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양위(寧陽尉) - 정종(鄭悰)
조선 제5대 문종(文宗)의 부마. 본관은 해주(海州). 참판 정충경(鄭忠敬)의 아들로 경혜공주(敬惠公主)와 혼인함. 단종(端宗) 초기에 형조 판서(刑曹判書)가 되지만, 세조(世曹)가 즉위하자 영월에 유배된 뒤 반역죄로 죽음.
?~1461 한국>조선전기 , 황해도>해주 , 인명>왕실>인척
-
영양이씨(永陽李氏) - 영천이씨(永川李氏)
고려 초에 평장사(平章事)를 지낸 이문한(李文漢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집단>성씨
-
영양정(英陽正) - 이함(李涵)@1458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(臨瀛大君) 이구(李璆)의 서자. 영양부정(英陽副正)에 봉해지고 오위도총부 도총관(五衛都摠府都摠管)을 지냄.
1458~152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업(榮業) - 송영업(宋榮業)
조선 후기의 문신. 본관은 여산(礪山). 첨지사(僉知事) 송기(宋圻)의 아들이며, 간성 현감(杆城縣監) 송희업(宋熙業)의 동생으로, 찰방(察訪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여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연사(靈淵祠) - 영연서원(靈淵書院)
조선 숙종(肅宗) 때 경상도 고령(高靈)에 건립한 서원. 1711년(숙종 37)에 지방유림의 공의로 신덕린(申德隣)ㆍ박은(朴誾)ㆍ정사현(鄭師賢)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하여 창건하여 위패를 봉안함.
171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고령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영영(嬴榮) - 환공(桓公)@춘추전국(秦)
중국 춘추전국시대 진(秦) 나라의 제후. 재위 B.C.603~B.C.577. 진(晉) 나라 여공(厲公)과 함께 동맹을 맺었으나, 뒤에 동맹을 어기고 진 나라를 공격하였다가 패함.
?~B.C.577.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왕실>제후
-
영왕(潁王) - 무종(武宗)@당
중국 당(唐) 나라의 제15대 황제. 재위 840~846. 목종(穆宗)의 다섯째 아들이며 문종(文宗)의 동생. 도교(道敎)를 신봉해 불교ㆍ경교(景敎)ㆍ마니교(摩尼敎) 등을 탄압함.
814~846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영왕(瀛王) - 풍도(馮道)
중국 당(唐)~오대십국(五代十國) 때의 문신ㆍ학자. 유교경전(儒敎經典)을 최초로 조판ㆍ인쇄하는 등 대학자로 존경받았으나, 다섯 왕조에서 열한 명의 황제를 모셨다 하여 충절을 의심받기도 함.
882~954 중국>오대십국ㅣ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왕(甯王) - 영왕(寧王)
중국 당(唐) 나라 제6대 현종(玄宗)의 형. 처음에 황태자(皇太子)가 되었다가 뒤에 영(寧) 땅의 왕(王)으로 봉해짐. 아들은 ‘주중팔선인(酒中八仙人)’ 중의 한 사람으로 알려진 이진(李璡).
?~741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왕실>왕자
-
영왕(寧王) - 무왕(武王)@주
중국 주(周) 나라의 제1대 왕. 재위 B.C.1046~ B.C.1043. 목야(牧野)에서 은(殷) 나라 주왕(紂王)의 대군을 격파하여 은 나라를 멸망시키고 주 나라를 창건함.
중국>주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영우(永祐)@이영우 - 이영우(李永祐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경주(慶州). 별시위(別侍衛)를 지낸 이귀(李龜)의 아들로, 1513년(중종 8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나주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우(永祐) - 조하(趙嘏)
중국 당(唐) 무종(武宗)~선종(宣宗) 때의 문신ㆍ시인. 842년(무종 2) 진사에 에 오르고 선종 때 위남위(渭南尉)에 이름. “장적일성인의루(長笛一聲人倚樓)”라는 시구로 유명해짐.
중국>당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운(靈運) - 사영운(謝靈運)
중국 남북조시대 송(宋) 나라의 문신ㆍ시인. 사현(謝玄)의 손자로, 영가 태수(永嘉太守)를 지냈으나 파쟁(派爭)으로 인하여 유배 중에 처형됨. 자연을 노래한 산수시인(山水詩人)으로 높이 평가받음.
385~433 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원(伶元) - 영현(伶玄)
중국 전한(前漢)의 문신ㆍ문인. 회남상(淮南相) 등을 지냈으며, 첩인 번통덕(樊通德)에게 성제(成帝)의 황후인 비연(飛燕)의 자매(姉妹)에 대한 고사를 듣고 《비연외전(飛燕外傳)》을 지음.
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원(永元) - 이영원(李永元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인. 읍취헌(挹翠軒) 박은(朴誾)의 문객(門客)으로, 전서(篆書)ㆍ예서(隸書)ㆍ팔분서(八分書)에 능하고 시(詩)를 좋아하였으며, 《송명파수집(松明破睡集)》을 편찬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
-
영원(永源) - 최영원(崔永源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영암(靈巖). 영암 군수(靈巖郡守)를 지낸 최형한(崔亨漢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영암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원(永源)@신영원 - 신영원(申永源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. 임진왜란 때 전주 부윤(全州府尹)을 지낸 신담(申湛)의 아버지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원군(永原君)@문극 - 문극(文▼(亻+克))
고려 전기의 문신. 본관은 남평(南平). 문다성(文多省)의 아들로, 문하좌시중(門下左侍中) 등을 지냄.
한국>고려전기 , 전라도>남평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원군(永原君) - 정몽주(鄭夢周)
고려 공민왕(恭愍王)~공양왕(恭讓王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영일(迎日). 오부학당(五部學堂)ㆍ향교를 세워 교육 진흥을 꾀하고 유학을 진흥하여 성리학의 기초를 닦음. 친원(親元) 정책에 반대하고 끝까지 고려를 지키고자 함.
1337~1392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영천(永川)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원군(永原君)@이덕수 - 이덕수(李德壽)
조선 후기의 종친. 부안군(扶安君) 이석수(李碩壽)와 함께 임진왜란 때 훼손된 선릉(宣陵)ㆍ정릉(靖陵)을 봉심(奉審)하는 데 참여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