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부(英符) - 이영부(李英符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광주(廣州). 이반(李攀)의 아들로, 세자시강원 문학(世子侍講院文學) 등을 지냈으나, 지평(持平)으로 있을 때 현량과(賢良科)의 폐지를 반대하다가 탄핵을 받아 파직됨.
1487~152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영분(永芬) - 김명종(金鳴鍾)
신라 경순왕(敬順王)의 셋째 아들. 본관은 경주(慶州). 손국(遜國) 후 경주군(慶州君)에 봉해짐.
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인명>왕실>왕자
-
영빈(潁濱) - 소철(蘇轍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휘종(徽宗) 때의 문신ㆍ학자. 소순(蘇洵)의 아들이자 소식(蘇軾)의 동생으로, 당송팔대가(唐宋八大家)의 한 사람. 왕안석(王安石)의 신법(新法)에 반대하여 좌천되었으나 복귀 후 문하시랑(門下侍郞) 등을 지냄.
1039~111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사(靈師) - 영운(靈雲)
조선 후기의 승려. 동원(東園) 김귀영(金貴榮)ㆍ봉래(蓬萊) 양사언(楊士彥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영삭(寧朔) - 태천(泰川)
평안북도 남서쪽에 있는 고을 이름. 동쪽으로 영변(寧邊), 북쪽으로 삭주(朔州)를 접하고 있음.
평안도>태천 , 지명>행정지명
-
영산(寧山)@부령 - 부령(富寧)
함경북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함경산맥과 그 지맥들로 둘러싸여 있음. 내류과 해안을 잇는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는 무산령(茂山嶺)ㆍ차유령(車踰嶺) 등의 고개가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부령 , 지명>행정지명
-
영산(寧山) - 천안(天安)
충청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 삼남대로(三南大路)의 분기점.
충청도>천안 , 지명>행정지명
-
영산군(寧山君)@이예윤 - 이예윤(李禮胤)
조선 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의 증손이며, 평해부수(平海副守) 이담(李倓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선조(宣祖)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68~162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영산부령(寧山副令) - 이예윤(李禮胤)
조선 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일곱 번째 서자인 익양군(益陽君)의 증손이며, 평해부수(平海副守) 이담(李倓)의 아들. 임진왜란 때 선조(宣祖)를 호종한 공으로 호성공신(扈聖功臣)에 책록됨.
1568~1625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영산부원군(永山府院君) - 김수온(金守溫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세종ㆍ세조(世祖) 때 편찬 및 국역 사업에 공헌하고, 특히 시문에 뛰어나 〈희청부(喜晴賦)〉는 명 나라에까지 알려짐.
1410~148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영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상인(靈上人) - 영운(靈雲)
조선 후기의 승려. 동원(東園) 김귀영(金貴榮)ㆍ봉래(蓬萊) 양사언(楊士彥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영새(寧塞) - 삭주(朔州)
평안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북쪽으로 압록강을 사이에 두고 중국과 접해 있으며, 1018년(현종 9)에 영새(寧塞)에서 삭주(朔州)로 명칭이 변경됨.
평안도>삭주 , 지명>행정지명
-
영서(嶺西) - 강원도(江原道)
한반도의 중부지방 동쪽에 위치한 도(道) 이름. 조선시대 팔도(八道)의 하나.
강원도 , 지명>행정지명
-
영서(靈胥) - 오운(伍員)
중국 춘추전국시대 오(吳) 나라의 재상. 초(楚) 나라 사람으로 아버지와 형이 초(楚) 평왕(平王)에게 처형당함. 오 나라 부차(夫差)를 도와 월(越) 나라를 이기는데 큰 공을 세웠으나, 후에 부차(夫差)에게 처형당함.
B.C.559~B.C.484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영석(嬴石) - 경공(景公)@춘추전국(秦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577~B.C.537. 환공(桓公)의 아들로, 환공의 장례를 천자의 예로 행함.
?~B.C.537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영석(永錫) - 노효번(盧孝蕃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곡산(谷山). 이이(李珥)의 문인(門人). 시정(寺正)을 지낸 노경린(盧慶麟)의 아들로, 부정(副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곡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석(永錫)@곽영석 - 곽영석(郭永錫)
중국 원(元) 나라의 문신. 중서검교(中書檢校) 등을 역임했으며, 1366년(공민왕 15)에 하남왕(河南王) 확곽첩목아(擴廓帖木兒)의 보빙사(報聘使)로 고려(高麗)에 왔음.
중국>원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석(永錫)@박영석 - 박영석(朴永錫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찰방(察訪) 박대임(朴大任)의 아버지로, 상서원 판관(尙瑞院判官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석(永錫)@유영석 - 유영석(柳永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문화(文化). 선조(宣祖) 때 정랑(正郞) 등을 지낸 유덕종(柳德種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석(永錫)@조영석 - 조영석(趙永錫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한양(漢陽).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조우(趙佑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