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성정씨(迎城鄭氏) - 연일정씨(延日鄭氏)
신라 태종무열왕(太宗武烈王) 때 간의대부(諫議大夫)를 지낸 정종은(鄭宗殷)을 도시조(都始祖)로 하는 성씨. 지주사공파(知奏事公派)와 감무공파(監務公派)로 나뉨.
한국>신라 , 경상도>영일 , 인명>집단>성씨
-
영성정씨(靈城丁氏) - 영광정씨(靈光丁氏)
중국 당(唐) 나라 대상(大相)으로 신라에 귀화한 정덕성(丁德盛)을 도시조(都始祖)로 삼고, 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 지밀직사사(知密直司事)를 지낸 정찬(丁贊)을 중시조(中始祖)로 하는 성씨.
한국>통일신라 , 전라도>영광 , 인명>집단>성씨
-
영세(英世) - 김영세(金英世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김홍필(金弘弼)의 아들로, 1540년(중종 35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의성 현령(義城縣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소릉(永昭陵) - 인종(仁宗)@송
중국 북송(北宋)의 제4대 황제. 재위 1022~1063. '경력(慶曆)의 치(治)'라는 북송의 최전성기를 누렸지만 말년에는 재정 곤란에 빠짐.
1010~106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영손(永孫)@노영손 - 노영손(盧永孫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무신. 본관은 광주(光州). 중종반정(中宗反正)의 논공행상에 불만을 품어 모반을 기도한 대사성 이과(李顆) 등을 밀고하여 광원군(光原君)에 봉해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광산 , 인명>관인>무신
-
영손(永孫) - 신영손(辛永孫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월(寧越). 야은(冶隱) 길재(吉再)의 문인으로 김숙자(金淑滋)와 교유하였고, 황해도 관찰사(黃海道觀察使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영월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송촌(迎送村) - 영승촌(迎勝村)
경상도 안음(安陰)에 있는 고을 이름. 전철(全轍, 1481~1558)이 지은 정자에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이 사락정(四樂亭)이라고 이름을 붙이고 시를 지어주었음. 지금은 경상남도 거창군(居昌郡)에 속함.
경상도>안음 , 지명>자연지명
-
영수(永叟) - 황윤석(黃胤錫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평해(平海). 김원행(金元行)의 문인으로, 종래의 이학(理學)과 서구 지식의 조화를 시도함. 《이재유고(頤齋遺藁)》에 실린 운학(韻學)에 대한 연구는 국어학사의 연구대상이 됨.
1729~179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흥덕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수(永壽)@홍영수 - 홍영수(洪永壽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남양(南陽). 고령 현감(高靈縣監)을 역임하였으며, 김일손(金馹孫)의 《탁영집(濯纓集)》 〈금란계록(金蘭契錄)〉에 이름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수(永壽) - 이영수(李永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세조(世祖)의 첫 번째 서자인 덕원군(德源君) 이서(李曙)의 손자이며, 숭선군(嵩善君) 이총(李𤄓)의 서자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수(永銖) - 김영수(金永銖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무신. 한성 판관(漢城判官) 김계권(金係權)의 아들로, 영천 군수(永川郡守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사어(射御)ㆍ음률 등에 뛰어났고, 특히 글씨를 잘 씀.
1446~150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영수(靈壽)@악양 - 악양(樂羊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魏) 나라 문후(文侯) 때의 장군. 악의(樂毅)의 선조로, 수많은 참소에도 흔들리지 않은 문후의 절대적 신임 속에 중산(中山)을 정벌하고 3년 만에 돌아왔으며, 영수(靈壽)에 봉해짐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영수(靈壽) - 포곡(布穀)
뻐꾸기 혹은 뻐꾸기의 울음소리. 뻐꾸기가 ‘포곡포곡’하며 울고, ‘포곡(布穀)’이 ‘씨를 뿌려라’라는 의미이므로, 농사를 재촉하는 뜻으로 쓰임.
사상>술어>관용어ㅣ자연물>동물
-
영수(靈脩) - 회왕(懷王)
중국 춘추전국시대 초(楚) 나라의 제후. 정사를 게을리 하고 직간(直諫)을 받아들이지 않자 굴원(屈原)이 《이소경(離騷經)》을 지어 깨우치려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영수(寧秀) - 김영수(金寧秀)
조선 전기의 유학. 길재(吉再)의 외예(外裔)로, 함창(咸昌)의 양한정(養閑亭) 옆에서 자연을 즐기며 살았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수현공(永修縣公) - 단도제(檀道濟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무제(武帝)~문제(文帝) 때의 장군. 무제를 도와 송 나라를 건국하는 데 공을 세워 영수현공(永修縣公)에 봉해짐.
?~436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영숙(榮叔) - 김영숙(金榮叔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여산(礪山) 남계(鑑溪) 가에 있는 정자의 이름을 남효온(南孝溫)에게 청하였는데, 그 기문(記文)이 《추강집(秋江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은진ㅣ전라도>여산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숙(永叔)@구양수 - 구양수(歐陽脩)
중국 송(宋) 나라 인종(仁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문인. 한유(韓愈)로부터 큰 영향을 받아 고문(古文) 부흥에 힘씀. 추밀부사(樞密副使)ㆍ참지정사(參知政事) 등을 지냄.
1007~1072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숙(永叔) - 손비장(孫比長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밀양(密陽).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 수찬(藝文館修撰)) 등을 역임하였고, 신숙주(申叔舟) 등과 함께 《세조실록(世祖實錄)》ㆍ《예종실록(睿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부안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숙(永叔)@박윤원 - 박윤원(朴胤源)
조선 영조(英祖)~정조(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반남(潘南). 김창협(金昌協)ㆍ이재(李縡)ㆍ김원행(金元行)의 학통을 계승하여 홍직필(洪直弼)에게 전수함.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고 예학(禮學)에도 조예가 깊었으며, 저서로 《근재집(近齋集)》ㆍ《근재예설(近齋禮說)》이 있음.
1734~179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