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권빈(權璸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조 정랑(吏曹正郞)ㆍ금산 군수(金山郡守)를 지냄.
1446~150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사복(權思復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정당문학(政堂文學) 백문보(白文寶)의 문인으로, 김구용(金九容)ㆍ이숭인(李崇仁)ㆍ이무방(李茂芳) 등과 동문(同門)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사빈(權士彬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충재(冲齋) 권벌(權橃)의 아버지로, 구봉령(具鳳齡)의 《백담집(栢潭集)》에 묘갈명(墓碣銘)이 실려 있음.
1449~1535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산해(權山海)
조선 세종(世宗)~세조(世祖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성삼문(成三問)ㆍ박팽년(朴彭年) 등이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참형되었다는 소식을 듣고 자결함.
?~1456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권상(權常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전생서 참봉(典牲署參奉) 권진(權振)의 아들로, 1528년(중종 23) 진사시(進士試)에 입격하여 선공감 정(繕工監正)ㆍ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를 지냄. 후에 영의정(領議政) 동흥부원군(東興府院君)에 추증됨.
1508~1589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상일(權相一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ㆍ학자.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ㆍ대사헌(大司憲) 등을 역임했으며, 이황(李滉)을 사숙하여 〈사칠설(四七說)〉을 지음.
1679~1759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권상하(權尙夏)
조선 현종(顯宗)~경종(景宗) 때의 학자ㆍ문신. 송시열(宋時烈)의 문인(門人)으로, 이이(李珥)를 조종(祖宗)으로 하여 송시열에게 계승된 기호학파(畿湖學派)를 이끎.
1641~1721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
-
권석순(權碩淳)
조선 성종(成宗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1474년(성종 5) 사마시(司馬試)에 입격했으며, 정수강(丁壽崗)의 《월헌집(月軒集)》에 송시(送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신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석충(權錫忠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선조(宣祖) 때의 문신인 권춘란(權春蘭)ㆍ권춘계(權春桂)의 아버지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선문(權善文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안주 교수(安州敎授) 권륙(權稑)의 아들이며 권호문(權好文)의 형으로, 《송암집(松巖集)》에 묘지명(墓誌銘)이 실려 있음.
1528~15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성(權省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권승(權昇)의 맏아들이며, 여주 목사(驪州牧使) 권현(權睍)의 형으로, 무과(武科)에 급제하여 결성(結城)과 부안(扶安) 두 고을의 현감(縣監)을 지냄.
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관인>무신
-
권성오(權省吾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경기전 참봉(慶基殿參奉) 권호신(權虎臣)의 아들로, 1612년(광해군 4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벼슬이 첨지중추부사(僉知中樞府事)에 이름. 저서로 《동암집(東巖集)》이 있음.
1587~167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권성익(權聖翊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. 이황(李滉)의 이기호발설(理氣互發說)을 중심으로 그 변화에 대한 의견을 밝힘.
1735~182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영해 , 인명>문사>학자
-
권세춘(權世春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사원종공신(寧社原從功臣)에 책록된 권도(權濤)의 아버지로, 사포서 별좌(司圃署別坐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소(權紹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대사헌(大司憲)을 지낸 권민수(權敏手)의 아들로, 숙부인 권달수(權達手)에게 출계(出系)함.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낸 권찬(權纘)의 동생으로, 안동 부사(安東府使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함창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수익(權受益)
조선 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중종(中宗) 때의 문신인 권운(權雲)의 아버지로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숙(權肅)
고려 후기~조선 전기의 문신. 왕후(王煦)의 손자이며 왕중귀(王重貴)의 아들. 양촌(陽村) 권근(權近)의 상주(上奏)로 복성(復姓)되었으며, 이조 참판(吏曹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ㅣ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순(權恂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의정 권철(權轍)의 아들. 파주(坡州)ㆍ여주(驪州)의 목사牧使) 등을 제수받았으나 나이가 많다는 이유로 체직되었고, 동지중추부사(同知中樞府事)에 이룸.
1536~1606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강화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숭례(權崇禮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개국원종공신(開國原從功臣)으로 책록된 권충(權衷)의 아들로, 예조 참판(禮曹參判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승(權昇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어모장군(禦侮將軍) 권확(權確)의 아들로, 임진왜란(壬辰倭亂) 때 가산을 털어 관군(官軍)을 도운 공으로 가선대부(嘉善大夫)의 품계를 받았으나, 변함없이 검소한 생활을 함.
1537~159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홍주 , 인명>문사>유학