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선군(永善君) - 이귀수(李龜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열한 번째 서자인 무산군(茂山君) 이종(李悰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선도정(永善都正) - 이리(李利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종친. 삭녕 군수(朔寧郡守)를 지낸 양치(梁治)의 장인으로, 세종 때 곧바로 회시(會試)에 나아가기 위해 병을 빙자해 한성시(漢城試)에 나아가지 않았다가 추국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선령(永善令) - 이리(李利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종친. 삭녕 군수(朔寧郡守)를 지낸 양치(梁治)의 장인으로, 세종 때 곧바로 회시(會試)에 나아가기 위해 병을 빙자해 한성시(漢城試)에 나아가지 않았다가 추국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선정(永善正) - 이리(李利)
조선 세종(世宗) 때의 종친. 삭녕 군수(朔寧郡守)를 지낸 양치(梁治)의 장인으로, 세종 때 곧바로 회시(會試)에 나아가기 위해 병을 빙자해 한성시(漢城試)에 나아가지 않았다가 추국을 당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성(寧城) - 영월(寧越)
강원도 남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북쪽으로 정선(旌善), 서쪽으로 원주(原州), 남쪽으로 충청도 제천(堤川), 동쪽으로 태백(太白)과 접함. 조선의 단종(端宗)이 유배되어 죽음을 맞이한 곳으로 유명함.
강원도>영월 , 지명>행정지명
-
영성(永成) - 이영성(李永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용인(龍仁). 사헌부 장령(司憲府掌令) 이홍간(李弘幹)의 아들로, 1537년(중종 32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예조 정랑(禮曹正郞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용인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성(寧城)@최항 - 최항(崔恒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삭녕(朔寧). 훈구파(勳舊派)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,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 및 실록(實錄) 편찬 등에 참여함.
1409~147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성(寧城)@부령 - 부령(富寧)
함경북도 중부에 있는 고을 이름. 함경산맥과 그 지맥들로 둘러싸여 있음. 내류과 해안을 잇는 주요 교통로로 이용되는 무산령(茂山嶺)ㆍ차유령(車踰嶺) 등의 고개가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함경도>부령 , 지명>행정지명
-
영성(寧城) - 삭녕(朔寧)
경기도 연천(漣川) 및 강원도 철원(鐵原) 일부 지역의 옛 고을 이름.
경기도>삭녕 , 지명>행정지명
-
영성개국백(永城開國伯) - 문천강(文天降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영평개국남(永平開國男) 문탁(文倬)의 아들로, 문하시중 찬성사(門下侍中贊成事)ㆍ태사(太師)ㆍ태부(太傅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성군(鈴城君) - 윤탄(尹坦)
조선 예종(睿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윤삼산(尹三山)의 아들이며, 성종(成宗) 계비(繼妃)인 정현왕후(貞顯王后)의 숙부로, 중종 즉위 후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고, 판돈녕부사(判敦寧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성군(靈城君) - 신광한(申光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이 되고, 우찬성(右贊成)으로 양관(兩館) 대제학을 겸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을 지냄.
1484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성군(靈城君)@정찬 - 정찬(丁贊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무신. 원(元) 나라에서 공민왕을 폐위시키고 덕흥군(德興君)을 고려왕으로 세우기 위해 최유(崔濡)를 앞세워 침입할 때 공을 세웠지만 덕흥군과 밀통한다는 무고를 받고 투옥되어 울화병으로 죽음.
?~1364 한국>고려후기 , 전라도>영광 , 인명>관인>무신
-
영성군(寧城君) - 최항(崔恒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삭녕(朔寧). 훈구파(勳舊派)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,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 및 실록(實錄) 편찬 등에 참여함.
1409~147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성부원군(靈城府院君)@신형 - 신형(申泂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신숙주(申叔舟)의 아들이자 신광한(申光漢)의 아버지로, 장령(掌令)ㆍ내자시 정(內資寺正)을 역임함.
1449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성부원군(靈城府院君) - 신광한(申光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이 되고, 우찬성(右贊成)으로 양관(兩館) 대제학을 겸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을 지냄.
1484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성부원군(寧城府院君) - 최항(崔恒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삭녕(朔寧). 훈구파(勳舊派)의 대학자로서 문물제도 정비에 크게 기여하고, 역사ㆍ언어ㆍ문장에 정통하여 대중국 외교문서 작성을 전담함. 훈민정음(訓民正音) 창제 및 실록(實錄) 편찬 등에 참여함.
1409~1474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성부정(寧城副正) - 이질(李耋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손자이며, 경양군(景陽君) 이수환(李壽環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성수(寧城守) - 이경생(李敬生)
조선 전기의 종친.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낸 최명창(崔命昌)의 장녀와 혼인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성신씨(寧城辛氏) - 영월신씨(寧越辛氏)
고려 인종(仁宗) 때 송(宋) 나라 사신으로 고려에 귀화한 신경(辛鏡)을 시조로 하는 영산신씨(靈山辛氏)와 동일 혈족으로, 9세손에 와서 영월(寧越)로 분관하여 생긴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강원도>영월 , 인명>집단>성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