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숙강(叔强)@권건 - 권건(權健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람(權攬)의 아들이며 전성군(全城君)의 장인. 1476년(성종 7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 문명(文名)이 높아 《성종실록(成宗實錄)》ㆍ《역대명감(歷代名鑑)》의 편찬에 참여함.
1458~150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강(叔强) - 이세건(李世健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신평(新平). 이계완(李季完)의 아들로,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상의원 정(尙衣院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개(叔玠) - 왕규(王珪)@당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왕승변(王僧辯)의 손자로, 고조(高祖) 때 태자중사인(太子中舍人)이 되어 이건성(李建成)을 보필하였으나, 이건성이 피살된 후 태종(太宗)이 즉위하자 재기용되어 예부 상서(禮部尙書) 등을 지냄.
571~63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개(叔蚧) - 왕규(王珪)@당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왕승변(王僧辯)의 손자로, 고조(高祖) 때 태자중사인(太子中舍人)이 되어 이건성(李建成)을 보필하였으나, 이건성이 피살된 후 태종(太宗)이 즉위하자 재기용되어 예부 상서(禮部尙書) 등을 지냄.
571~639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겸(叔謙)@손숙겸 - 손숙겸(孫叔謙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평해(平海). 손경유(孫景裕)의 아들이며, 호조 참판(戶曹參判) 손식(孫軾)의 아버지로, 의서 습독관(醫書習讀官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평해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겸(叔謙) - 변훈남(卞勳男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초계(草溪). 여러 관직을 거처 현령(縣令)을 지냈으며, 청백리(淸白吏)에 녹선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경(叔京)@김호 - 김호(金鎬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진산 군수(珍山郡守)를 지낸 김종윤(金宗胤)의 아들. 문음(門蔭)으로 와서 별제(瓦署別提)에 보임된 후 지례 현감(知禮縣監) 등을 역임함. 초서(草書)와 예서(隸書)를 잘 썼고 역서(易筮)에 통달함.
1505~1561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경(叔京)@홍호 - 홍호(洪鎬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계(缶溪)로, 홍덕록(洪德祿)의 아들. 정경세(鄭經世)의 문인으로, 공조 참의(工曹參議)ㆍ대사간(大司諫)을 지냄. 문신이면서도 용병에 관한 지식이 많아 국책에 반영시키려고 노력함.
1586~1646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경(叔京) - 하호(何鎬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강변(講辨)에 정밀하였으며, 저서에 《담주선화령(潭州善化令)》이 있음.
1128~1175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숙경(叔卿)@이평 - 이평(李坪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부제학(副提學) 이윤(李胤)의 아버지로, 사온서 영(司醞署令)을 지냄.
1440~14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경(叔卿) - 소봉(蘇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소세량(蘇世良)의 아들로, 1525년(중종 20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고,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역임함.
1509~156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익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경(叔卿)@강숙경 - 강숙경(姜叔卿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영의정(領議政)을 지낸 강맹경(姜孟卿)의 동생.
1428~14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경(叔敬) - 한상경(韓尙敬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로, 청성군(淸城君) 한수(韓脩)의 셋째 아들. 이성계(李成桂)를 추대하는 모의에 가담하고 조선 건국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영의정 등을 역임함.
1360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경(叔經) - 김길통(金吉通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1432년(세종 1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장원급제한 뒤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내고,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어 월천군(月川君)에 봉해짐.
1408~1473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풍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경(淑卿) - 이평(李泙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좌의정 이원(李原)의 손자로, 음보(蔭補)로 벼슬하여 사온서 영(司醞署令) 등을 역임함.
1440~14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경(淑敬) - 명헌왕후(明憲王后)
조선 제24대 헌종(憲宗)의 계비(繼妃). 본관은 남양. 영돈녕부사(領敦寧府事)를 지낸 홍재룡(洪在龍)의 딸. 자녀는 없음.
1831~1904 한국>근대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숙계(叔契) - 이장(李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간성(杆城). 주을온 병마 만호(朱乙溫兵馬萬戶)을 지낸 이효강(李孝綱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안변 , 인명>문사>유학
-
숙고(叔高) - 두유(杜斿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. 남송(南宋) 이종(理宗) 단평(端平) 연간에 비각교수(秘閣校讐)를 역임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숙고(肅考) - 숙종(肅宗)@조선
조선 제19대 국왕. 재위 1674~1720. 절정에 달한 붕당정치(朋黨政治) 속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민생안정책의 시행에 주력함.
1661~172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숙공(叔恭) - 임각(林恪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고제자(高弟子)로, 절강성(浙江省) 태주(台州) 천태현(天台縣) 사람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