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숙(淑)@최숙 - 최숙(崔淑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화순(和順). 세종(世宗) 때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낸 최준(崔濬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화순 , 인명>문사>유학
-
숙(淑)@정숙 - 정숙(鄭淑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초계(草溪). 청계군(淸溪君) 정윤겸(鄭允謙)의 아들이며, 팔계군(八溪君) 정종영(鄭宗榮)의 아버지. 당진 현감(唐津縣監)을 지내고, 좌찬성(左贊成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潚)@유숙 - 유숙(柳潚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예조 참의ㆍ대사간ㆍ부제학 등을 지냈으나, 인조반정(仁祖反正) 이후 계부(季父) 유몽인(柳夢寅)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. 고산(高山)의 삼현영당(三賢影堂)에 제향됨.
1564~16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潚) - 이숙(李潚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둘째 아들로, 세종의 열 번째 서자인 담양군(潭陽君) 이거(李璖)에게 출계함. 안악 군사(安岳郡事) 허준(許峻)의 딸과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숙(琡) - 박숙(朴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박경연(朴慶延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숙부인 박경신(朴慶新)ㆍ박경인(朴慶因), 형제, 조카들과 함께 경상도 청도(淸道)에서 창의(倡義)하여 선무공신(宣武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청도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숙(璹)@최숙 - 최숙(崔璹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주(海州). 호조 정랑(戶曹正郞)을 지낸 최창손(崔昌孫)의 아들로, 김포 현령(金浦縣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璹) - 왕숙(王璹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숙왕(忠肅王) 때의 종친. 현종(顯宗)의 11대손으로, 원(元) 나라 궁정의 세력을 믿고 많은 불법을 저질렀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숙(肅)@권숙 - 권숙(權肅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문신. 왕후(王煦)의 손자이며 왕중귀(王重貴)의 아들. 양촌(陽村) 권근(權近)의 상주(上奏)로 복성(復姓)되었으며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肅)@이숙 - 이숙(李肅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평창(平昌)으로, 목조(穆祖)의 비(妃)인 효공왕후(孝恭王后)의 아버지. 천우위 장사(千牛衛長史)를 지냄.
한국>고려후기 , 강원도>평창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숙(肅)@신숙 - 신숙(辛肅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영산(靈山). 정언(正言)을 지낸 신건(辛健)의 아버지이고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낸 강석덕(姜碩德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숙(肅) - 여택(呂澤)
중국 한(漢) 고조(高祖)의 외척. 황후인 여후(呂后)의 오빠로 유방(劉邦)을 도와 많은 공을 세움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인척
-
숙간(叔幹)@홍계정 - 홍계정(洪係貞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봉상시 부정(奉常寺副正) 홍윤덕(洪潤德)의 아들이며 남녕부원군(南寧府院君) 홍춘경(洪春卿)의 아버지로, 예문관 대교(藝文館待敎) 등을 지냄.
1471~151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간(叔幹) - 정충량(鄭忠樑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동래(東萊)로, 형조 판서(刑曹判書)를 지낸 정광세(鄭光世)의 아들. 도승지(都承旨)ㆍ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냈으나,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탄핵을 받고 피척(被斥)됨.
1480~152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간(肅簡)@윤승길 - 윤승길(尹承吉)
조선 명종(明宗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. 윤홍언(尹弘彦)의 아들이며, 인성군(仁城君) 이공(李珙)의 장인. 임진왜란 때 군량미 조달 등 많은 공을 세우고, 의정부 좌참찬(議政府左參贊) 등을 지냄.
1540~161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간(肅簡)@노종도 - 노종도(魯宗道)
중국 송(宋) 나라 진종(眞宗)~인종(仁宗) 때의 문신. 명신인 여희철(呂希哲)의 외할아버지로, 정직함으로 인해서 노직(魯直)이라 불리기도 하고 어두참정(魚頭參政)이라 불리기도 함.
966~1029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간(肅簡)@김첨경 - 김첨경(金添慶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윤개(尹漑)를 비판하다 죽을죄에 몰린 김규(金虯) 등을 구원하고, 천추사(千秋使)로 명(明) 나라에 다녀왔으며,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 역학(易學)과 경학(經學)에 밝음.
1525~158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간(肅簡) - 윤봉오(尹鳳五)
조선 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윤명운(尹明運)의 아들이며, 윤봉구(尹鳳九)의 아우로, 연잉군(延礽君) 시절의 영조를 측근에서 보필하였고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 등을 역임함.
1688~1769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감(淑瑊) - 이숙감(李淑瑊)
조선 단종(端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으로, 연성부원군(延城府院君) 이말정(李末丁)의 아들. 세조(世祖)가 즉위하자 좌익원종공신(佐翼原從功臣)으로 책록되었으며, 성균관 대사성(成均館大司成)ㆍ이조 참의(吏曹參議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강(叔剛) - 윤흥의(尹興義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파평(坡平). 윤임(尹任)의 둘째 아들로, 1543년(중종 3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아버지와 삼형제가 모두 사사됨.
?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숙강(叔康) - 원숙강(元叔康)
조선 세조(世祖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로, 원호(元昊)의 손자.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 편찬에 참여하였는데 문젯거리가 될 사초를 빼내어 고쳤다가 사실이 발각되어 처형당함.
?~1469 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원주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