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장(秀樟) - 박수장(朴秀樟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현감(縣監)을 지낸 박형간(朴亨幹)의 아버지로, 어모장군(禦侮將軍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수장(粹章) - 배수장(裵粹章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김해(金海). 1513년(중종 8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한 배한휘(裵澣輝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재(水齋) - 권상하(權尙夏)
조선 현종(顯宗)~경종(景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(門人)으로, 이이(李珥)를 조종(祖宗)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(畿湖學派)를 이끎.
1641~172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수재(睡齋)@구수복 - 구수복(具壽福)
조선 중종(中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협조하지 않아 삭직되었으며, 후에 구례 현감(求禮縣監) 등을 역임함. 김정(金淨)과 도의(道義)로써 사귀고, 경학(經學)에 몰두하여 많은 후진을 양성함.
1491~153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재(睡齋) - 유인귀(柳仁貴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로, 사간(司諫)을 지낸 유문통(柳文通)의 아들. 봉상시 정(奉常寺正)ㆍ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을 지냄.
1463~153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재(睡齋)@최응현 - 최응현(崔應賢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중종(中宗) 때의 인물인 최세도(崔世道)ㆍ최세절(崔世節)ㆍ최세충(崔世忠) 형제의 아버지로, 여러 관직에 제수되었으나 양친(養親) 등을 이유로 대부분 사임함. 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
1428~1507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재(秀才)@성수재 - 성수재(成秀才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증직된 이교(李嶠)의 장인으로, 절도사(節度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무신
-
수재(秀才) - 주윤창(周允昌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상주(尙州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하에서 김굉필(金宏弼)과 함께 유학(遊學)하였음. 1480(성종 11) 친시(親試)에 급제하였고,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전(秀荃) - 이수전(李秀荃)
조선 후기의 종친. 중종(中宗)의 네 번째 서자인 영양군(永陽君) 이거(李岠)의 양자로, 선조(宣祖) 때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수정(修靜) - 육수정(陸修靜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 문제(文帝)~명제(明帝) 때의 도사. 효무제(孝武帝) 때 여산(廬山)에 은거하여 도잠(陶潛)ㆍ혜원(慧遠) 등과 교유했다고 하며, 명제 때 초빙되어 도교(道敎) 경전을 정리함. ‘호계삼소(虎溪三笑)’의 고사로 유명함.
406~477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수정(壽定) - 이수정(李壽定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(廣平大君) 이여(李璵)의 증손이자, 청안군(淸安君) 이영(李嶸)의 둘째 아들이며, 노공필(盧公弼)의 외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정(守正) - 박사걸(朴士傑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이 자(字)를 지어 주면서 쓴 〈자사(字辭)〉가 《모재집(慕齋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정(守正)@신국형 - 신국형(申國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1524년(중종 19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여 부사(府使)를 지냄. 《장음정유고(長吟亭遺稿)》에 나식(羅湜)의 송별시(送別詩)가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정(守貞) - 이수정(李守貞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로, 광양군(光陽君) 이세좌(李世佐)의 아들이며 이준경(李浚慶)의 아버지. 1501년(연산군 7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예문관 검열(藝文館檢閱)ㆍ홍문관 부수찬(弘文館副修撰) 등을 지냄. 1504년(연산군 10) 갑자사화(甲子士禍)에 연루되어 처형됨.
1477~150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정(秀亭) - 임수정(林秀亭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임적(林頔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정사(水精寺) - 오대사(五臺寺)
고려 인종(仁宗) 때 진억선사(津億禪師)가 지리산(智異山)의 남쪽에 건립한 사찰. 무량수불(無量壽佛)를 모심.
1129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사찰
-
수정사(水精社) - 오대사(五臺寺)
고려 인종(仁宗) 때 진억선사(津億禪師)가 지리산(智異山)의 남쪽에 건립한 사찰. 무량수불(無量壽佛)를 모심.
1129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유적>건물>사찰
-
수제(水帝) - 전욱(顓頊)
중국 고대 전설에 나오는 삼황오제(三皇五帝) 중의 한 사람. 황제(黃帝)의 손자이며 창의(昌意)의 아들로, 천하를 잘 다스려 명군(明君)으로 이름이 높았음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수제(隋帝) - 양제(煬帝)
중국 수(隋) 나라의 제2대 황제. 재위 604~618. 문제(文帝)의 둘째 아들로 형과 아버지를 살해하고 즉위함. 만리장성을 수축하고, 고구려를 침공했다가 대패함.
569~618 중국>수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수조(水曹) - 두보(杜甫)
중국 당(唐) 나라의 시인ㆍ문신. 율시(律詩)에 뛰어났으며, 긴밀하고 엄격한 구성ㆍ사실적 묘사 수법 등으로 인간의 슬픔을 노래함. '시성(詩聖)'으로 불리며, 중국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됨.
712~770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