 - 선종(宣宗)@고려
고려 제13대 왕. 재위 1083~1094. 문종(文宗)의 둘째 아들. 불교를 장려하여 승과(僧科)를 설치하고, 많은 사탑(寺塔)을 건립함.
1049~1094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사후(姒后) - 우(禹)
중국 최초의 국가를 세운 하(夏) 나라의 왕. 순(舜) 임금의 왕위를 계승하여 8년간 재위 중에 하 왕조의 기초를 세우고, 수토(水土)를 잘 다스렸으나 과로로 죽음.
중국>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사후(師厚) - 이사후(李師厚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성주(星州). 개국공신(開國功臣) 이직(李稷)의 아들이자 태종(太宗)의 부마인 이정녕(李正寧)의 아버지로, 한성 부윤(漢城府尹) 등을 지냄.
1382~143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훈(士勛)@정희적 - 정희적(鄭熙績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하동(河東). 이식(李拭)과 함께 서인(西人)의 등용을 막으려다가 반발을 불러일으킴. 임진왜란 때 길주 부사(吉州府使)로서 왜군을 맞아 싸웠으나 안동 부사(安東府使) 재임시 왜적을 막지 않고 도망한 문제로 비변사의 탄핵을 받음.
1541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훈(士勛) - 정광필(鄭光弼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이조 판서(吏曹判書) 정난종(鄭蘭宗)의 아들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영의정(領議政)으로 조광조(趙光祖) 등을 구하려다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로 좌천되었으며, 후에 다시 영의정에 오름.
1462~153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회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휘(士輝) - 문근(文瑾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감천(甘泉). 영남 출신 사림파의 한 사람으로 훈구파와 사림파 사이를 조제(調劑)하는 역할을 함.
1471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휴(四休) - 손방(孫昉)
중국 송(宋) 나라의 태의(太醫). 스스로 ‘불탐불투 포난즉휴(不貪不妒飽暖卽休)’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
-
사휴(士休) - 신준미(申遵美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으로 현량과(賢良科)에 급제하였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취소된 후 벼슬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.
1491~1562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휴(士休)@이안손 - 이안손(李安孫)
조선 전기의 유학. 홍귀달(洪貴達)의 《허백정집(虛白亭集)》에 그에게 부친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휴(思休) - 김만균(金萬均)
조선 효종(孝宗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장생(金長生)의 증손자로, 김익희(金益熙)의 아들이며 강원 감사(江原監司) 김진옥(金鎭玉)의 아버지. 교리(校理)ㆍ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
1631~167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휴거사(四休居士) - 손방(孫昉)
중국 송(宋) 나라의 태의(太醫). 스스로 ‘불탐불투 포난즉휴(不貪不妒飽暖卽休)’라 하여 물욕 없는 편안한 삶의 자세를 추구하였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
-
사휴당(四休堂) - 박공달(朴公達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병조 좌랑(兵曹佐郞) 등을 지냈으며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사림(士林)에 화가 미치자 벼슬에서 물러나 삼가(三可) 박수량(朴遂良)과 함께 경학강의를 하며 여생을 보냄.
1470~?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사흔(士昕) - 윤사흔(尹士昕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윤번(尹璠)의 아들이며, 정희왕후(貞熹王后)의 동생으로,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과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고, 우의정 등을 지냄.
?~148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사흠(士欽) - 김요명(金堯命)
조선 전기의 유학. 정곤수(鄭崑壽)의 《백곡집(栢谷集)》에 〈억김요명유감(憶金堯命有感)〉이란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사희(士熹) - 박사희(朴士熹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함양(咸陽)으로, 훈도(訓導) 박형(朴馨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벼슬을 사양하고 학문에만 전념함.
1508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사희일(謝希逸) - 사장(謝莊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문제(文帝)~효무제(孝武帝) 때의 문신ㆍ시인. 효무제가 즉위할 때 도운 공으로 시중(侍中)에 제수됨. 사부(詞賦)에 뛰어났으며, 대표작으로는《월부(月賦)》가 있음.
421~46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사힐(史頡) - 창힐(蒼頡)
중국 고대(古代)에 전설적인 제왕인 황제(黃帝)의 사관(史官). 최초로 한자(漢字)를 만든 사람으로 전해짐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삭(朔) - 김삭(金朔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산(光山). 김화(金華)의 아들이며, 예조 판서(禮曹判書) 김예몽(金禮蒙)의 아버지로, 사성(司成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