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종(英宗)@왕창 - 왕창(王淐)
고려 제23대 고종(高宗)의 아들. 원종(元宗)의 동모제(同母弟)로 1269년(원종 10) 임연(林衍) 등에 의해 즉위하였으나, 몽고의 압력으로 곧 폐위되고 원종이 복위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왕자
-
영종대왕(英宗大王) - 영조(英祖)
조선 제21대 왕. 재위 1724~1776. 재위 기간 중에 탕평책(蕩平策)과 균역법(均役法)을 추진하고,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여 실학을 장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김.
1694~1776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국왕
-
영종선인성렬고황후(英宗宣仁聖烈高王后) - 선인황후(宣仁皇后)
중국 송(宋) 나라 제5대 황제 영종(英宗)의 황후. 신종(神宗) 때에 황태후가 되었고, 철종(哲宗) 때에 태황태후가 되어서 조정의 실권을 장악하여 사마광(司馬光)을 재상으로 삼고 왕안석(王安石)을 배척하는 정책을 폄.
1032~1093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왕비
-
영주(榮州) - 영천(榮川)@경상도
경상도 북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동쪽으로 안동(安東), 서쪽으로 풍기(豐基)와 접해 있음. 현재는 영주시(榮州市)에 속함.
경상도>영천(榮川) , 지명>행정지명
-
영주(永州) - 영천(永川)@경상도
경상도 남동부에 있는 지명. 동쪽으로 경주(慶州), 서쪽으로 대구(大丘)와 접함. 진산(鎭山)으로 모자산(母子山)이 있고, 사찰로 운부사(雲浮寺) 등이 있음.
경상도>영천(永川) , 지명>행정지명
-
영주(瀛州)@강릉 - 강릉(江陵)
강원도의 태백산맥(太白山脈) 동쪽에 있는 고을 이름.
강원도>강릉 , 지명>행정지명
-
영주(瀛州) - 변산(邊山)
전라북도 부안(扶安)에 있는 산 이름.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(八景)의 하나로 꼽혀왔으며,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.
전라도>부안 , 지명>자연지명
-
영주(瀛州)@고부 - 고부(古阜)
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동학농민운동(東學農民運動)의 시발지. 동쪽으로 태인(泰仁), 남쪽으로 흥덕(興德), 북쪽으로 부안(扶安)과 접해 있던 지역.
전라도>고부 , 지명>행정지명
-
영주(瀛洲)@홍문관 - 홍문관(弘文館)
조선 세조(世祖) 때 설치한 궁중의 경서(經書)ㆍ사적(史籍)의 관리, 문한(文翰)의 처리 및 왕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맡아보던 관청. 사헌부(司憲府)ㆍ사간원(司諫院)과 함께 삼사(三司)라고 불림.
1463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법제>관청
-
영주(瀛洲) - 고부(古阜)
전라북도 남서부에 있는 고을 이름. 동학농민운동(東學農民運動)의 시발지. 동쪽으로 태인(泰仁), 남쪽으로 흥덕(興德), 북쪽으로 부안(扶安)과 접해 있던 지역.
전라도>고부 , 지명>행정지명
-
영주(瀛洲)@영주산 - 영주산(瀛洲山)
중국 고대 전설상의 신선이 산다는 산 이름. 삼신산(三神山) 중 하나이자, 오도(五島)의 하나.
고대 , 중국 , 지명>기타지명
-
영주(英奏) - 금영주(琴韺奏)
조선 후기의 유학. 권호문(權好文)의 문인(門人)으로, 유학 권중형(權重衡)과 함께 수학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주(靈珠) - 사리(舍利)
참된 불도(佛道)의 수행 결과로 생기는 구슬 모양의 유골. 양산(梁山) 통도사(通度寺)와 오대산(五臺山) 상원사(上院寺) 등에 석가(釋迦)의 진신사리(眞身舍利)가 봉안되어 있는 것으로 전해짐.
사상>현상>신체증상
-
영주(韺奏) - 금영주(琴韺奏)
조선 후기의 유학. 권호문(權好文)의 문인(門人)으로, 유학 권중형(權重衡)과 함께 수학함.
한국>조선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영주(寧州) - 천안(天安)
충청도 북동부에 있는 고을 이름. 조선시대 삼남대로(三南大路)의 분기점.
충청도>천안 , 지명>행정지명
-
영주군(瀛州君) - 유숙(柳潚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흥양(興陽). 예조 참의ㆍ대사간ㆍ부제학 등을 지냈으나, 인조반정(仁祖反正) 이후 계부(季父) 유몽인(柳夢寅)의 죄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가 풀려남. 고산(高山)의 삼현영당(三賢影堂)에 제향됨.
1564~1636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흥양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주산(瀛洲山)@변산 - 변산(邊山)
전라북도 부안(扶安)에 있는 산 이름. 뛰어난 경관을 이루고 있어 일찍이 한국 팔경(八景)의 하나로 꼽혀왔으며, 산이면서 바다와 직접 닿아 있는 것이 특징임.
전라도>부안 , 지명>자연지명
-
영주지(榮州志) - 영천지(榮川誌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인 학사(鶴沙) 김응조(金應祖)가 찬술한 경상도 영천(榮川)에 대한 지지(地誌)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문헌>서명
-
영주지(榮州誌) - 영천지(榮川誌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인 학사(鶴沙) 김응조(金應祖)가 찬술한 경상도 영천(榮川)에 대한 지지(地誌)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문헌>서명
-
영준(永俊) - 박영준(朴永俊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으로, 진위 현령(振威縣令)을 지낸 무숙(茂叔) 박조(朴稠)의 아들. 육조(六曹)의 판서(判書)를 번갈아 지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에 오름.
1510~1576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