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숙도(叔度)@염범 - 염범(廉范)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문신. 촉군 태수(蜀郡太守)로서 불합리한 법령을 없애는 등 민생(民生) 위주의 정사를 펴서 백성들의 칭송을 받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@이칙 - 이칙(李則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성(固城). 좌의정 이원(李原)의 손자로, 성종 때 임사홍(任士洪)의 등용을 반대하였으며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역임함.
1438~149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@조신 - 조신(曺伸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역관ㆍ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(司譯院正)에 특선(特選)되었고, 명(明) 나라에서 시(詩)로 이름을 날림. 조위(曺偉)의 서제(庶弟)이며, 김종직(金宗直)의 처남.
145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금산 , 인명>관인>역관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 - 김첨(金瞻)@1542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전한(典翰) 김홍도(金弘度)의 아들. 이이(李珥)를 탄핵하다가 지례 현감(知禮縣監)으로 좌천되고, 1584년(선조 17) 파직되었다가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죽음.
1542~?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@민기문 - 민기문(閔起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권신 김안로(金安老)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, 봉성군(鳳城君)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(林川)에 부처됨. 선조 때 대사성(大司成)ㆍ좌승지(左承旨)를 역임함.
1511~157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@김상헌 - 김상헌(金尙憲)
조선 선조(宣祖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서인 청서파(淸西派)의 영수이며, 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는 끝까지 주전론(主戰論)을 주장함. 효종이 즉위해 북벌을 추진할 때 그 이념적 상징으로 ‘대로(大老)’라고 존경을 받음.
1570~165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ㅣ경기도>양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@반경헌 - 반경헌(潘景憲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반경유(潘景愈)의 형으로, 태평교수(太平敎授)를 역임하였으며, 여조겸(呂祖謙)과 교유함.
1134~119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@하숙도 - 하숙도(何叔度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 안제(安帝)~송(宋) 문제(文帝) 때의 문신. 상서령(尙書令) 하상지(何尙之)의 아버지로, 오군 태수(吳郡太守) 등을 지냄.
?~431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@황맹헌 - 황맹헌(黃孟獻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ㆍ공신. 본관은 장수(長水). 영의정 황희(黃喜)의 현손이며 김해 부사(金海府使) 황관(黃瓘)의 아들.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고, 이과(李顆)의 옥사(獄事)를 다스린 공으로 정난공신(定難功臣)에 책록됨.
1472~153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도(叔度)@황헌 - 황헌(黃憲)@후한
중국 후한(後漢) 때의 학자. 학행(學行)으로 한 시대의 추숭을 받았고, 효렴(孝廉)으로 천거되어 경사(京師)에 이르렀으나 벼슬하지 않아 징군(徵君)이라 일컬어졌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숙도(叔道)@김상임 - 김상임(金相任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광주(光州). 한성부 판관(漢城府判官) 김무택(金茂澤)의 아들로, 1789년(정조 13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 남공철(南公轍)과 교유함.
1753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숙도(叔道) - 민기문(閔起文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주(驪州). 권신 김안로(金安老)를 비방하다 덕산에 장류되었고, 봉성군(鳳城君)의 옥사에 연루되어 임천(林川)에 부처됨. 선조 때 대사성(大司成)ㆍ좌승지(左承旨)를 역임함.
1511~1574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돈(叔暾) - 손숙돈(孫叔暾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. 이언적(李彦迪)의 외숙으로, 조한보(曺漢輔)와 무극(無極)ㆍ태극(太極)에 관한 논변서(論辨書)를 주고받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문사>학자
-
숙동(叔仝) - 노숙동(盧叔仝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천(豊川)으로, 노언(盧焉)의 아들. 《자치통감훈의(資治通鑑訓義)》ㆍ《치평요람(治平要覽)》편찬에 참여하고, 예문관 대제학(藝文館大提學)ㆍ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를 지냄.
1403~146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동(淑童) - 서숙동(徐淑童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달성(達城). 대사간(大司諫)을 지낸 서구연(徐九淵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유학
-
숙량(叔樑) - 이숙량(李叔樑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이현보(李賢輔)의 아들이며, 이황(李滉)의 문인(門人)으로, 관직에 나아가지 않고 성리학(性理學) 연구에 전념함.
1519~159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문사>학자
-
숙량(叔良) - 안숙량(安叔良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통례원 인의(通禮院引儀)를 지낸 안보문(安普文)의 아버지로, 동궁 시직(東宮侍直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안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량씨(叔梁氏) - 숙량흘(叔梁紇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. 안징재(顔徵在)와 야합(野合)하여 유학(儒學)의 개조(開祖)인 공자(孔子)를 낳음. 계성사(啓聖祠)에서 제향함.
?~B.C.549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숙령(叔領) - 조숙령(趙叔領)
고려 후기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승려 혼수(混脩)의 아버지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릉(叔陵) - 노비(魯丕)
중국 후한(後漢) 장제(章帝)~화제(和帝) 때의 문신․학자. 노공(魯恭)의 아우로, 좌중랑장(左中郞將) 등을 지냈으며, 오경(五經)에 정통하고, 《노시(魯詩)》ㆍ《상서(尙書)》를 가르쳐 명유(名儒)로 일컬어짐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