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권단(權㫜)
고려 고종(高宗)~충선왕(忠宣王) 때의 문신ㆍ승려. 한림학사 권위(權韙)의 아들로, 찬성사(贊成事)로 치사(致仕)하고 선흥사(禪興寺)에 들어가 승려가 됨.
1228~131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종교인>승려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달수(權達手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광흥창 주부(廣興倉主簿) 권림(權琳)의 아들. 1504년(연산군 10) 연산군의 생모 윤씨를 종묘에 모시는 것에 반대하다가 유배되고, 다시 압송되어 국문을 받던 중 옥사함.
1469~150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ㅣ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담(權湛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전법판서(典法判書) 권호(權鎬)의 아들. 고려 말에 남원 부사(南原府使) 등을 지냈고, 조선 개국 후 공주 목사(公州牧使)ㆍ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지냄.
?~1423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당(權鏜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한산 군수(韓山郡守)를 지낸 권세호(權世豪)의 아들이며 양구 현감(楊口縣監)을 지낸 권응시(權應時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대기(權大器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. 1552년(명종 7) 생원시(生員試)에 합격했으나 벼슬길에 나가지 않고 후학을 양성함.
1523~158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권대응(權大凝)
조선 전기의 문신. 훈도(訓導)를 지냈고 권문해(權文海)와 교유하였으며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만사(輓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덕수(權德秀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공주 목사(公州牧使)를 지낸 권박(權博)의 아들. 1546년(명종 1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참봉(參奉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덕신(權德臣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란(權鸞)의 아들로, 아들인 선무공신(宣武功臣) 권응수(權應銖)의 공으로 인해 의정부 우찬성(議政府右贊成) 능라군(綾羅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신녕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덕여(權德輿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상주 목사(尙州牧使)를 지낸 권박(權博)의 아들이며 송인수(宋麟壽)의 문인으로, 부제학(副提學)과 대사간(大司諫) 등을 지냄. 이이(李珥)의 처벌에 동조하여 성주 목사(星州牧使)로 좌천됨.
1518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덕유(權德裕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공주 목사(公州牧使)를 지낸 권박(權博)의 아들이며, 이조 판서(吏曹判書)를 지낸 권극례(權克禮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덕윤(權德潤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의 종형(從兄)으로 단양 훈도(丹陽訓導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도(權濤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사포서 별좌(司圃署別坐)를 지낸 권세춘(權世春)의 아들. 정구(鄭逑)ㆍ장현광(張顯光)의 문인이며, 유효립(柳孝立)의 옥사를 다스린 공으로 영사원종공신(寧社原從功臣)에 책록됨.
1557~1644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동미(權東美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충재(冲齋) 권벌(權橃)의 아들. 용궁 현감(龍宮縣監)ㆍ초계 군수(草溪郡守) 등을 지냄.
1525~158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동보(權東輔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과 관련해 아버지 권벌(權橃)이 귀양가 죽자, 관직을 버리고 두문불출함.
1517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두경(權斗經)
조선 숙종(肅宗)~경종(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권유(權濡)의 아들이며, 이현일(李玄逸)의 문인으로, 홍문관 부수찬(弘文館副修撰) 등을 지냄. 시와 문장에 뛰어나고, 인물의 출처(出處)와 정치의 득실(得失) 등 다방면에 안목이 뛰어남.
1654~17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두굉(權斗紘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유(權濡)의 아들이자, 창설재(蒼雪齋) 권두경(權斗經)의 아우이며, 병조 정랑(兵曹正郎)을 지낸 권만(權萬)의 아버지로, 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
1668~174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두문(權斗文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포로가 되었다가 탈출하여 그때의 일을 《호구일록(虎口日錄)》으로 남김.
1543~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두인(權斗寅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공조 좌랑(工曹佐郞)을 지냈으나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에 전심함.
1643~171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봉화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득(權得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조 참판(吏曹參判) 권숙(權肅)의 아들이며, 병조 정랑(兵曹正郞) 권호(權瑚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득개(權得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의 청성정사(靑城精舍)에서 《역경(易經)》을 배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