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원군(靈源君) - 이풍(李灃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맏아들로, 후사가 없어 아우인 부림군(富林君) 이식(李湜)의 둘째 아들 도안군(道安君) 이철(李轍)로 계대(繼代)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원군(寧原君)@홍가신 - 홍가신(洪可臣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남양(南陽). 민순(閔純)의 문인으로, 이몽학(李夢鶴)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청난공신(淸亂功臣)에 책록됨. 이기일원론(理氣一元論)에 입각하여 노장(老莊)ㆍ불교(佛敎)를 비판함.
1541~1615 한국>조선후기 , 경기도>남양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원군(寧原君) - 이풍(李灃)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맏아들로, 후사가 없어 아우인 부림군(富林君) 이식(李湜)의 둘째 아들 도안군(道安君) 이철(李轍)로 계대(繼代)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원군개국백(鈴原郡開國伯) - 윤관(尹瓘)
고려 문종(文宗)~예종(睿宗) 때의 문신ㆍ무신. 별무반(別武班)을 창설하고 예종 때 구성(九城)을 쌓아 침범하는 여진(女眞)을 평정한 공으로 공신(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문하시중(門下侍中) 등을 지냄.
?~1111 한국>고려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원부원군(鈴原府院君) - 윤호(尹壕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 윤삼산(尹三山)의 아들이며, 판중추부사(判中樞府事) 윤탕로(尹湯老)와 성종비 정현왕후(貞顯王后)의 아버지로, 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냄.
1424~149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원부정(寧原副正) - 이구(李耈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여덟 번째 서자인 이성군(利城君) 이관(李慣)의 손자이자, 경양도정(景陽都正) 이수환(李壽環)의 첫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원산성(翎原山城) - 영원산성(領原山城)
신라시대 강원도 원주(原州) 치악산(雉岳山)에 쌓은 산성(山城). 거란의 침입 때 향공진사(鄕貢進士) 원충갑(元沖甲)이 이 성곽을 지켰으며, 임진왜란 때 원주 목사(原州牧使) 김제갑(金悌甲)이 이곳에서 순절함.
한국>신라 , 강원도>원주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영원산성(鈴原山城) - 영원산성(領原山城)
신라시대 강원도 원주(原州) 치악산(雉岳山)에 쌓은 산성(山城). 거란의 침입 때 향공진사(鄕貢進士) 원충갑(元沖甲)이 이 성곽을 지켰으며, 임진왜란 때 원주 목사(原州牧使) 김제갑(金悌甲)이 이곳에서 순절함.
한국>신라 , 강원도>원주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영원산성(靈原山城) - 영원산성(領原山城)
신라시대 강원도 원주(原州) 치악산(雉岳山)에 쌓은 산성(山城). 거란의 침입 때 향공진사(鄕貢進士) 원충갑(元沖甲)이 이 성곽을 지켰으며, 임진왜란 때 원주 목사(原州牧使) 김제갑(金悌甲)이 이곳에서 순절함.
한국>신라 , 강원도>원주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영원수(永原守) - 이덕수(李德壽)
조선 후기의 종친. 부안군(扶安君) 이석수(李碩壽)와 함께 임진왜란 때 훼손된 선릉(宣陵)ㆍ정릉(靖陵)을 봉심(奉審)하는 데 참여함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월군(寧越君) - 신윤문(辛允文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영월(寧越). 관찰사(觀察使) 신영손(辛永孫)의 손자로 용강 현령(龍岡縣令) 등을 역임하였으며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한 공으로 정국공신(靖國功臣)에 책록됨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영월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월당(迎月堂) - 경춘당(景春堂)
통일신라 선덕왕(宣德王) 때 경상도 경주(慶州)에 건립된 사찰건물. 당(唐) 나라 첨의사(僉議使) 백우경(白宇經)이 망명하여 경주에 와서 건물을 짓고 영월당(迎月堂)이라고 하였는데, 선덕왕(宣德王)이 경춘당(景春堂)으로 고침.
780 한국>통일신라 , 경상도>경주 , 유적>건물>사찰
-
영위(令威) - 허원(許遠)
중국 당(唐) 나라 현종(玄宗) 때의 충신. 장순(張巡)ㆍ안고경(顔杲卿) 등과 함께 안녹산(安祿山)의 난을 진압하다가 모두 죽임을 당함.
709~757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위(令威)@정영위 - 정영위(丁令威)
중국 한(漢) 나라 때의 도사(道士). 요동(遼東) 사람으로 영허산(靈虛山)에서 도(道)를 닦아 신선(神仙)이 되고 천년 뒤 학(鶴)이 되어 돌아와 화표주(華表柱)에 앉았다고 함.
중국 , 인명>기타인명>도사
-
영유(寗兪) - 영유(甯兪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위(衛) 나라 성공(成公) 때의 대부. 나라에 도(道)가 있을 때는 지혜롭게 행동하고, 나라가 무도할 때는 어리석게 행동하여 공자(孔子)의 칭송을 받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영유(永濡) - 김영유(金永濡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경주(慶州). 십청헌(十淸軒) 김세필(金世弼)의 조부로, 대사헌(大司憲)ㆍ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역임함.
1418~149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경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윤(永潤) - 박영윤(朴永潤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죽산(竹山). 선산 부사(善山府使) 박찬(朴璨)의 아들로, 이산 군수(理山郡守)ㆍ서산 군수(瑞山郡守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죽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윤(英胤) - 이영윤(李英胤)
조선 전기의 종친ㆍ화가. 청성군(靑城君) 이걸(李傑)의 셋째 아들이며, 이경윤(李慶胤)ㆍ이중윤(李仲胤)의 아우. 그림을 잘 그리고, 특히 영모(翎毛)ㆍ화조(花鳥)ㆍ말 그림에 뛰어남.
1561~1611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종친
-
영은(永垠) - 이영은(李永垠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한산(韓山)으로, 이효문(李孝文)의 아버지. 1456년(세조 2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좌부승지(左副承旨)ㆍ형조 참판(刑曹參判) 등을 지냄. 성종의 즉위를 도운 공으로 좌리공신(佐理功臣)에 책록됨.
1434~147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은군(靈恩君) - 이함(李涵)
조선 후기의 종친ㆍ서화가. 본관은 전주(全州). 능원대군(陵原大君) 이보(李俌)의 아들로, 가야금과 그림에 능통하였으며, 조속(趙涑)의 화풍을 이어받음. 〈쌍작도(雙鵲圖)〉ㆍ〈해암응립도(海巖鷹立圖)〉ㆍ〈과전초충도(瓜田草蟲圖)〉 등의 작품이 있음.
1633~?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왕실>종친