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영호(永灝)@최영호 - 최영호(崔永灝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삭녕(朔寧). 세종(世宗) 때의 학자인 최항(崔恒)의 아들이며 중종(中宗) 때 사섬시 첨정(司贍寺僉正)을 지낸 최수진(崔秀珍)의 아버지로, 사옹원 정(司饔院正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삭녕 , 인명>관인>문신
-
영호(永灝) - 윤수천(尹壽泉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예천 군수(醴泉郡守)를 지낼 때 쾌빈루(快賓樓)를 중수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파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영홍(永洪) - 신영홍(申永洪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고령(高靈). 영의정을 지낸 신숙주(申叔舟)의 손자로, 추성정난공신(推誠定難功臣)에 책록되었으며 첨지사(僉知事) 등을 역임함.
1469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고령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영화(永化) - 양근(楊根)
경기도 중부 동쪽에 위치한 고을 이름. 현재는 경기도 양평군(楊平郡)에 속함.
경기도>양근 , 지명>행정지명
-
영화부수(永花副守) - 이정주(李呈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영정수(永定守) 이복중(李福重)의 아들로, 난역(亂逆) 혐의로 유배된 아버지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방면(放免)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화정(永和正) - 이정주(李呈珠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종친. 영정수(永定守) 이복중(李福重)의 아들로, 난역(亂逆) 혐의로 유배된 아버지의 억울함을 하소연하고 방면(放免)을 요청하였으나 실패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효(潁孝) - 영고숙(潁考叔)
중국 춘추전국시대(春秋戰國時代) 정(鄭) 나라의 효자ㆍ무신. 정(鄭) 장공(莊公)에게 받은 고기를 먹지 않고 모친에게 드림으로써 효도의 의미를 일깨워주었으며, 정백(鄭伯)의 무호기(蝥弧旗)를 들고 적군의 성벽에 먼저 올라가는 용맹을 보여줌.
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기타인명>효자ㅣ인명>관인>무신
-
영효사(影孝祠) - 물계서원(勿溪書院)@창녕
조선 영조(英祖) 때 경상도 창녕(昌寧)에 건립된 서원. 1712년(숙종 38) 성송국(成松國)의 사당을 세운 것이 시초로, 1729년(영조 5)에 서원으로 바꾸었으며, 성삼문(成三問)을 비롯한 창녕성씨(昌寧成氏) 중 역대 인물 21인을 배향함.
172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창녕 , 유적>건물>서원,향교
-
영후(永煦) - 김영후(金永煦)
고려 충숙왕(忠肅王)~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영돈(金永暾)의 동생. 충혜왕(忠惠王)이 원(元) 나라로 잡혀갈 때 호위함.
1292~1361 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영흥(永興)@영평 - 영평(永平)
경기도 북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. 현재는 경기도 포천시(抱川市)에 속함.
경기도>영평 , 지명>행정지명
-
영흥군(永興君) - 왕환(王環)
고려 후기의 종친. 신종(神宗)의 6대손으로, 보성군(寶城君) 왕희(王熙)의 아들이며 공양왕(恭讓王)의 종숙(從叔). 1371년(공민왕 20) 처남 신순(辛珣)의 일로 연좌되어 무릉도(武陵島)에 유배됨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영흥대군(永興大君) - 영응대군(永膺大君)
조선 제4대 세종(世宗)의 여덟째 아들. 본관은 전주(全州). 어머니는 소헌왕후(昭憲王后) 심씨(沈氏). 정충경(鄭忠敬)ㆍ송복원(宋復元)의 딸과 혼인하였으며, 《명황계감(明皇誡鑑)》의 가사를 한글로 번역하고, 글씨ㆍ그림ㆍ음률(音律)에 능함.
1434~146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왕자
-
영흥문의공(永興文懿公) - 우세남(虞世南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. 고야왕(顧野王)에게 수학하고, 왕희지(王羲之)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(歐陽詢)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렸으며, 특히 해서(楷書)에 뛰어남.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.
558~63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영흥백(永興伯) - 최한기(崔閑奇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영흥(永興). 조선 태조(太祖)의 외조부로, 태조 즉위 후 보조협찬좌리공신(補祚協贊佐理功臣)과 영흥부원군(永興府院君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영흥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흥부수(永興副守) - 이춘양(李春陽)
조선 전기의 종친. 정종(定宗)의 열 번째 서자인 덕천군(德川君) 이후생(李厚生)의 증손이며, 처인수(處仁守) 이성종(李盛終)의 첫째 아들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전주 , 인명>왕실>종친
-
영흥부원군(永興府院君) - 최한기(崔閑奇)
고려 후기의 무신. 본관은 영흥(永興). 조선 태조(太祖)의 외조부로, 태조 즉위 후 보조협찬좌리공신(補祚協贊佐理功臣)과 영흥부원군(永興府院君)에 추증됨.
한국>고려후기 , 함경도>영흥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무신ㅣ인명>왕실>인척
-
영흥현공(永興縣公) - 우세남(虞世南)
중국 당(唐) 나라 태종(太宗) 때의 문신ㆍ문인ㆍ서예가. 고야왕(顧野王)에게 수학하고, 왕희지(王羲之)의 서법을 익혀 구양순(歐陽詢) 등과 함께 당 나라 초기의 사대(四大) 서예가로 불렸으며, 특히 해서(楷書)에 뛰어남. 태종의 신임을 받아 자주 담론을 나눔.
558~638 중국>당 , 중국 , 인명>예술인>서화가ㅣ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관인>문신
-
영희(寗喜) - 영희(甯喜)
중국 춘추전국시대 위(衛) 나라의 대부. 상공(殤公)을 죽이고, 손임보(孫林父)와 아버지인 영식(甯殖)에 의해 축출된 헌공(獻公)을 복위시켰으나 후에 헌공(獻公)에게 살해됨.
?~B.C.546 중국>춘추전국시대 , 중국 , 인명>관인>경대부
-
영희(榮僖) - 남치원(南致元)
조선 성종(成宗)의 부마. 본관은 의령(宜寧). 성종(成宗)의 넷째 딸 경순옹주(慶順翁主)를 맞아들여 의성위(宜城尉)에 봉해졌음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왕실>인척
-
영희(永禧) - 신영희(辛永禧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학자. 본관은 영산(靈山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사마시(司馬試)에 합격했으나 직산(稷山)에 은둔하여 학문에 정진함.
1442~1511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직산ㅣ서울 , 인명>문사>학자