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궁예(弓裔)
통일신라시대 후고구려(後高句麗)의 왕. 재위 901~918. 통일신라 말기에 고구려의 부흥을 표방하고 후고구려를 건국함. 후에 도읍을 철원(鐵圓)으로 옮기고 국호를 태봉(泰封)으로 개칭함. 자신을 미륵불(彌勒佛)이라 칭하며 독재하다가 왕건(王建)의 추대세력에 의해 쫓겨나 죽음.
870~918 한국>통일신라 , 강원도>철원 , 인명>왕실>국왕
-
권감(權瑊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남이(南怡)를 제거하고 예종(睿宗)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익대공신(翊戴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1471년(성종 2)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된 뒤 병조 판서(兵曹判書) 등을 지냈음.
1423~148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권개(權愷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안동 판관(安東判官)을 지낸 안팽로(安彭老)의 장인.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병조 참판(兵曹參判) 등을 지냄.
?~146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거(權擧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근신(權謹臣)의 아버지로 충찬위(忠贊衛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무신
-
권건(權健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람(權攬)의 아들이며 전성군(全城君)의 장인. 1476년(성종 7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 문명(文名)이 높아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ㆍ《역대명감(歷代名鑑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458~150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걸(權傑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길창부원군(吉昌府院君) 권람(權攬)의 아들.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ㆍ경주 부윤(慶州府尹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격(權格)
조선 효종(孝宗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춘추관 기주관(春秋官記注官)을 역임했으며《효종실록(孝宗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620~167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결(權潔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(幼學). 권윤희(權胤禧)의 아들로, 과거에는 뜻을 두지 않고 경서를 깊이 연구하며 이이(李珥)ㆍ성혼(成渾)과 교유함. 이이가 전형(銓衡)으로 있을 때 그의 명석함을 알고 벼슬할 것을 권하였으나 끝내 나아가지 않음.
1534~160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겸(權㻩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1519년(중종 14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김해 부사(金海府使)ㆍ성균관 사성(成均館司成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용궁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겸(權謙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 권보(權溥)의 아들. 공민왕의 배원정책(排元政策)에 의하여 1356년(공민왕 5년) 기철(奇轍)ㆍ노책(盧頙) 등과 함께 죽음을 당함.
?~135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경(權擎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수양대군(首陽大君)을 도와 김종서(金宗瑞)ㆍ황보인(皇甫仁) 등 원로대신을 숙청함.
1429~148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권경룡(權景龍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안동 부사(安東府使) 권소(權紹)의 아들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1561년(명종 16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1537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문사>유학
-
권경석(權景石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균(權勻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경우(權景祐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대사헌 권경희(權景禧)와 이조 정랑 권경유(權景裕)의 형. 무오사화(戊午士禍)에 연루되어 파직, 가산이 적몰(籍沒)됨.
?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경유(權景裕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으로, 김종직의 〈조의제문(弔義帝文)〉을 사초(史草)에 실은 것이 문제가 되어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사형당함.
?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경호(權景虎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안동 부사(安東府使) 권소(權紹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김성일(金誠一)의 천거로 함창(咸昌) 일대의 소모관(召募官)으로 활동했으며, 장성 군수(長城郡守)ㆍ사헌부 감찰(司憲府監察) 등을 지냄.
1546~160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경희(權景禧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예조 참판(禮曹參判)ㆍ사헌부 대사헌(司憲府大司憲)을 지냄.
1451~149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지평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계경(權啓經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후(權厚)의 아들로, 횡성 현감(橫城縣監)을 지냄. 세조(世祖)가 왕위(王位)를 찬탈하자 벼슬을 버리고 은거(隱居)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계창(權繼昌)
조선 전기의 유학(幼學). 고향으로 돌아가는 그에게 보낸 호원(灝元) 권문해(權文海)의 시가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권고(權皐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조부는 찬성사(贊成事) 권단(權㫜)이며, 아버지는 영도첨의사사(領都僉議司事) 권보(權溥).
1294~1379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