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권득경(權得經)
조선 문종(文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홍귀달(洪貴達)의 《허백정집(虛白亭集)》에 차운시(次韻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득기(權得己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1589년(선조 22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한 뒤 예조 좌랑(禮曹佐郞)이 되었으나, 광해군 때 정치가 혼란해지자 사임하고 야인생활을 하다 뒤에 고산도 찰방(高山道察訪) 등을 지냄.
1570~1622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란(權鸞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구봉령(具鳳齡)과 시문을 주고받으며 교유하였으며, 찰방(察訪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람(權攬)
조선 문종(文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계유정난(癸酉靖難) 때 세조 즉위의 기반을 마련함. 《국조보감(國朝寶鑑)》ㆍ《동국통감(東國通鑑)》 편찬에 참여함.
1416~146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래(權來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충재(冲齋) 권벌(權橃)의 손자로, 군자감 정(軍資監正)을 지냄.
1562~1617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련(權璉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1519년(중종 14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렴(權廉)
고려 충선왕(忠宣王)~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문신. 영가부원군(永嘉府院君) 권보(權溥)의 손자이며, 길창부원군(吉昌府院君) 권준(權準)의 아들.
1302~1340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령(權齡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제용감 판관(濟用監判官) 권실(權實)의 아들이자, 상주 목사(尙州牧使) 권박(權博)의 아버지로, 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지냈으며, 형조 참판(刑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료(權憭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마전 군수(麻田郡守) 권념(權念)의 아들로, 결성 현감(結城縣監)을 지냈으며, 신용개(申用漑)의 《이락정집(二樂亭集)》에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455~1505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결성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륙(權稑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명종(明宗) 때의 유학인 권선문(權善文)과 학자인 권호문(權好文)의 아버지로, 안주 교수(安州敎授)를 지냄.
?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륜(權綸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《세종실록(世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 대사성(大司成)ㆍ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냄.
1415~1493 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제주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림(權琳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공주 목사(公州牧使) 권유순(權有順)의 아들이자, 이보정(李補丁)의 사위로, 광흥창 주부(廣興倉主簿)를 지냈으며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만(權萬)
조선 경종(景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두굉(權斗紘)의 아들로, 이인좌(李麟佐)의 난을 진압하는 데 공을 세움.
1688~174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말경(權末卿)
조선 전기의 유학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이 차운(次韻)한 시가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실려 있음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맹손(權孟孫)
조선 태종(太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예천(醴泉). 변계량(卞季良)의 문인으로, 1408년(태종 8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양주 목사(楊州牧使)ㆍ중추원사(中樞院使) 등을 지냄.
1390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맹희(權孟禧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좌익공신(佐翼功臣) 권개(權愷)의 아들로, 1465년(세조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좌부승지(左副承旨)ㆍ도승지(都承旨)를 지냄. 1470년(성종 1)에 반역죄에 연루되어 죽음.
?~147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면(權眄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승(權昇)의 셋째 아들이며, 부안 현감(扶安縣監) 권성(權省)의 아우이자, 여주 목사(驪州牧使) 권현(權睍)의 형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목(權睦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승(權昇)의 둘째 아들이며, 부안 현감(扶安縣監) 권성(權省)의 아우이자, 여주 목사(驪州牧使) 권현(權睍)의 형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목(權霂)
조선 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두인(權斗寅)의 아버지. 김중청(金中淸)의 문인으로, 영릉 참봉(英陵參奉)을 지내고, 권유(權濡)와 함께 《충재집(冲齋集)》을 간행하는 데 힘씀.
1614~167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몽두(權夢斗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미수(權眉壽)의 아들이며, 권호문(權好文)의 종질(宗姪). 효우(孝友)가 지극하고 선조(先祖)를 잘 받들었으며, 수직(壽職)으로 호군(護軍)에 오름.
1517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