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지(綏之)@이수록 - 이수록(李綏祿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이극강(李克綱)의 아들이자 이경여(李敬輿)의 아버지. 이원익(李元翼)ㆍ정엽(鄭曄) 등과 교유하고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등을 지냄. 1617년(광해군 9) 인목대비(仁穆大妃)의 폐모론이 대두하자 사직하고 슬퍼하다 죽음.
1564~162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지(綏之) - 김수(金綏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산(光山)으로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. 1525년(중종 2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무예에도 뛰어났음.
1491~155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지의(首知衣) - 우봉(牛峯)
황해도 남동쪽에 있던 옛 고을 이름. 1651년(효종 2)에 강음(江陰)과 병합하여 금천(金川)으로 개명함. 현재 황해북도 금천군(金川郡)에 속함.
황해도>우봉 , 지명>행정지명
-
수진(守眞) - 이수진(李守眞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정주(貞州)로, 사재경(司宰卿)을 지낸 이세화(李世華)의 맏아들. 남원부 통판(南原府通判)을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풍덕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진(守陳) - 양수진(楊守陳)
중국 명(明) 나라 대종(代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헌종(憲宗) 때 《문화대훈(文華大訓)》을 편찬하고, 효종 때 《헌종실록(憲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으며, 이부 우시랑(吏部右侍郞) 등을 역임함.
1425~1489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진(守震) - 이수진(李守震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극감(李克堪)의 손자이며, 이세걸(李世傑)의 아들로, 삼가 현감(三嘉縣監) 등을 지냄.
1482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음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진(秀珍) - 최수진(崔秀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. 사섬시 첨정(司贍寺僉正)ㆍ종친부 전첨(宗親府典籤) 등을 지냄.
1478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창(壽昌) - 임수창(林壽昌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택(平澤). 성종 때 밀양 부사(密陽府使)로 선정을 베풀고, 공조 참의(工曹參議)ㆍ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지냄.
1426~150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평택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채(守蔡) - 오수채(吳守蔡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창(高敞).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을 지낸 오충학(吳沖鶴)의 아들로, 1540년(중종 35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채(遂采) - 오수채(吳遂采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병조 판서를 지낸 오도일(吳道一)의 아들이며 윤증(尹拯)의 문인으로, 대사헌을 지냄. 이돈(李墪)ㆍ엄집(嚴緝)이 증편한 《송도지(松都誌)》를 보완하여 1757년(영조 33)에 《속지(續志)》 1권을 펴냄.
1692~1759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천(壽千)@유수천 - 유수천(柳壽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문화(文化). 공조 판서(工曹判書)를 지낸 유잠(柳潛)의 아버지로, 내자시 판관(內資寺判官)ㆍ귀후서 별제(歸厚署別提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천(壽千) - 민수천(閔壽千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문장에 능하여 사유(師儒)의 직임을 오랫동안 담당하였으며, 강원도 관찰사ㆍ황해도 관찰사ㆍ대사성 등을 역임함.
?~1530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천(壽泉) - 윤수천(尹壽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예천 군수(醴泉郡守)를 지낼 때 쾌빈루(快賓樓)를 중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천(粹天) - 윤국형(尹國馨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으로, 윤희렴(尹希廉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왜적 방어에 실패하여 파직되고, 재기용된 뒤 난리 후의 혼란한 업무들을 처리함. 공조 판서(工曹判書) 등을 지냄.
1543~161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천군(秀泉君) - 이정은(李貞恩)
조선 태종(太宗)의 아들인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둘째 아들. 음률(音律)과 시(詩)에 뛰어나고 청담파(淸談派)의 일원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천도정(秀川都正) - 이정은(李貞恩)
조선 태종(太宗)의 아들인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둘째 아들. 음률(音律)과 시(詩)에 뛰어나고 청담파(淸談派)의 일원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천부정(秀川副正) - 이정은(李貞恩)
조선 태종(太宗)의 아들인 익녕군(益寧君) 이치(李袳)의 둘째 아들. 음률(音律)과 시(詩)에 뛰어나고 청담파(淸談派)의 일원이 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철(壽鐵) - 이수철(李壽鐵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셋째 아들로, 계성군(桂城君) 이순(李恂)의 후사로 출계(出系)함.
1515~156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철(守哲) - 이수철(李守哲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우생(李遇生)의 아들이며, 한산군(漢山君) 이손(李蓀)의 아버지로, 평안도 절도사(平安道節度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초(守初)@조존성 - 조존성(趙存性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양주(楊州). 조창원(趙昌遠)의 아버지로, 성혼(成渾)ㆍ박지화(朴枝華)의 문하에서 수학함. 강화 부사(江華府使) 등 외직 재임시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칭송을 받았으며,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냄.
1554~1628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