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숙릉(淑陵) - 정숙왕후(貞淑王后)
조선 태조(太祖)의 증조부인 익조(翼祖)의 비(妃). 본관은 등주(登州). 고려 때 호장(戶長)을 지낸 최기열(崔基烈)의 딸로, 태조가 정비(貞妃)로 추존하고 태종(太宗)이 정숙(貞淑)의 시호를 더함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안변 , 인명>왕실>왕비
-
숙명(叔明)@김형 - 김형(金逈)
조선 전기의 은사(隱士)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칠촌(漆村) 김충남(金忠南)의 아들. 제봉(霽峯) 고경명(高敬命)의 문인(門人)으로, 문장과 덕행이 뛰어났으나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은거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기타인명>은자
-
숙명(叔明) - 이지유(李之柔)
고려 공양왕(恭讓王)~조선 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집(李集)의 셋째 아들로, 성주 목사(星州牧使)를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광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명(叔明)@고응척 - 고응척(高應陟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범(金範)의 문인. 《대학(大學)》의 여러 편을 시조로 읊어 교훈시를 만드는 등 사상적 체계를 시(詩)ㆍ부(賦)ㆍ가(歌)ㆍ곡(曲) 등으로 표현함.
1531~160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모전(肅慕殿) - 초혼각(招魂閣)
조선 세조(世祖)가 단종(端宗) 및 그의 충신들을 제향하기 위해 건립한 제각(祭閣). 충청남도 공주(公州)의 동학사(東鶴寺) 경내에 있음.
1458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공주 , 유적>건물>사당
-
숙묘(叔畝) - 이숙묘(李叔畝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. 이색(李穡)의 손자이며, 진안대군(鎭安大君) 이방우(李芳雨)의 사위로, 여러 차례 명(明) 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으며, 지돈녕부사(知敦寧府事) 등을 역임함.
?~143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묘(肅廟) - 숙종(肅宗)@고려
고려 제15대 국왕. 재위 1095~1105. 조카인 헌종(獻宗)이 어린 나이에 즉위한 뒤 이자의(李資義)가 거사하자 그를 주살하고 선위(禪位)를 받아 왕위에 오름.
1054~1105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국왕
-
숙묘(肅廟)@숙종 - 숙종(肅宗)@조선
조선 제19대 국왕. 재위 1674~1720. 절정에 달한 붕당정치(朋黨政治) 속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여 왕권을 강화하고 민생안정책의 시행에 주력함.
1661~1720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숙무(叔茂) - 임식(林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택(平澤). 홍문관 교리(弘文館敎理) 등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아 파직된 뒤에는 고향인 충청도 결성(結城)으로 낙향하여 부해정(浮海亭)이라는 정자에 은거하며 지냄.
1539~158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결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문(叔文)@왕숙문 - 왕숙문(王叔文)
중국 당(唐) 나라 덕종(德宗)~헌종(憲宗) 때의 문신. 순종(順宗) 때 왕비(王伾)ㆍ유우석(劉禹錫)ㆍ유종원(柳宗元) 등과 함께 조정 혁신에 힘쓰고 탐관오리인 이실(李實)을 축출하였으나, 환관(宦官)의 병권을 탈취하려다 실패한 후 피살됨.
753~80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문(叔文) - 유도원(柳道源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상정(李象靖)의 문인으로, 존심(存心)ㆍ함양(涵養)의 실천적 수행으로 위기지학(爲己之學)에 전념함. 주석학(註釋學)에 밝아 많은 저술을 남기고 후진 양성에 힘씀.
1721~179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
-
숙문(淑文) - 이숙문(李淑文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의(全義). 이윤식(李允植)의 아들로, 1460년(세조 6년) 별시(別試)에 급제하였으며, 사간(司諫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민(肅愍) - 우겸(于謙)
중국 명(明) 나라 성조(成祖)~대종(代宗) 때의 문신. 영종(英宗)이 토목(土木)의 변(變)으로 포로가 되자 영종의 아우 대종(代宗)을 옹립하고 수도를 사수하였으며, 다시 돌아온 영종이 복위에 성공한 후 피살됨.
1398~1457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민(肅愍)@박승종 - 박승종(朴承宗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으로, 선교랑(宣敎郞) 박안세(朴安世)의 아들. 윤인(尹訒)ㆍ이인경(李寅卿) 등이 인목대비(仁穆大妃)를 죽이려 할 때 인목대비를 보호하였고, 폐모론(廢母論)을 반대함.
1562~162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민(肅敏)@유강 - 유강(兪絳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기계(杞溪)로, 예조 판서 유여림(兪汝霖)의 아들. 명종(明宗) 때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로서 사은사(謝恩使)가 되어 명(明) 나라에 다녀오고, 평안도 관찰사(平安道觀察使)ㆍ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냄.
1510~15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민(肅敏) - 여자준(余子俊)
중국 명(明) 나라 대종(代宗)~효종(孝宗) 때의 문신. 병부 상서(兵部尙書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성을 쌓고 보루를 만드는 데 큰 공을 세움.
1429~1489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반(叔胖) - 강윤덕(姜潤德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김안국(金安國)과 교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숙번(叔蕃) - 이숙번(李叔蕃)
조선 태조(太祖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성(安城). 두 차례 왕자(王子)의 난(亂)을 진압하여 정사공신(定社功臣)과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되고, 조사의(趙思義)의 난을 평정하는 등 공이 컸으나, 성품이 광망(狂妄)하여 탄핵을 받아 유배됨.
1373~14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범(叔泛) - 권예(權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사빈(權士彬)의 아들이며 명종 때 원상(院相)을 지낸 권벌(權橃)의 동생. 어려서부터 질병이 많아 평생토록 벼슬하지 않음. 승사랑(承仕郞)에 이름.
1482~156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보(叔保) - 윤호(尹壕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윤삼산(尹三山)의 아들이며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윤탕로(尹湯老)와 성종비 정현왕후(貞顯王后)의 아버지로, 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냄.
1424~14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