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암자(需菴子) - 소현(蕭顯)
중국 명(明) 나라 헌종(憲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서예가. 진녕동지(鎭寧同知)ㆍ복건안찰첨사(福建按察僉事) 등을 지냈으며, 만년에 산해관(山海關) 위춘산(圍春山)의 별장에서 시서(詩書)로 소일하며 여생을 보냄.
1431~150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암집(守庵集) - 수암유고(守庵遺稿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학자인 박지화(朴枝華)의 문집. 1684년(숙종 10) 용강 현령(龍岡縣令) 김구(金構)가 2권 1책 목판으로 간행함.
1684 한국>조선후기 , 평안도>용강 , 문헌>서명
-
수야(秀野) - 유온(劉韞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유갑(柳韐)의 동생으로, 조산대부(朝散大夫)를 지내고, 은거하여 정원의 화목(花木)을 즐기며 시를 읊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약(守約)@홍수약 - 홍수약(洪守約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부림(缶林). 홍하량(洪河量)의 아버지로, 장사랑(將仕郞)에 오름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의흥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약(守約) - 이굉조(李閎祖)
중국 송(宋) 나라 영종(寧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임계 주부(臨桂主簿)ㆍ광서안무사(廣西安撫使) 등을 지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양(睢陽) - 장순(張巡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~덕종(德宗) 때의 장수. 안녹산(安祿山)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수양 태수(睢陽太守) 허원(許遠), 부하인 남제운(南霽雲), 뇌만춘(雷萬春) 등과 함께 수양성(睢陽城)을 지키다가 전사함. 양주 대도독(揚州大都督)에 추증됨.
708~75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수양(隋煬) - 양제(煬帝)
중국 수(隋) 나라의 제2대 황제. 재위 604~618. 문제(文帝)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. 만리장성을 수축하고,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.
569~618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수양(首陽)@숙제 - 숙제(叔齊)
중국 은(殷) 나라의 충신ㆍ은자. 주(周) 나라 무왕(武王)이 은 나라를 치려할 때 형 백이(伯夷)와 함께 말리다가 듣지 않자, 주에서 나는 곡식을 먹는 것도 부끄럽게 여겨 수양산(首陽山)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.
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왕실>왕자
-
수양(首陽)@해주 - 해주(海州)
황해도 남서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. 예로부터 중국과의 교통 요충지의 하나임.
황해도>해주 , 지명>행정지명
-
수양(首陽) - 백이(伯夷)
중국 은(殷) 나라의 충신ㆍ은자. 고죽군(孤竹君)의 아들로, 주(周) 나라 무왕(武王)이 은 나라의 주왕(紂王)을 토벌하자 이를 반대하고 동생인 숙제(叔齊)와 더불어 수양산(首陽山)에 들어가 고사리를 캐 먹다가 죽음.
중국>주ㅣ중국>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은자ㅣ인명>왕실>종친
-
수양대군(首陽大君) - 세조(世祖)@조선
조선 제7대 왕. 재위 1455~1468. 세종(世宗)의 둘째 아들이며, 문종(文宗)의 아우. 계유정난(癸酉靖難)을 통해 집권한 후 국방ㆍ외교ㆍ경제ㆍ문화 등 여러 방면의 개혁을 추진함.
1417~146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수양서원(首陽書院) - 문헌서원(文憲書院)
황해도 해주(海州)에 있는 서원. 조선 명종(明宗) 때 주세붕(周世鵬)이 건립하고 사액(賜額)을 받았으며, 최충(崔冲)을 배향함.
154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수양세가(首陽世家) - 윤희평(尹熙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해주(海州)로, 중추원 부사(中樞院副使) 윤길생(尹吉生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삼포왜란(三浦倭亂) 때 왜적 토벌에 활약하였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69~1545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수양원(首陽院) - 문헌서원(文憲書院)
황해도 해주(海州)에 있는 서원. 조선 명종(明宗) 때 주세붕(周世鵬)이 건립하고 사액(賜額)을 받았으며, 최충(崔冲)을 배향함.
154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수양자(睢陽子) - 손복(孫復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국자감 직강(國子監直講)ㆍ전중승(殿中丞)을 지냈으며, 태산(泰山) 아래에서 문도를 모아 가르치고 글을 저술하여 태산학파(泰山學派)를 이룸. 저서로《수양자집(睢陽子集)》이 있음.
992~105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양정씨(首陽鄭氏) - 해주정씨(海州鄭氏)
고려 후기에 문하시중 겸 평장사(門下侍中兼平章事)를 지낸 정숙(鄭肅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집단>성씨
-
수양제(隋煬帝) - 양제(煬帝)
중국 수(隋) 나라의 제2대 황제. 재위 604~618. 문제(文帝)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. 만리장성을 수축하고,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.
569~618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수언(秀彦) - 양세영(楊世英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첨정(僉正) 양면(楊沔)의 아들로, 상서원 부직장(尙瑞院副直長) 등을 지냄.
1485~153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언(秀彦)@이수언 - 이수언(李秀彦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대사헌(大司憲)ㆍ지중추부 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이며 이선(李選)ㆍ이이명(李頤命)ㆍ이여(李畬)와 함께 대표적인 노론(老論)으로 꼽힘. 청주의 국계사(菊溪祠)에 배향됨.
1636~1697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ㅣ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언(粹彦) - 이수언(李粹彦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손(李蓀)의 아들로, 성종 때 야인(野人)이 변경을 침범하자 허종(許琮)의 종사관(從事官)이 되어 전공을 세우고, 교리(校理) 등을 지냄.
1457~149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