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절(英節) - 정예(鄭藝)
고려 전기의 문신. 벽상삼한공신 광록대부 문하시중평장사(壁上三韓功臣光祿大夫門下侍中平章事)에 봉해진 고려의 개국공신으로, 진주정씨(晉州鄭氏) 충장공파(忠莊公派)의 시조가 됨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정(嬴政) - 시황(始皇)
중국 진(秦) 나라의 황제. 재위 B.C.246~B.C.210.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(始皇帝)라 칭함.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. 분서갱유(焚書坑儒) 등으로 위세를 떨침.
B.C.259~B.C.210 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
-
영정(榮靖) - 인종(仁宗)@조선
조선 제12대 왕. 재위 1544~1545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희생된 조광조(趙光祖)ㆍ김정(金淨)ㆍ기준(奇遵) 등을 신원(伸寃)하고 현량과(賢良科)를 부활시킴.
1515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영정(永定) - 풍기(豊基)
경상도 북단에 위치한 고을 이름. 1451년(문종 1) 기천(基川)과 은풍(殷豊)을 합하여 신설함.
경상도>풍기 , 지명>행정지명
-
영정(永貞)@김영정 - 김영정(金永貞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낸 김영견(金永堅)의 동생. 여러 번 명(明) 나라로 사신갔으며,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역임하였음.
1437~150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김해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정사(靈井寺) - 표충사(表忠寺)
신라 때 원효(元曉)가 경상도 밀양(密陽)에 건립한 사찰. 흥덕왕(興德王) 때 황면(黃面)이 재건하여 영정사(靈井寺)라 개칭하고, 조선 정조(正祖) 때 표충사(表忠祠)를 돌본 이후 표충사(表忠寺)라 불림.
한국>신라 , 경상도>밀양 , 유적>건물>사찰
-
영정산인(永貞山人) - 영정(永貞)
조선 전기의 승려. 백담(栢潭) 구봉령(具鳳齡)이 퇴계(退溪) 이황(李滉)의 묘필(妙筆)을 이어 받은 것으로 평가함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종교인>승려
-
영정수(永貞守) - 이복중(李福重)
조선 전기의 종친. 도개부정(道開副正) 이효장(李孝長)의 아들로, 중종(中宗) 때 삼정승(三政丞)을 암살하고 중종을 폐위한 후 완원군(完原君) 이수(李𢢝)를 옹립하려 하였다는 혐의를 받아 체포된 후 유배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정왕(榮靖王) - 인종(仁宗)@조선
조선 제12대 왕. 재위 1544~1545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희생된 조광조(趙光祖)ㆍ김정(金淨)ㆍ기준(奇遵) 등을 신원(伸寃)하고 현량과(賢良科)를 부활시킴.
1515~1545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영정왕비박씨(榮靖王妃朴氏) - 인성왕후(仁聖王后)
조선 제12대 인종(仁宗)의 정비(正妃). 1524년(중종 19)에 세자빈(世子嬪)에 책봉되고, 인종(仁宗)이 즉위하자 왕비가 됨.
1514~157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비
-
영제(英濟) - 손영제(孫英濟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많은 사재를 희사하여 도산서원(陶山書院) 건립에 크게 이바지함. 저서로 《추천집(鄒川集)》이 있음.
1521~158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밀양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제(寧堤) - 이석령(李錫齡)
조선 전기의 종친. 덕흥대원군(德興大院君) 이초(李岹)의 맏아들인 하원군(河原君) 이정(李鋥)의 아들이며. 선조(宣祖)의 조카로, 중부(仲父)인 하릉군(河陵君) 이린(李麟)의 후사가 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제(寧堤) - 남양(南陽)
경기도 수원(水原)과 화성(華城) 일대의 옛 고을 이름. 조선 전기에 경기수군절도사영(京畿水軍節度使營)이 화량진(花梁鎭)에 설치되어 경기도 해안 방어의 중심지 역할을 함.
경기도>남양 , 지명>행정지명
-
영제교(永濟橋) - 어양교(漁陽橋)
중국 계주(薊州)에 있는 다리 이름. 당(唐) 나라의 안녹산(安祿山)과 양귀비(楊貴妃)의 형상을 새겼다고 전하며, 연행(燕行)하는 조선 사신들이 반드시 거쳐 가는 장소임.
중국>당 , 중국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영제정(寧堤正) - 이석령(李錫齡)
조선 전기의 종친. 덕흥대원군(德興大院君) 이초(李岹)의 맏아들인 하원군(河原君) 이정(李鋥)의 아들이며. 선조(宣祖)의 조카로, 중부(仲父)인 하릉군(河陵君) 이린(李麟)의 후사가 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제현(靈蹄縣) - 인산진(麟山鎭)
평안도 의주(義州)에 있는 석성(石城). 본래 인주(麟州)였으나 고려 고종(高宗) 때 반란이 일어나 인산(麟山)으로 강등되고, 조선 세종(世宗) 때 진(鎭)이 설치되었으며, 선조(宣祖) 때 이제신(李濟臣)이 이곳에 유배됨.
평안도>의주 , 유적>시설>성,진,책
-
영조(榮祖) - 김영조(金榮祖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豊山). 산음 현감(山陰縣監) 김대현(金大賢)의 아들이며 김성일(金誠一)의 사위로, 부제학(副提學)ㆍ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냈음.
1577~164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조대왕(英祖大王) - 영조(英祖)
조선 제21대 왕. 재위 1724~1776.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(蕩平策)과 균역법(均役法)을 추진하고,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.
1694~177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영조문(迎詔門) - 영은문(迎恩門)
조선 중종(中宗) 때 중국 사신을 맞아들이던 모화관(慕華館) 앞에 건립한 문. 본래 이름은 영조문(迎詔門)이었는데 명 나라 사신 설정총(薛廷寵)에 의해 영은문(迎恩門)으로 개칭되었고, 뒤에 서재필(徐載弼) 등이 이 자리에 독립문(獨立門)을 세움.
153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유적>시설>기타시설
-
영종(英宗) - 영조(英祖)
조선 제21대 왕. 재위 1724~1776.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(蕩平策)과 균역법(均役法)을 추진하고,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.
1694~177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