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안궁(永安宮) - 문덕곽황후(文德郭皇后)
중국 삼국시대(三國時代) 위(魏) 나라 문제(文帝)의 황후. 태수(太守) 곽영(郭永)의 딸.
184~235 중국>삼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영안왕(榮安王) - 기자오(奇子敖)
고려 충혜왕(忠惠王) 때의 무신. 본관은 행주(幸州). 기철(奇轍)의 아버지. 음보(蔭補)로 총부산랑(摠部散郞)을 지내고, 원(元) 나라 순제(順帝)의 황후가 된 막내딸 기황후(奇皇后)로 인해 원 나라로부터 영안왕(榮安王)에 추봉(追封)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고양 , 인명>관인>무신
-
영암(泠庵) - 유득공(柳得恭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문화(文化)로, 규장각 검서(奎章閣檢書) 등을 지냄. 주체적 역사 의식이 강했으며, 대표적인 저서로 《발해고(渤海考)》 등이 있음.
1749~1807 한국>조선후기 , 황해도>문화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애(令艾) - 송섬(宋纖)
중국 남북조시대 오호십육국(五胡十六國)의 하나인 전량(前涼)의 학자. 품덕(品德)과 조행(操行)이 뛰어나고 주천(酒泉)의 남산(南山)에 은거하여 경학(經學) 연구에 전념하였으며, 교육에도 힘써 문하의 학생이 삼천 명에 이르렀다 함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영양(榮襄) - 송언신(宋言愼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등을 지냈으나, 광해군 때 축출됨. 저서로 《성학지남(聖學指南)》이 있음.
1542~1612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양(永陽) - 영천(永川)@경상도
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. 동쪽으로 경주(慶州), 서쪽으로 대구(大丘)와 접함. 진산(鎭山)으로 모자산(母子山)이 있고, 사찰로 운부사(雲浮寺) 등이 있음.
경상도>영천(永川) , 지명>행정지명
-
영양(潁陽) - 허국(許國)
중국 명(明) 나라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ㆍ학자. 1567년 목종(穆宗)이 등극하였을 때 한림 검토(翰林檢討)로서 병과 급사중(兵科給事中) 위시량(魏時亮)과 함께 반조(頒詔)의 사명을 띠고 조선에 사신으로 옴. 저서에 《조선일기(朝鮮日記)》ㆍ《문목공집(文穆公集)》 등이 있음.
1527~1596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양(迎陽) - 영양(英陽)
경상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
경상도>영해 , 지명>행정지명
-
영양(鈴陽) - 윤형로(尹衡老)
조선 성종(成宗)~중중(中宗) 때의 문신. 윤탄(尹坦)의 아들이며, 성종 계비(繼妃)인 정현왕후(貞顯王后)의 사촌 오빠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양군(永陽君)@이응 - 이응(李膺)@조선
고려 말~조선 초의 문신. 본관은 영천(永川). 조선 개국 후 제2차 왕자의 난에 기여한 공으로 좌명공신(佐命功臣)에 책록됨. 태종(太宗)의 척불정책(斥佛政策)을 크게 돕고, 계미자(癸未字) 주조에도 공헌함.
1365~1414 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양군(永陽君)@이대영 - 이대영(李大榮)
고려 후기의 무신. 영천이씨(永川李氏)의 중시조(中始祖)로, 신호위 대장군(神虎衛大將軍)을 역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관인>무신
-
영양군(英陽君)@남익 - 남익(南翼)
고려시대의 문신. 본관은 의령(宜寧). 검교태자첨사(檢校太子詹事)를 지냄.
한국>고려시대 , 경상도>영해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양군(英陽君) - 이함(李涵)@1458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서자. 영양부정(英陽副正)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(五衛都摠府都摠管)을 지냄.
1458~152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양군(英陽君)@남민 - 남민(南敏)
신라 경덕왕(景德王) 때의 귀화인. 중국 당(唐) 나라 사람 김충(金忠)으로, 풍랑을 만나 영양(英陽)에 정착한 후 신라에서 성과 이름을 내림. 영양(英陽)ㆍ의령(宜寧)ㆍ고성(固城) 남씨(南氏)의 시조.
한국>통일신라 , 중국ㅣ경상도>영해 , 인명>기타인명>귀화인
-
영양군(鈴陽君) - 윤형로(尹衡老)
조선 성종(成宗)~중중(中宗) 때의 문신. 윤탄(尹坦)의 아들이며, 성종 계비(繼妃)인 정현왕후(貞顯王后)의 사촌 오빠로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가담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한성부 우윤(漢城府右尹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양군공(榮陽郡公)@정성량 - 정성량(鄭性良)
고려 후기의 유학. 원(元) 나라 조정(朝廷)에서 제조장알사사(提調掌謁司事)를 지낸 손자 정독만달(鄭禿滿達)의 공(功)으로 자선대부 중서성좌승 상호군(資善大夫中書省左丞上護軍)에 추증되고 영양군공(榮陽郡公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양군공(榮陽郡公) - 정공윤(鄭公允)
고려 후기의 유학. 본관은 하동(河東). 증손자인 정독만달(鄭禿滿達)이 원(元) 나라 인종(仁宗) 때 환관으로 공을 세워 영양군공(榮陽郡公)에 봉작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양부수(永陽副守) - 이춘복(李春福)
조선 전기의 종친. 영성수(寧城守) 이경생(李敬生)의 둘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양부정(英陽副正) - 이함(李涵)@1458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서자. 영양부정(英陽副正)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(五衛都摠府都摠管)을 지냄.
1458~152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양상국(榮陽相國) - 정숙첨(鄭叔瞻)
고려 명종(明宗)~고종(高宗) 때의 문신. 형부 상서를 지낸 정세유(鄭世猷)의 아들이며, 최우(崔瑀)의 장인. 아버지의 반역 모의에 연좌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. 거란(契丹)의 침입 때 중군원수(中軍元帥)가 되었으며, 평장사(平章事)에 오름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하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