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창군(永昌君)@왕유 - 왕유(王瑜)
고려 후기의 종친. 보성군(寶城君) 왕희(王熙)의 아들. 《목은고(牧隱藁)》의 〈양주통도사석가여래사리지기(梁州通度寺釋迦如來舍利之記)〉에 그와 관련한 기록이 남아 있음.
?~1369 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창군(永昌君)@권균 - 권균(權鈞)@조선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1491년(성종 22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내고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으로 책록됨.
1464~152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창권씨(永昌權氏) - 안동권씨(安東權氏)
고려 창업(創業)에 큰 공을 세운 태사공(太師公) 권행(權幸)을 시조로 하는 성씨. 원래 김알지(金閼智)의 후손인 김씨(金氏)였으나 권씨(權氏)로 사성(賜姓)됨.
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집단>성씨
-
영창부수(永昌副守) - 이연동(李連仝)
조선 전기의 종친. 본관은 전주(全州)로, 신곡수(薪谷守) 이부정(李富丁)의 아들이며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이억상(李億祥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창부원군(永昌府院君) - 권균(權鈞)@조선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1491년(성종 22) 별시(別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우의정(右議政) 등을 지내고, 중종반정(中宗反正)에 참여하여 정국공신(靖國功臣)으로 책록됨.
1464~152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창왕(永昌王) - 고앙(高昂)
중국 남북조시대(南北朝時代) 북제(北齊)의 무신.
중국>남북조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영창후(永昌侯) - 남옥(藍玉)
중국 명(明) 나라의 장수. 원(元) 순제(順帝)의 아들인 익왕(益王) 탈고사첩목아(脫古思帖木兒)를 공격하여 멸망시키고 양국공(凉國公)에 책봉되었으나, 모반죄로 처형됨.
?~13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무신
-
영처(嬰處) - 이덕무(李德懋)
조선 정조(正祖) 때의 실학자. 서얼 출신으로, 박제가(朴齊家)ㆍ유득공(柳得恭)ㆍ이서구(李書九) 등과 함께 《건연집(巾衍集)》이라는 사가시집(四家詩集)을 내어 문명을 떨침. 명(明)과 청(淸) 나라의 학문과 고증학적 방법론에 관심을 가져 실질적으로는 북학을 함.
1741~1793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전주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영척(寗戚) - 영척(甯戚)
중국 춘추전국시대 제(齊) 나라의 대부. 집이 가난하여 남의 소를 치다가 환공(桓公)이 지나간다는 소식을 듣고서 쇠뿔을 두드리며 자신의 시름을 노래하자, 환공이 불러서 대화한 후 뛰어난 식견에 기뻐하며 대부로 삼았다 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영천(潁川)@황패 - 황패(黃霸)
중국 전한(前漢) 무제(武帝)~선제(宣帝) 때의 문신. 영천 태수(潁川太守)로 나가 치민제일(治民第一)로 꼽힐 만큼 뛰어난 정사를 펼쳤고, 승상(丞相)의 지위에 오름.
?~B.C.51 중국>전한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천(靈川) - 고령(高靈)
경상북도 남서단에 있는 고을 이름. 대가야(大伽倻)의 옛 도읍지.
경상도>고령 , 지명>행정지명
-
영천경(永川卿) - 이정(李定)
조선 전기의 종친. 효령대군(孝寧大君)과 예성부부인(蘂城府夫人) 정씨(鄭氏)의 소생으로, 영천군(永川君)에 봉해짐. 시주(詩酒)를 즐겼고 산수화(山水畫)에 뛰어났음.
1422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천공(永川公) - 이정(李定)
조선 전기의 종친. 효령대군(孝寧大君)과 예성부부인(蘂城府夫人) 정씨(鄭氏)의 소생으로, 영천군(永川君)에 봉해짐. 시주(詩酒)를 즐겼고 산수화(山水畫)에 뛰어났음.
1422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천공자(永川公子) - 이정(李定)
조선 전기의 종친. 효령대군(孝寧大君)과 예성부부인(蘂城府夫人) 정씨(鄭氏)의 소생으로, 영천군(永川君)에 봉해짐. 시주(詩酒)를 즐겼고 산수화(山水畫)에 뛰어났음.
1422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천군(永川君)@이미수 - 이미수(李眉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열두 번째 아들인 무산군(茂山君) 이종(李悰)의 둘째 아들이고, 이귀수(李龜壽)의 아우이며 민유경(閔有慶)의 외할아버지. 영천군(永川君)에 봉해짐.
1509~157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천군(永川君) - 이정(李定)
조선 전기의 종친. 효령대군(孝寧大君)과 예성부부인(蘂城府夫人) 정씨(鄭氏)의 소생으로, 영천군(永川君)에 봉해짐. 시주(詩酒)를 즐겼고 산수화(山水畫)에 뛰어났음.
1422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천군(鈴川君) - 윤반(尹磻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영천부원군(鈴川府院君) 윤사로(尹師路)의 아들이며, 한명회(韓明澮)의 사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천군(鈴川君)@윤사로 - 윤사로(尹師路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세종의 부마로,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충훈부 당상(忠勳府堂上) 등을 지냄.
1423~146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천군(靈川君) - 이정(李侹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(景明君) 이침(李忱)의 손자이며 안남군(安南君) 이수련(李壽鍊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천군공(潁川郡公) - 한원길(韓元吉)
중국 송(宋) 나라의 문신. 화정(和靖) 윤돈(尹焞)의 문인(門人)으로, 일찍이 여조겸(呂祖謙)과 더불어 덕청(德淸)의 자상사(慈相寺)에서 강독하고 이부 상서(吏部尙書) 등을 지냄.
1118~1187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