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숙보(叔輔) - 등무(滕撫)
중국 후한(後漢)의 문신. 성품이 강직하고 정치를 잘하여 백성에게 사랑받았음.
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복(叔服) - 왕자호(王子虎)
중국 주(周) 나라 장왕(莊王)의 아들이며, 양왕(襄王)의 숙부. 제(齊) 나라 환공(桓公)이 태자 정(鄭)을 양왕으로 세우는데 밀사로 파견되었고, 후에 그 가족이 왕숙씨(王叔氏)로 봉해짐.
?~B.C.624 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숙부(叔孚) - 채순(蔡恂)
조선 전기의 유학. 아산 현감(牙山縣監)을 지낸 채정서(蔡呈瑞)의 아들로, 1480년(성종 11)에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고, 남효온(南孝溫)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부평 , 인명>문사>유학
-
숙부(淑夫) - 유해(兪瀣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창원(昌原)으로, 이이(李珥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종묘(宗廟)의 신주를 평양(平壤)의 행재소(行在所)에 피난시킨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되고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41~1629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부(肅夫) - 김우옹(金宇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《속자치통감강목(續自治通鑑綱目)》을 찬하고, 부제학(副提學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냄.
1540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부영공(肅夫令公) - 김우옹(金宇顒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의성(義城).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《속자치통감강목(續自治通鑑綱目)》을 찬하고, 부제학(副提學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냄.
1540~1603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성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분(叔奮) - 조신(曺伸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역관ㆍ문신. 본관은 창녕(昌寧). 문장이 뛰어나 사역원 정(司譯院正)에 특선(特選)되었고, 명(明) 나라에서 시(詩)로 이름을 날림. 조위(曺偉)의 서제(庶弟)이며, 김종직(金宗直)의 처남.
1454~?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금산 , 인명>관인>역관ㅣ인명>관인>문신
-
숙빈(叔彬) - 박이장(朴而章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순천(順天). 승지(承旨)를 지낸 박양좌(朴良佐)의 아들로, 노수신(盧守愼)의 문인. 임진왜란 때 김성일(金誠一)의 주청으로 종사관이 되어 활약하였고, 폐모론(廢母論)에 반대함.
1547~162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합천ㅣ경상도>성주ㅣ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생(淑生) - 최숙생(崔淑生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최철중(崔鐵重)의 아들로, 우찬성(右贊成)을 지냈으나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파직됨.
1457~152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서(淑胥) - 신숙서(申淑胥)
조선 문종(文宗)~단종(端宗) 때의 문신. 단종(端宗)이 폐위된 후 충절을 지켰으며, 계룡산(鷄龍山) 동학사(東鶴寺)의 초혼각(招魂閣) 동무(東撫)에 배향됨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선(叔鮮) - 관숙(管叔)
중국 주(周) 나라의 제후. 무왕(武王)의 아우이자 성왕(成王)의 숙부. 무왕 사후에 주공(周公)이 어린 성왕을 보필하여 섭정하자, 채숙(蔡叔) 등과 더불어 주공을 모해하는 유언(流言)을 퍼뜨려 반란을 일으켰다가 주공에게 토벌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ㅣ인명>왕실>제후
-
숙손(叔孫)@안숙손 - 안숙손(安叔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충주((忠州). 청주 목사(淸州牧使)를 지낸 안홍(安鴻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충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숙손(叔孫) - 숙손씨(叔孫氏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공족(公族). 맹손씨(孟孫氏)ㆍ계손씨(季孫氏)와 함께 노 나라의 세 공족 중 하나. 환공(桓公)의 아들인 숙아(叔牙)의 후손으로, 대대로 대부의 벼슬을 계승하고 노 나라의 국정을 농단(弄斷)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집단>성씨
-
숙손(淑孫) - 이숙손(李淑孫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희수(鄭希壽)의 외조부이며, 심곡수(深谷守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숙손소(叔孫昭) - 숙손야(叔孫婼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. 숙손표(叔孫豹)의 서자(庶子). 가신(家臣) 수우(豎牛)에 의해 적통을 계승하였으나 난역지죄(亂逆之罪)를 물어 수우를 주벌함.
?~B.C.51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숙손소자(叔孫昭子) - 숙손야(叔孫婼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. 숙손표(叔孫豹)의 서자(庶子). 가신(家臣) 수우(豎牛)에 의해 적통을 계승하였으나 난역지죄(亂逆之罪)를 물어 수우를 주벌함.
?~B.C.51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숙손주구(叔孫州仇) - 숙손무숙(叔孫武叔)
중국 춘추전국시대 노(魯) 나라의 대부(大夫). 자공(子貢)이 공자(孔子)보다 훌륭하다고 평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숙수루(宿水樓) - 경렴정(景濂亭)
조선 중종(中宗) 때 주세붕(周世鵬)이 경상도 순흥(順興)의 소수서원(紹修書院) 정문 밖에 지은 정자. 원생(院生)들이 시를 짓고 학문을 토론하던 곳으로,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정자라고 함.
1543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풍기 , 유적>건물>누정
-
숙승(叔承) - 김숙승(金叔承)
고려 전기의 문신. 구안동김씨(舊安東金氏)의 시조. 대안군(大安君) 김은열(金殷說)의 아들로, 공부시랑(工部侍郞)ㆍ평장사(平章事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식(熟食) - 한식(寒食)
우리나라 사대(四大) 명절의 하나. 동지(冬至)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, 중국 춘추시대(春秋時代)의 개자추(介子推)를 애도하기 위해 찬밥을 먹는 습관에서 유래하였다고 함.
사건>풍속