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충보사정난익대공신(輸忠保社定難翊戴功臣) - 익대공신(翊戴功臣)
조선 예종(睿宗) 즉위년에 남이(南怡)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내린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분류하여 유자광(柳子光)ㆍ신숙주(申叔舟) 등 총 36명에게 내림.
1468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수충위사동덕좌익공신(輸忠衛社同德佐翼功臣) - 좌익공신(佐翼功臣)
조선 세조(世祖) 1년에 단종(端宗)을 퇴위시키고 세조를 즉위하게 하는 데 공을 세운 사람에게 내린 훈호(勳號). 세 등급으로 나누어 신숙주(申叔舟)ㆍ한명회(韓明澮) 등 총 44명에게 내렸으며, 사육신(死六臣) 사건 이후 41명으로 축소됨.
1455 한국>조선전기 , 법제>제도
-
수친당(壽親堂) - 백미량(白眉良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대흥(大興). 임진왜란 때 공이 큰 백현룡(白見龍)의 아버지. 1525년(중종 20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1501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문사>유학
-
수침(守琛) - 성수침(成守琛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학자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아버지이며, 조광조(趙光祖)의 문인(門人)으로, 기묘사화(己卯士禍)가 일어나자 벼슬을 단념하고 경서 공부에 전념함. 그 문하에서 많은 석학들이 배출됨.
1493~156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ㅣ경기도>파주 , 인명>문사>학자
-
수포석죽(須苞石竹) - 석죽화(石竹花)
패랭이꽃. 바위에서 자란 대나무 꽃이란 의미로, 어떤 장사(壯士)가 석령(石靈)을 물리치기 위해 바위에 쏜 화살이 이 꽃으로 피어났다는 전설이 있음. 6~8월에 진분홍색 꽃이 가지 끝에 하나씩 피고 열매는 삭과(蒴果)를 맺음. 《동문선(東文選)》에 실린 정습명(鄭襲明)의 시가 유명함.
자연물>식물
-
수학(邃學) - 강수학(康邃學)
조선 현종(顯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천(信川). 승의랑(承議郞) 강권(康錈)의 아들로, 안동 부사(安東府使)ㆍ형조 참의(刑曹參議) 등을 지냄.
1614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한(壽鷴) - 이수한(李壽鷴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맏아들이며, 이걸(李傑)ㆍ이탁(李倬)ㆍ이준(李俊)ㆍ이위(李偉)ㆍ이경(李儆)ㆍ이현(李俔)의 아버지로, 용천군(龍川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함(守諴) - 조수함(趙守諴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양(平壤). 의영고 영(義盈庫令) 조성(趙晟)과 장수 현감(長水縣監) 조욱(趙昱)의 아버지로, 정주 판관(定州判官) 등을 지냄.
1471~152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함(守諴)@노수함 - 노수함(盧守諴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송당(松堂) 박영(朴英)의 문인으로, 1540년(중종 35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?~157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수항(壽恒) - 김수항(金壽恒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상헌(金尙憲)의 손자로 가학(家學)을 계승하고 송시열(宋時烈)과 교유함. 노론의 영수로서 기사환국으로 인한 남인의 재집권 때 사사됨. 시문에 뛰어나고 그의 변려문(騈儷文)은 당대 제일로 꼽힘.
1629~1689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수해(竪亥) - 수해(豎亥)
중국 고대 우(禹) 임금 때의 인물. 걸음이 빨라서 우 임금이 그에게 동극(東極)에서 서극(西極), 또는 남극(南極)에서 북극(北極)까지의 걸음 수를 헤아리게 했다고 함.
고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기타인물
-
수헌(守軒) - 강숙경(姜叔卿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강맹경(姜孟卿)의 동생.
1428~14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수헌(睡軒) - 권오복(權五福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이라 하여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김일손(金馹孫)ㆍ권경유(權景裕) 등과 함께 극형에 처해짐.
1467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수헌선생시집(睡軒先生詩集) - 수헌집(睡軒集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권오복(權五福)의 문집. 1585년(선조 18)에 달성 부사(達城府使)로 있던 후손 권문해(權文海)에 의해 3권 2책 목판본으로 간행됨.
15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문헌>서명
-
수헌시집(睡軒詩集) - 수헌집(睡軒集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인 권오복(權五福)의 문집. 1585년(선조 18)에 달성 부사(達城府使)로 있던 후손 권문해(權文海)에 의해 3권 2책 목판본으로 간행됨.
15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대구 , 문헌>서명
-
수현(壽賢) - 김수현(金壽賢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으로,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을 지낸 김진(金鎭)의 아들. 《선조실록(宣祖實錄)》의 편찬에 참여하였고, 병자호란 때에는 끝까지 척화(斥和)를 주장함.
1565~165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수현문(守玄文) - 태현경(太玄經)
중국 한(漢) 나라의 사상가 양웅(揚雄)이 《주역(周易)》을 본떠 지은 책. 10권.
중국>전한 , 중국 , 문헌>서명
-
수형(壽亨) - 김수형(金壽亨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수원(水原). 김사(金嗣)의 아들로, 참봉(參奉)ㆍ주부(主簿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수혜(秀蕙) - 이수혜(李秀蕙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(茂山君) 이종(李悰)의 손자이며, 영안정(永安正) 이학수(李鶴壽)의 아들.
1530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수홍(守弘)@오수홍 - 오수홍(吳守弘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창(高敞). 충무위 부사직(忠武衛副司直)을 지낸 오충학(吳沖鶴)의 아들로, 1540년(중종 35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