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성(守城) - 간성(杆城)
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하나인 청간정(淸磵亭)이 있음.
강원도>간성 , 지명>행정지명
-
수성(守成) - 임수성(任守成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풍천(豐川). 사명당(四溟堂) 유정(惟政)의 아버지.
?~155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성(守誠)@노수성 - 노수성(盧守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송당(松堂) 박영(朴英)의 문인(門人)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성(守誠) - 이수성(李守誠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이행(李荇)의 《용재집(容齋集)》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실려 있음.
?~1506 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성(樹聲) - 육수성(陸樹聲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예부 상서(禮部尙書) 등을 지내고, 저서에 《장수일초(長水日鈔)》ㆍ《육문정공집(陸文定公集)》ㆍ《다요기(茶寮記)》등이 있음.
1509~1605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성(水城)@수원 - 수원(水原)
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사도세자(思悼世子)의 능(陵)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(華山)에 있음.
경기도>수원 , 지명>행정지명
-
수성(水城) - 간성(杆城)
강원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관동팔경(關東八景)의 하나인 청간정(淸磵亭)이 있음.
강원도>간성 , 지명>행정지명
-
수성(輸城) - 수원(水原)
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사도세자(思悼世子)의 능(陵)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(華山)에 있음.
경기도>수원 , 지명>행정지명
-
수성(遂性) - 김수성(金遂性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성균관 유생으로 조광조(趙光祖)의 석방을 탄원했으며, 주로 삼사(三司)의 언관직(言官職)을 역임함.
?~154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성(隋城) - 수원(水原)
경기도 중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사도세자(思悼世子)의 능(陵)이 수원 읍치의 진산인 화산(華山)에 있음.
경기도>수원 , 지명>행정지명
-
수성군(隋城君) - 김한진(金漢眞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공신. 흥왕사(興王寺)의 변(變) 때 김용(金鏞)을 토벌하고, 홍건적(紅巾賊)의 난 때 왕을 호종하고 경성(京城)을 수복한 공으로 일등공신이 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수세(守世) - 윤민철(尹民哲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호조 좌랑(戶曹佐郞) 윤엄(尹儼)의 아들로, 창녕 현감(昌寧縣監) 등을 역임함.
1555~1618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소(守素) - 백수소(白守素)
중국 송(宋) 태종(太宗)~진종(眞宗) 때의 무신. 개봉(開封) 출신으로 활쏘기에 능하였으며, 수차례에 걸쳐 거란(契丹)의 침입을 막는 데 공을 세움.
?~101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수손(首孫) - 김수손(金首孫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거쳐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역임했고, 《경국대전(經國大典)》을 찬진(撰進)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송대(愁送臺) - 수승대(搜勝臺)
경상도 거창(居昌) 위천면(渭川面)에 있는 누대(樓臺). 원래 삼국시대(三國時代) 때 백제에서 신라로 보내는 사신을 송별하던 곳으로, 조선 중종(中宗) 때 이황(李滉)이 개명을 권하여 ‘수승대’로 바꿈.
한국>백제 , 경상도>거창 , 유적>건물>누정
-
수신(受辛) - 주(紂)
중국 은(殷) 나라의 마지막 왕. 제을(帝乙)의 아들로, 달기(妲己) 등의 미인과 음란 방탕한 생활을 즐기고, 비간(比干) 등의 충신을 내치는 등 포악한 정치를 일삼다가 인심을 잃어 주(周) 나라의 무왕(武王)에게 멸망당함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수신(守愼) - 노수신(盧守愼)
조선 인종(仁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. 문장과 서예에 능하고, 양명학(陽明學)을 연구했으며, 불교의 영향을 받기도 함. 대윤(大尹)의 한 사람으로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유배됨.
1515~159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신(守身) - 황수신(黃守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장수(長水)로, 영의정(領議政) 황희(黃喜)의 아들. 영의정에 오르고,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됨. 《법화경(法華經)》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.
1407~14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신장(修身章) - 대학(大學)
유교 경전인 사서(四書)의 하나. 《예기(禮記)》의 제42편이었던 것을 중국 송(宋) 나라의 사마광(司馬光)이 처음으로 따로 떼어서 《대학광의(大學廣義)》를 만들었고, 송 나라의 주희(朱熹)가 《대학장구(大學章句)》를 지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문헌>서명
-
수심(守深) - 이수심(李守深)
고려 원종(元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정주(貞州)로, 사재경(司宰卿)을 지낸 이세화(李世華)의 셋째 아들. 변량(邊亮)과 함께 진도의 삼별초(三別抄)를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움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