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수홍(守弘) - 정수홍(鄭守弘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. 정가종(鄭可宗)의 아들로, 문장과 덕행이 뛰어나 권근(權近)ㆍ하륜(河崙)ㆍ성석린(成石璘) 등과 교유하였으며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동래 , 인명>관인>문신
-
수홍(粹洪) - 김수홍(金粹洪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순천(順天). 선공감 정(繕工監正)을 지낸 김약균(金若鈞)의 아들로, 1480년(성종 1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수환(壽環) - 이수환(李壽環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첫째 아들.
1508~156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황(壽皇) - 효종(孝宗)@송
중국 송(宋) 나라의 제11대 황제. 재위 1162~1189. 장준(張浚)에게 명하여 금(金)을 정벌하려 했지만 실패하자 금과 숙질(叔姪) 관계로 화의(和議)를 맺음. 내정(內政) 개혁을 실시해 강남(江南)의 개발이 진척되어 북송(北宋)을 능가하는 번영을 이룸.
1127~119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수효(壽㹲) - 이수효(李壽㹲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넷째 아들이며, 양성군(陽城君) 이륜(李倫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수효(秀孝) - 황수신(黃守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장수(長水)로, 영의정(領議政) 황희(黃喜)의 아들. 영의정에 오르고, 세조 등위에 공을 세워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됨. 《법화경(法華經)》등 불경의 번역을 주관함.
1407~1467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장수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수흥(壽興) - 김수흥(金壽興)
조선 효종(孝宗)~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냈으나 기사환국(己巳換局) 때 장기(長鬐)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음. 저서에 《퇴우당집(退憂堂集)》 5책이 있음.
1626~169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장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수희(壽禧) - 장수희(張壽禧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인동(仁同).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 이산서원(伊山書院)에 배향되었음.
1516~158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문사>유학
-
숙(俶)@윤숙 - 윤숙(尹俶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영의정 윤필상(尹弼商)의 아들로, 승정원 좌부승지(承政院左副承旨)와 판결사(判決事) 등을 지냈으나,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아버지의 죄에 연좌되어 억울하게 죽음.
?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俶) - 이숙(李俶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 이회(李懷)의 손자이며, 광천군(廣川君) 이수기(李壽祺)의 첫째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숙(俶)@성숙 - 성숙(成俶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성순조(成順祖)의 아들이며 성준(成俊)의 형으로, 한성부 판윤(漢城府判尹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淑)@한숙 - 한숙(韓淑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당진(唐津)으로, 세마(洗馬) 한근(韓瑾)의 아들. 공조 판서 등을 지냈으나,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대윤(大尹)인 윤임(尹任)과 교분이 두텁다 하여 파직되어 이산(理山)에 유배된 뒤 그곳에서 죽음.
1494~1560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당진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淑)@조숙 - 조숙(曺淑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으로, 조승로(曺承老)의 아들. 1540년(중종 35)에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시정(寺正)을 지냄. 김인후(金麟厚)ㆍ임운(林芸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창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淑)@이숙 - 이숙(李淑)
조선 전기의 종친. 태조(太祖)의 서제(庶弟)인 의안대군(義安大君) 이화(李和)의 아들로,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 의정부 찬성사(議政府贊成事) 등을 지냄.
1373~140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숙(淑)@유숙 - 유숙(柳淑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기철(奇轍) 일당을 제거한 공으로 안사공신(安社功臣)에 책록되고, 홍건적의 난 때 공민왕을 호종한 공으로 충근절의찬화공신(忠勤節義贊化功臣)이 된 뒤 서령군(瑞寧君)에 봉해짐.
1324~1368 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덕산ㅣ전라도>영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(淑)@양숙 - 양숙(梁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를 지낸 양성지(梁誠之)의 손자. 사옹원 정(司饔院正)ㆍ사섬시 정(司贍寺正) 등을 지냄.
1471~1528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淑)@김숙 - 김숙(金淑)
조선 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1454년(단종 2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여 현감(縣監)ㆍ부사(府使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淑)@홍숙 - 홍숙(洪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으로 공조 참의(工曹參議) 홍서주(洪敍疇)의 아버지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여 추성정난공신(推誠定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나, 작서지변(灼鼠之變)에 연루되어 삭직된 뒤 과천(果川)으로 추방됨.
1464~1538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(淑)@나숙 - 나숙(羅淑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정(安定). 나세걸(羅世傑)의 아들이며 나식(羅湜)의 아우. 을사명현(乙巳名賢)의 한 사람으로, 부제학(副提學) 등을 지냈으나 을사사화에 연루되어 경원(慶源)에 안치되었다가 사사됨.
?~154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비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淑) - 왕숙(王淑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선왕(忠宣王) 때의 문신ㆍ종친. 경안궁주(慶安宮主)와 혼인하였다가 뒤에 다시 충렬왕의 딸인 정녕원비(靖寧院妃)와 재혼함. 원(元) 나라에 머물렀던 충선왕의 전지정치(傳旨政治)로 인해 국정을 대행함.
1238~1312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