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숙용(叔容) - 홍덕연(洪德演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이평(洪以平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조광조(趙光祖)와 친밀하였으며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93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우(叔遇) - 모용언달(慕容彦達)
중국의 경서(經書) 주소가(註疏家). 《예기(禮記)》에 관한 주소(註疏)가 진호(陳澔)의 《예기집설(禮記集說)》에 인용되어 있음.
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숙운(叔雲) - 곽숙운(郭叔雲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조주(潮州) 게양인(揭陽人)으로, 주희(朱熹)의 문인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숙원(叔元) - 양하(楊何)
중국 한(漢) 무제(武帝) 때의 학자. 왕동(王同)으로부터 《주역(周易)》을 배워 통달하였으며, 중대부(中大夫)를 지냄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숙원(叔原) - 안기도(晏幾道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인. 안수(晏殊)의 일곱째 아들로, 아버지와 함께 이안(二晏)이라 불림. 섬세하고 애상적인 시풍을 보임.
1031~1106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
-
숙원(淑元) - 구숙원(具淑元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능성(綾城). 유학(幼學) 구사종(具嗣宗)의 아버지로, 선략장군(宣略將軍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관인>무신
-
숙원이씨(淑媛李氏) - 숙의이씨(淑儀李氏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후궁. 본관은 경주(慶州). 사섬시 첨정(司贍寺僉正) 이형신(李亨臣)의 딸로, 덕양군(德陽君) 이기(李岐)를 낳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후궁
-
숙위(肅魏) - 조반(趙胖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호군(護軍) 조세경(趙世卿)의 아들. 조선 태조(太祖)를 추대하여 개국공신(開國功臣)이 되고 복흥군(復興君)에 봉해졌으며, 참찬문하부사(參贊門下府事)를 지냄.
1341~1401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황해도>배천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응(叔膺) - 이린(李遴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익산 군수(益山郡守) 이순증(李順曾)의 아들이며 오위장(五衛將) 이선(李選)의 형. 1549년(명종 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였으며, 호조 판서(戶曹判書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의(淑義) - 이숙의(李淑義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수도군(守道君) 이덕생(李德生)의 손자이며, 풍산부정(豐山副正) 이외(李畏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숙의(肅懿) - 왕진(王稹)
고려 후기의 종친. 현종(顯宗)의 아들인 평양공(平壤公)의 5대손이며, 희종(熙宗)의 비인 성평왕후(成平王后)의 아버지. 명종(明宗)의 딸인 연희궁주(延禧宮主)와 결혼하였고, 불교와 도교에 조예가 깊음.
?~1220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숙의옹주(淑懿翁主) - 예성부부인(蘂城府夫人)
조선 제3대 태종(太宗)의 둘째 아들인 효령대군(孝寧大君)의 부인. 본관은 해주(海州). 정역(鄭易)의 딸로, 효령대군 사이에서 6남 1녀를 둠.
1394~147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숙의윤씨(淑儀尹氏)@폐비윤씨 - 폐비윤씨(廢妃尹氏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계비(繼妃). 본관은 함안(咸安). 연산군(燕山君)의 생모(生母)로, 투기(妬忌)가 심하여 1479년(성종 8) 폐서인(廢庶人) 되고, 1482년(성종 11)에 사사(賜死)되었는데, 이 일이 후에 갑자사화(甲子士禍)의 원인이 됨.
?~148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숙의윤씨(淑儀尹氏)@정현왕후 - 정현왕후(貞顯王后)
조선 제9대 성종(成宗)의 계비(繼妃). 우의정을 지낸 윤호(尹壕)의 딸이며, 중종(中宗)의 생모. 연산군(燕山君)의 생모인 윤씨(尹氏)가 폐위되자 이듬해 왕비로 봉해짐.
1462~153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숙의윤씨(淑儀尹氏) - 장경왕후(章敬王后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계비(繼妃). 윤여필(尹汝弼)의 딸로, 인종(仁宗)의 생모이며 대윤(大尹)의 거두인 윤임(尹任)의 여동생. 1506년(중종 1)에 숙의(淑儀)로 뽑히고 다음해 왕비로 책봉되었는데, 원자(元子)인 인종을 낳고 산후병으로 죽음.
1491~151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숙의정씨(淑儀鄭氏) - 귀인정씨(貴人鄭氏)
조선 제12대 인종(仁宗)의 후궁. 본관은 연일(延日). 판관 정유침(鄭惟沈)의 딸이며, 정철(鄭澈)의 맏누이. 14세에 동궁(東宮)으로 있던 인종의 빈(嬪)이 됨.
1520~156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일ㅣ서울 , 인명>왕실>후궁
-
숙의홍씨(淑儀洪氏) - 희빈홍씨(熙嬪洪氏)
조선 제11대 중종(中宗)의 후궁. 본관은 남양(南陽). 중종반정(中宗反正) 때 공을 세운 정국공신(靖國功臣) 홍경주(洪景舟)의 딸.
1494~1581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후궁
-
숙인(叔仁)@왕온 - 왕온(王蘊)
중국 남북조시대 진(晉) 나라의 문신. 효무제(孝武帝)의 황후인 효무정황후(孝武定皇后)의 아버지로, 벼슬이 오병상서(五兵尚書)에 이르고 광록대부(光祿大夫)에 봉해짐.
329~384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인(叔仁) - 신윤원(申允元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산(平山). 성종 때 원종공신(原從功臣)에 책록되고, 군자감 정(軍資監正) 등을 지냄.
1431~1494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평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인(叔寅) - 홍덕연(洪德演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홍이평(洪以平)의 아들이며 김안국(金安國)의 문인(門人)으로, 조광조(趙光祖)와 친밀하였으며,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493~155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