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숙종(肅宗)@장제 - 장제(章帝)
중국 후한(後漢)의 제3대 황제. 재위 75~88. 그의 사후 왕후인 두태후(竇太后)가 섭정을 하고, 외척 두헌(竇憲)이 권력을 휘두름.
?~88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숙종(肅宗)@효명제 - 효명제(孝明帝)
중국 남북조시대 북위(北魏)의 제8대 황제. 재위 515~528. 선무제(宣武帝)를 이어 황제가 되었지만 20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(夭折)함.
509~528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숙종(肅宗) - 명제(明帝)@남북조(晉)
중국 남북조시대 동진(東晉)의 제2대 황제. 재위 323~325.
299~325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숙좌(叔佐) - 담조(啖助)
중국 당(唐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단양 주부(丹陽主簿) 등을 지내고, 《춘추(春秋)》연구에 전념하여 전(傳) 중심의 한당(漢唐)의 춘추학에 반대하고, 경(經)을 중심으로 할 것을 주장함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숙주(叔舟) - 신숙주(申叔舟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에 큰 공을 세웠으며,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참여한 공(功) 등으로 정난공신(靖難功臣)ㆍ좌익공신(佐翼功臣)ㆍ익대공신(翊戴功臣)ㆍ좌리공신(佐理功臣) 등에 책록됨.
1417~14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숙주(肅州) - 숙천(肅川)
평안도 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
평안도>숙천 , 지명>행정지명
-
숙준(叔準) - 김숙준(金叔準)
조선 전기의 유학. 성현(成俔)의 《허백당집(虛白堂集)》에 그의 제문(祭文)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숙중(叔重)@허신 - 허신(許愼)
중국 후한(後漢)의 학자. 가규(賈逵)의 제자로, 널리 유가(儒家)의 경전에 정통하였으며, 선진(先秦)의 고서체(古書體)에 의한 원전(原典)을 중시하고 문자학에 조예가 깊어, 중국 최초의 자서(字書)인 《설문해자(說文解字)》를 저술함.
58?~147? 중국>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숙중(叔重) - 동수(董銖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제자로, 《주자어류(朱子語類)》에 그와 주고받은 문답이 실려 있음.
1152~1214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숙지(叔墀) - 정숙지(鄭叔墀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봉화(奉化). 영중추부사(領中樞府事)를 지낸 정문형(鄭文炯)의 아들로, 전라 감사(全羅監司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봉화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지(叔止) - 신식(申湜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이황(李滉)ㆍ성운(成運)의 문인으로 대사헌(大司憲)을 지냄. 학식이 높고, 예악(禮樂)에도 밝았으나, 정여립(鄭汝立)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(昆陽)에 유배됨.
1551~162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진(叔珍) - 안진(安璡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와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으며, 여주 목사(驪州牧使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진(叔珍)@김찬 - 김찬(金瓚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형조 참의(刑曹參議) 김언침(金彦沈)의 아들로, 임진왜란 때 동인(東人)의 영수 이산해(李山海)를 탄핵하여 파직시키고, 일본과의 강화(講和)에서 공을 세움. 문장에 뛰어나고 경제와 외교 분야에 능숙함.
1543~159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진(叔鎭) - 홍세주(洪世柱)
조선 효종(孝宗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홍만종(洪萬宗)의 아버지로, 영천 군수(榮川郡守) 등을 지냄. 문집으로 《정허당집(靜虛堂集)》이 있음.
1612~166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숙징(叔澄) - 장언청(張彦淸)
중국 송(宋) 나라의 학자. 유도원(柳道源)이 주석한 《퇴계선생문집고증(退溪先生文集攷證)》에 이름이 보임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숙창(叔昌)@한숙창 - 한숙창(韓叔昌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청주(淸州). 서성군(西城君) 한익(韓翊)의 아들로, 외삼촌 박원종(朴元宗)을 따라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장례원 판결사(掌隸院判決事) 등을 지냄.
1478~1537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숙창(叔昌) - 반경유(潘景愈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ㆍ학자. 반경헌(潘景憲)의 아우로, 안경교수(安慶敎授)를 역임하였으며, 주희(朱熹)ㆍ여조겸(呂祖謙) 등과 교유함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숙천(叔千) - 안숙천(安叔千)
중국 오대십국(五代十國) 후당(後唐) 장종(莊宗)~명종(明宗) 때의 무신. 무예에 뛰어났으나 글자를 깨우치지 못해 하는 짓이 비루하였으므로, 당시 사람들에게 몰자비(沒字碑)라고 불렸음.
881~952 중국>오대십국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영무자(寗武子) - 영유(甯兪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衛) 나라 성공(成公) 때의 대부. 나라에 도(道)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,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(孔子)의 칭송을 받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영무자(甯武子) - 영유(甯兪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衛) 나라 성공(成公) 때의 대부. 나라에 도(道)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,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(孔子)의 칭송을 받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