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권몽참(權夢參)
조선 전기의 유학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과 교유했고 매화를 좋아하였는데, 권호문이 그가 매화를 얻은 것에 대해 축하하는 시가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몽태(權夢台)
조선 전기의 유학. 송암(松巖) 권호문(權好文)과 어릴 때 같은 마을에서 자랐으며, 권호문이 지은 만사(輓詞)가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전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문언(權文彦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규(權逵)의 아들.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문인(門人)으로 벼슬길에는 나아가지 않음. 병조 참의(兵曹參議)에 증직됨.
1530~159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문사>학자
-
권문연(權文淵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예천(醴泉). 권지(權祉)의 아들이며, 초간(草澗) 권문해(權文海)의 동생. 권문해가 먼저 죽은 동생을 애도하며 지은 시가 《초간집(草澗集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문임(權文任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규(權逵)의 아들이며,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문인(門人). 1576년(선조 9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성균관 권지(成均館權知)를 지냄.
1530~157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문저(權文著)
조선 전기의 유학. 안분당(安分堂) 권규(權逵)의 아들로, 훈도(訓導)를 지낸 작은아버지 권수(權遂)의 양자로 들어갔음. 남명(南冥) 조식(曺植)의 문인으로, 학덕이 뛰어나 화릉 참봉(和陵參奉)에 제수되었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음.
1526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문해(權文海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예천(醴泉). 이황(李滉)의 문인으로, 유성룡(柳成龍)ㆍ김성일(金誠一) 등과 교유하고, 《대동운부군옥(大東韻府群玉)》을 저술함.
1534~159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문현(權文顯)
조선 전기의 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규(權逵)의 아들이며, 이원(李源)의 사위. 조식(曺植)의 문인. 오건(吳健)에 대한 제문이 《덕계집(德溪集)》에 전함.
1524~157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단성 , 인명>문사>학자
-
권미수(權眉壽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선조(宣祖) 때 호군(護軍)을 지낸 권몽두(權夢斗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민수(權敏手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갑자사화(甲子士禍) 때 이조 좌랑으로서 직언을 하다가 영외(嶺外)에 유배되었으나,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나 대사헌(大司憲) 등을 지냄.
1466~151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박(權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공조 참의(工曹參議)를 지낸 권령(權齡)의 아들로, 음보(蔭補)로 도화서 별제(圖畫署別提)ㆍ상주 목사(尙州牧使) 등을 지냄.
1475~1547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반(權攀)
조선 세종(世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찬성(贊成) 권제(權踶)의 아들. 1453년(단종 1) 형 권람(權攬)과 함께 계유정난(癸酉靖難)에 가담하여 좌익공신(左翼功臣)에 책록되었으며, 형조 참판(刑曹參判)ㆍ개성 부윤(開城府尹) 등을 지냄.
1419~14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반(權盼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윤국형(尹國馨)의 문인(門人). 경상도 관찰사(慶尙道觀察使)가 되어 지방행정을 잘 다스려 길천군(吉川君)에 봉해졌으며, 형조 판서(刑曹判書) 등을 역임함.
1564~16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벌(權橃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예조 판서(禮曹判書)ㆍ우찬성(右贊成) 등을 지내고 위사공신(衛社功臣)에 올랐으나, 양재역 벽서사건(良才驛壁書事件)에 연루되어 삭주(朔州)로 유배된 뒤 죽음.
1478~154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봉화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벽(權擘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ㆍ문인. 시문(詩文)이 뛰어나 명(明) 나라에 오가는 외교 문서를 전담하고, 《중종실록(中宗實錄)》ㆍ《인종실록(仁宗實錄)》ㆍ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편찬에 참여함.
1520~1593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별(權鼈)
조선 후기의 학자. 본관은 예천(禮泉)으로, 사간(司諫)을 지낸 권문해(權文海)의 아들. 왕실의 사적(事蹟)과 인물열전(人物列傳)을 집대성한 《해동잡록(海東雜錄)》을 편술함.
1589~167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학자
-
권병기(權秉璣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낸 권보(權堡)의 아들. 서거정(徐居正)ㆍ성삼문(成三問) 등과 교유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보(權堡)
조선 태종(太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헌납(獻納)과 예조 참의(禮曹參議)를 지내고, 예조 참판(禮曹參判)에 추증됨.
?~141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보(權溥)
고려 충렬왕(忠烈王)~충목왕(忠穆王) 때의 문신ㆍ학자. 안향(安珦)의 문인. 국로(國老)로서 대원(對元) 관계의 어려운 정국을 해결하여 공신에 봉해졌고, 《사서집주(四書集註)》를 간행하여 성리학의 전파에 공헌함.
1262~1346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권복(權福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료(權憭)의 아들로, 수원 부사(水原府使)를 지냈으며, 김안국(金安國)ㆍ김정국(金正國)ㆍ김안로(金安老) 등과 교유함.
1478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