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은(樹隱) - 김충한(金冲漢)
고려 후기의 유학. 고려가 망하고 조선이 건국되자 출사(出仕)하지 않고 충절을 지킨 두문동칠십이현((杜門洞七十二賢) 중 한 사람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은(睡隱) - 강항(姜沆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성혼(成渾)의 문인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의병으로 활약하다 일본에 잡혀간 뒤 성리학을 전파하여, 일본 주자학의 개조가 된 등원성와(藤原醒窩)에게 학문적 영향을 미침.
1567~1618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은(睡隱)@이사필 - 이사필(李士弼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이공려(李公礪)의 아들로, 명종 때 천추사(千秋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성주 목사(星州牧使) 재임 중에 기민 구제와 전염병 퇴치에 힘씀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이(守伊) - 기화(己和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승려. 최치원(崔致遠)이 주장했던 불교(佛敎)ㆍ유교(儒敎)ㆍ도교(道敎)의 삼교일치설(三敎一致說)을 전개함.
1376~143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수이(守而)@조한영 - 조한영(曺漢英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이식(李植)ㆍ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으로, 《인조실록(仁祖實錄)》의 편찬에 참가하고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 등을 지냄.
1608~167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이(守而) - 유여각(柳汝恪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참찬(參贊) 유간(柳澗)의 아들로, 1613년(광해군 5) 증광시(增廣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동래 부사(東萊府使)ㆍ강계 부사(江界府使) 등을 지냄.
1589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익(受益) - 권수익(權受益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권운(權雲)의 아버지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익(壽益) - 성수익(成壽益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장흥고 영(長興庫令)을 지낸 성예원(成禮元)의 아들.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원종공신(光國原從功臣)에 책록되고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왕비를 호종함.
1528~159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인(壽仁) - 김수인(金壽仁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유학 김언백(金彦伯)의 아버지로, 선무랑(宣務郞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인(守仁) - 김수인(金守仁)
조선 전기의 문신. 좌의정을 지낸 김명원(金命元)의 아들로, 별좌(別坐)를 지내다가 요절함. 윤근수(尹根壽)가 지은 애사(哀詞)가 《월정집(月汀集)》에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인(守仁)@이준의아버지 - 이수인(李守仁)@이준의아버지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으로, 유성룡(柳成龍)의 문인인 이준(李埈)ㆍ이전(李㙉)의 아버지. 사섬시 주부(司贍寺主簿)를 지내고, 후에 좌승지(左承旨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인(守仁)@왕수인 - 왕수인(王守仁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ㆍ문신. 양명학(陽明學)의 창시자. 심성론(心性論)으로 동아시아 여러 나라의 철학 사상에 깊은 영향을 미침.
1472~1528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인(守仁)@이옥의아들 - 이수인(李守仁)@이옥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손자이며, 옥천군(玉泉君) 이옥(李沃)의 아들로, 봉림수(鳳林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인(守訒) - 이수인(李守訒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이행(李荇)과 함께 충주(忠州)로 유배되었다가 다시 거제도(巨濟島)로 이배(移配)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ㅣ경상도>거제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일(受一) - 하수일(河受一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문인. 본관은 진주(晉州). 형조 정랑(刑曹正郞) 등을 지내고, 문장(文章)과 사장(詞章)이 뛰어났으며 권제(權濟)ㆍ손천우(孫天祐) 등과 교유함.
1553~161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수일(守一) - 김수일(金守一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 학문과 후진교육에 전념하였음.
1528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수잠(秀岑) - 유온(劉韞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유갑(柳韐)의 동생으로, 조산대부(朝散大夫)를 지내고, 은거하여 정원의 화목(花木)을 즐기며 시를 읊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잠(秀岑)@안수잠 - 안수잠(安秀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전함사 별좌(典艦司別坐)를 지낸 안범(安範)의 아들로, 1522년(중종 1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군수(郡守)를 지냄.
1486~?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장(壽長)@이의손의아들 - 이수장(李壽長)@이의손의아들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현손이자, 연강수(連江守) 이의손(李義孫)의 아들이며, 안처겸(安處謙)의 장인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장(壽長)@이혼의아들 - 이수장(李壽長)@이혼의아들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을 지낸 이혼(李渾)의 아들이자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낸 이기(李巙)의 아버지. 충좌위 부사과(忠佐衛副司果)ㆍ충좌위 대호군(忠佐衛大護軍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