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천부원군(鈴川府院君) - 윤사로(尹師路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세종의 부마로,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충훈부 당상(忠勳府堂上) 등을 지냄.
1423~146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천부정(靈川副正) - 이정(李侹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경명군(景明君) 이침(李忱)의 손자이며 안남군(安南君) 이수련(李壽鍊)의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천수(靈川叟) - 신잠(申潛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파직되고 신사무옥(辛巳誣獄)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畵)에 모두 뛰어나 삼절(三絶)로 일컬어졌는데, 묵죽(墨竹)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.
1491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천신원(榮川新院) - 이산서원(伊山書院)
조선 선조(宣祖) 때 경상도 영주(榮州)에 건립한 서원. 이황(李滉)을 배향함.
157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영천(榮川)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영천위(鈴川尉) - 윤사로(尹師路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세종의 부마로, 세조의 즉위를 도와 좌익공신(佐翼功臣)에 책록되고, 충훈부 당상(忠勳府堂上) 등을 지냄.
1423~1463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천위(靈川尉) - 신의(申檥)
조선 중종(中宗)의 부마. 본관은 고령(高靈). 좌승지를 역임한 신수경(申秀涇)의 아들로, 문정왕후(文定王后)의 소생인 경현공주(敬顯公主)와 결혼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왕실>인척
-
영천자(靈川子) - 신잠(申潛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화가. 기묘사화(己卯士禍)로 파직되고 신사무옥(辛巳誣獄) 때 오랜 기간 유배되었음. 시(詩)ㆍ서(書)ㆍ화(畵)에 모두 뛰어나 삼절(三絶)로 일컬어졌는데, 묵죽(墨竹)에 특히 뛰어났다고 함.
1491~155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천정(永川正) - 이미수(李眉壽)
조선 전기의 종친. 성종(成宗)의 열두 번째 아들인 무산군(茂山君) 이종(李悰)의 둘째 아들이고, 이귀수(李龜壽)의 아우이며 민유경(閔有慶)의 외할아버지. 영천군(永川君)에 봉해짐.
1509~1572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종친
-
영천후(潁川侯) - 전손사(顓孫師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의 학자. 공자(孔子)의 제자로, 송(宋) 나라 이후 공문십철(孔門十哲)로 성묘(聖廟)에 종향(從享)됨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영철(永澈) - 신영철(申永澈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(申叔舟)의 손자로, 파주 목사(坡州牧使) 등을 역임함.
1471~152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청(永淸) - 변영청(邊永淸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원주(原州). 원주부원군(原州府院君) 변광(邊廣)의 아들로, 이황(李滉)의 문인. 남원 부사(南原府使)ㆍ대구 부사(大丘府使)ㆍ상의원 정(尙衣院正) 등을 지냄.
1516~158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초(詠初) - 윤효전(尹孝全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남원(南原)으로, 윤휴(尹鑴)의 아버지. 민순(閔純)ㆍ정구(鄭逑)의 문인으로, 서경덕(徐敬德)을 존숭하여 《화담집(花潭集)》 간행에 참여하고, 계축화옥(癸丑禍獄)에 가담하여 익사공신(翼社功臣)에 책록됨.
1563~1619 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축사(靈鷲寺) - 백담사(百潭寺)
신라 진덕여왕(眞德女王) 때 자장(慈藏)이 강원도(江原道) 인제(麟蹄) 설악산에 창건한 사찰. 처음 이름은 한계사(寒溪寺)였으나, 소실(燒失)과 중건(重建)의 반복으로 이름과 위치가 여러 번 바뀜. 1455년(세조 1)에 승려 재익(載益) 등이 옛 한계사 터의 윗쪽 20리 지점에 중건하고 백담사라고 개칭함.
647 한국>신라 , 강원도>인제 , 유적>건물>사찰
-
영춘(榮春) - 이영춘(李榮春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세종(世宗)의 다섯째 아들인 광평대군(廣平大君) 이여(李璵)의 5대손이며, 서부 주부(西部主簿) 이길(李洁)의 아들로, 음성 현감(陰城縣監) 등을 지냄.
1532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춘(靈春) - 영춘(靈椿)
장수(長壽)하는 나무의 이름. 《장자(莊子)》 〈소요유(逍遙遊)〉에 나오는 나무 이름으로, 8천 년 만에 봄이 되고 8천 년 만에 가을이 된다고 함.
중국 , 자연물>식물
-
영춘군(永春君) - 이인(李仁)@1465
조선 전기의 종친. 세종(世宗)의 아홉 번째 서자인 영해군(寧海君) 이당(李瑭)의 아들로, 연산군(燕山君) 때 아들인 이기(李祺)의 사건에 연좌되어 남해(南海)에 유배됨. 중종반정(中宗反正)으로 풀려나 복직되고 정국원종공신(靖國原從功臣)에 책록됨.
1465~150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왕실>종친
-
영충(永忠) - 박영충(朴永忠)
고려 우왕(禑王)~조선 태조(太祖) 때의 무신. 요동정벌(遼東征伐) 때 원수(元帥)로서 이성계(李成桂)의 우군(右軍)이 되어 출전하고 위화도회군(威化島回軍)을 지휘함. 조선 건국 후 개국공신(開國功臣)에 추록(追錄)됨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
-
영치암(詅癡菴) - 민창수(閔昌洙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여흥(驪興). 좌의정(左議政) 민진원(閔鎭遠)의 아들이며, 민형수(閔亨洙)ㆍ민통수(閔通洙)의 형. 1714(숙종 4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하였으며, 동몽교관(童蒙敎官)ㆍ세자익위사 부솔(世子翊衛司副率) 등을 지냄.
1685~1745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영칙(永則) - 강세응(姜世應)
조선 종종(中宗) 때 무신. 본관은 진주(晉州). 강서(姜瑞)와 강우(姜瑀)의 아버지로, 수의부위(修義副尉)를 지냄.
1475~154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령 , 인명>관인>무신
-
영태릉(永泰陵) - 철종(哲宗)@송
중국 송(宋) 나라 제7대 황제. 재위 1085~1100. 신종(神宗)의 여섯 번째 아들. 사마광(司馬光) 등 구당(舊黨)을 축출하고 장돈(章惇) 등을 중용하여 왕안석(王安石)의 변법(變法)을 다시 시행함.
1076~1100 중국>송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