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숙공(叔貢) - 황효헌(黃孝獻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담론(談論)과 학문을 좋아하고 문장에 뛰어났으며, 풍의(風儀)가 아름다워 귀공자 같았다고 함. 이행(李荇)과 함께 《신증동국여지승람(新增東國輿地勝覽)》 편찬에 참여함.
1491~153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구(叔惧) - 남변(南忭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형조 정랑(刑曹正郞)을 지낸 남이(南儞)의 아들.
1454~149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규(叔圭)@강지 - 강지(江贄)
중국 송(宋) 나라 휘종(徽宗) 때의 학자. 《자치통감(資治通鑑)》 294권을 선별하여 50권으로 엮어 《자치통감절요(資治通鑑節要)》를 만들었으나 당시에는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다가, 후손 강묵(江默)이 주희(朱熹)의 문하에 출입하면서 질정(質正) 하여 유명해짐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숙규(叔圭) - 강서(姜瑞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진주(晉州). 수의부위(修義副尉)를 지낸 강세응(姜世應)의 아들. 효행으로 정려각(旌閭閣)이 세워짐.
1510~15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문사>유학
-
숙기(叔琪) - 이숙기(李叔琪)
고려 후기의 문신. 밀직 대언(密直代言) 등을 지냈으며, 익재(益齋) 이제현(李齊賢)과 교유함. 이제현의 《익재난고(益齋亂稿)》에 그의 죽음을 애도하며 지은 시 등이 실려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기(叔起) - 김흥경(金興慶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로, 김두성(金斗星)의 아들. 숙종 때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역임하다가 경종(景宗) 때 신임사화(申壬士禍)에 관련되어 파직되었으나, 영조 등극 후 영의정(領議政)에 이름.
1677~1750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숙기(淑琦) - 이숙기(李淑琦)
조선 단종(端宗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이시애(李施愛)의 난(亂)에 공을 세워 적개공신(敵愾功臣)에 책록되고, 성종 때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29~1489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연안 , 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기타인명>공신
-
숙기(淑綺) - 배숙기(裵淑綺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대구(大丘). 1540년(중종 35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승문원 교리(承文院校理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남(叔南) - 김숙남(金叔南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수원(水原). 진의부위(振義副尉) 김예중(金禮仲)의 아들로, 충순위 적순부위(忠順衛迪順副尉)에 이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수원 , 인명>관인>무신
-
숙녜(肅禰) - 충숙왕(忠肅王)
고려 제27대 왕. 재위 1313~1330, 1332~1339. 충선왕(忠宣王)의 둘째 아들. 원(元) 나라의 세공(歲貢)을 삭감하고 공녀(貢女)ㆍ환자(宦者)의 선발을 중지시키는 등의 업적을 이루었으나, 뒤에 사냥과 연회 등에 빠져 정사를 제대로 돌보지 않음.
1294~133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숙단(叔旦) - 주공(周公)
중국 주(周) 나라의 종친. 주 나라 문왕(文王)의 아들이며 무왕(武王)의 동생. 무왕을 도와 은(殷) 나라의 주왕(紂王)을 치고, 성왕(成王)을 도와 예악과 제도를 정비하여 주 나라의 기초를 세우는 데 기여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ㅣ인명>왕실>왕자
-
숙단(叔段) - 공숙단(共叔段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정(鄭) 나라 장공(莊公)의 동생. 어머니 무강(武姜)과 내통하여 반역을 꾀했으나, 장공이 이들의 계획을 알고 공숙단의 군대를 격퇴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종친
-
숙달(叔達) - 권민수(權敏手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이조 좌랑으로서 직언을 하다가 영외(嶺外)에 유배되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나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466~151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달(叔達)@무제 - 무제(武帝)@남북조(양)
중국 남북조시대 양(梁) 나라의 초대 황제. 재위 502~549. 경릉팔우(竟陵八友) 중 한 사람이며, 불교를 신봉해 500여 개의 사찰을 세움.
464~549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숙담(叔聃) - 나숙담(羅叔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나주(羅州).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 나윤명(羅允明)의 아버지로, 군수(郡守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대(叔大) - 장거정(張居正)
중국 명(明) 나라 목종(穆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재상으로서 국정을 잘 다스렸으나, 잔혹하고 지나치게 엄격하다는 비난을 들음. 저서로 《서경직해(書經直解)》ㆍ《장태악집(張太岳集)》등이 있음.
1525~1582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대(叔帶) - 왕자대(王子帶)
중국 주(周) 나라의 왕자. 양왕(襄王)의 숙부로, 양왕이 즉위하자 북적(北狄)을 이용해 찬탈하려 하였으나 실패하고 진(晉) 문공(文公)에게 죽임을 당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숙덕(淑德) - 조숙덕(曺淑德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창녕(昌寧). 보문각 태학사(寶文閣太學士) 조순(曺純)의 6대손이며, 동래 부사(東萊府使) 조희(曺禧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담양 , 인명>문사>유학
-
숙덕후(淑德侯) - 장송(張竦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. 단양 태수(丹陽太守)를 지내고, 왕망(王莽)에게 숙덕후(淑德侯)의 봉작을 받았다가 후에 피살됨. 근신하며 법도가 있는 선비였기 때문에 술을 좋아한 친구 진준(陳遵)의 핀잔을 받음.
중국>신ㅣ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@사마영 - 사마영(司馬穎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 무제(武帝)의 열여섯째 아들. 교지명(喬智明)과 육기(陸機)를 발탁하여 장군으로 등용하고, 무제가 죽은 후 팔왕(八王)의 난(亂)에 참여하여 한때 권력을 가졌으나 곧 실각하여 목매어 자살함.
279~30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