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운(水雲) - 최제우(崔濟愚)
조선 순조(純祖)~고종(高宗) 때의 종교인. 본관은 경주(慶州). 동학(東學)의 창시자로, 풍수사상과 유(儒)ㆍ불(佛)ㆍ선(仙)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(人乃天)을 주장함.
1824~186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ㅣ경상도>양산ㅣ경상도>경주 , 인명>종교인>동학교인
-
수운재(水雲齋) - 최제우(崔濟愚)
조선 순조(純祖)~고종(高宗) 때의 종교인. 본관은 경주(慶州). 동학(東學)의 창시자로, 풍수사상과 유(儒)ㆍ불(佛)ㆍ선(仙)의 교리를 토대로 하여 인내천(人乃天)을 주장함.
1824~186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ㅣ경상도>양산ㅣ경상도>경주 , 인명>종교인>동학교인
-
수운정(水雲亭) - 조희(曺禧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보문각 태학사(寶文閣太學士) 조순(曺純)의 7대손이며, 조숙덕(曺淑德)의 아들. 1517년(중종 12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동래 부사(東萊府使) 등을 지냄.
1490~15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원(壽元)@민수원 - 민수원(閔壽元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1511년(중종 6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, 군기시 정(軍器寺正)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원(壽元) - 이향령(李享齡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종친. 중종(中宗)의 손자인 하원군(河原君) 이정(李鋥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선조(宣祖)를 호종하여 익성군(益城君)에 진봉(進封)되었으며, 김직재(金直哉)의 무옥(誣獄)에 연루되어 거제도(巨濟島)로 유배되었다가 그곳에서 죽음.
1566~1614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원(壽元)@이수원 - 이수원(李壽元)
조선 전기의 종친. 예빈시 부정(禮賓寺副正) 신수린(申壽麟)의 맏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원(守元) - 이수원(李守元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광양군(光陽君) 이세좌(李世佐)의 아들. 충청도 도사(忠淸道都事)ㆍ산릉도감 낭청(山陵都監郞廳) 등을 지냄. 1504년(연산군 10)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함경도 북청으로 유배되었다가 처형됨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원(守元)@조수원 - 조수원(曺守元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모재(慕齋)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으로,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창녕부원군(昌寧府院君) 조석문(曺錫文)의 손자. 충좌위 부사맹(忠佐衛副司猛)을 지냄.
1487~150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수원(秀遠) - 정재륜(鄭載崙)
조선 제17대 효종(孝宗)의 부마. 본관은 동래(東萊). 영의정 정태화(鄭太和)의 아들로 좌의정 정치화(鄭致和)에게 출계하여 효종의 다섯째 딸인 숙정공주(淑靜公主)와 혼인함.
1648~172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인척ㅣ인명>문사>문인
-
수원(粹元) - 효현왕후(孝顯王后)
조선 제24대 헌종(憲宗)의 비(妃)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흥부원군(永興府院君) 김조근(金祖根)의 딸로, 왕후가 된지 2년 뒤에 병으로 죽어 경릉(景陵)에 안치됨.
1828~184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수원(粹源) - 심수원(沈粹源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삼척(三陟). 중종(中宗) 때 우참찬을 지낸 심언광(沈彦光)의 손자이며, 감찰(監察)을 지낸 심열(沈說)의 아버지. 부사용(副司勇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삼척 , 인명>관인>무신
-
수원곶(水源串) - 군옥대(群玉臺)
강원도 고성(高城)에 있는 바위 이름. 금강산(金剛山)의 산줄기가 뻗어나간 것으로, 구사맹(具思孟) 등 많은 시인들이 시재(詩材)로 삼아 작품을 남김.
강원도>고성 , 지명>자연지명
-
수원군(水原君) - 백휘(白揮)
고려 목종(穆宗)~문종(文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목종 때 대사마대장군(大司馬大將軍)으로 수원군(水原君)에 봉해지고, 문종 때 평장사(平章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원성(水原城) - 화성(華城)
조선 정조(正祖) 때 경기도 수원(水原)에 단순히 토축(土築)되어 있던 읍성(邑城)에 성곽을 새로이 축조한 성. 정조는 아버지인 사도세자(思悼世子)를 위하여 화성 가꾸기에 주력함.
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수원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수월당(睡月堂) - 양이하(梁以河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제주(濟州). 양담(梁湛)의 아들이며, 학포(學圃) 양팽손(梁彭孫)의 아버지. 능성(綾城)에 살 때 흥학육영(興學育英)에 힘쓰고, 문자수(文自修)ㆍ민회삼(閔懷參) 등과 함께 읍규(邑規) 등을 재정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능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(水月道場空花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) - 불사문답(佛事問答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승려인 나암(懶菴) 보우(普雨)의 저서. 목판본. 1책. 도인(道人)과 객(客)이 꿈결에 문답하는 형식으로 불사(佛事)의 요체를 설명함.
한국>조선전기 , 문헌>서명
-
수유(須臾) - 기자(箕子)
고조선시대 전설상으로 전하는 기자 조선(箕子朝鮮)의 시조. 은(殷) 나라의 현인(賢人)으로, 주(周) 나라에 의해 은 나라가 망하자 조선에 기자 조선을 건국하였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수유고산(水流高山) - 고산유수(高山流水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악공 백아(伯牙)가 고산유수곡(高山流水曲)을 타자 그의 친구 종자기(鍾子期)가 진실로 그 뜻을 이해하였다는 데서 나온 고사. 음악을 감상하는 능력이 뛰어남을 비유하거나 지기(知己)를 비유할 때, 또는 미묘한 음악, 특히 거문고 소리를 비유하는 말로 쓰임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사상>술어>고사성어
-
수윤(壽胤) - 김수윤(金壽胤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덕수(德水). 경상우도 병마절도사(慶尙右道兵馬節度使) 김일(金軼)의 아버지로, 연안 교수(延安敎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은(唾隱) - 권진(權縉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인품이 강직하여 이이첨(李爾瞻)에게 아부하지 않아 여러 번 탄핵을 받았고, 인조반정(仁祖反正) 때 고관(高官)들이 모두 도주했지만 홀로 조정과 대궐을 호위해 많은 공을 세움.
1572~162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