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권시(權偲)
조선 태종(太宗)~세종(世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무안 현감(務安縣監)을 지낸 권열(權挒)의 아버지. 1411년(태종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이조 좌랑(吏曹佐郞)ㆍ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
1386~1450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시(權諰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예조 좌랑(禮曹佐郞)을 지낸 권득기(權得己)의 아들. 잠야(潛冶) 박지계(朴知誡)의 문하에서 수학하였으며, 송시열(宋時烈)과 같은 기호학파(畿湖學派)로서 예론(禮論)에 밝았음.
1604~1672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공주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권식(權寔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창(權應昌)의 아들. 1573년(선조 6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한 뒤 통례랑(通禮郞) 등을 지냄.
153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식(權遈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좌익공신(佐翼功臣)으로 책록된 권개(權愷)와 전라 감사(全羅監司)를 지낸 권제(權悌)의 아버지로, 호군(護軍)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권신(權愼)
조선 전기의 유학. 율곡(栗谷) 이이(李珥)가 청학산(靑鶴山)을 유람할 때 중도(中途)에서 만난 내용이 《율곡전서(栗谷全書)》에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권심(權深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. 영조(英祖) 때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를 지낸 권상일(權相一)의 아버지.
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심언(權審言)
조선 중종(中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의흥 현감(義興縣監)을 지낸 야옹(野翁) 권의(權檥)의 아들로, 음서(蔭敍)로 거창 현감(居昌縣監) 등을 지냈으며, 아버지의 학덕을 받들기 위해 예천(醴泉)에 야옹정(野翁亭)을 지음.
1502~1574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안(權晏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무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김굉필(金宏弼)ㆍ정여창(鄭汝昌)ㆍ남효온(南孝溫) 등과 함께 수학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권억(權憶)
조선 전기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중종(中宗) 때 좌승지(左承旨)를 지낸 권기(權祺)의 아버지로, 광흥창 수(廣興倉守)를 지내고 병조 참판(兵曹參判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연(權沇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인 권경유(權景裕)의 아들. 아버지와 함께 무오사화(戊午士禍)에 연루되어 사형당함.
?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문사>유학
-
권연(權讌)
조선 전기의 무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중종(中宗) 때의 유학 권진(權璡)의 아버지로 충의위 병절교위(忠義衛秉節校尉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무신
-
권열(權挒)
조선 세조(世祖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시(權偲)의 아들. 1465년(세조 11) 식년시(式年試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, 무안 현감(務安縣監)ㆍ사헌부 지평(司憲府持平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ㅣ경상도>신녕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엽(權燁)
조선 전기의 문신. 《백담집(栢潭集)》에 구봉령(具鳳齡)이 지은 만사(輓詞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영(權泳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유희춘(柳希春)과 교유했고, 관직은 중추부 경력(中樞府經歷) 등을 역임함.
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영(權詠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유학. 《미암집(眉巖集)》에 유희춘(柳希春)을 전별하는 자리에 참석한 내용이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옥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권예(權欚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권사빈(權士彬)의 아들이며 명종 때 원상(院相)을 지낸 권벌(權橃)의 동생. 어려서부터 질병이 많아 평생토록 벼슬하지 않음. 승사랑(承仕郞)에 이름.
1482~156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예(權輗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기묘사화(己卯士禍) 때 조광조(趙光祖) 일파 구원에 앞장섰고, 김안로(金安老)와 함께 복성군 옥사(福城君獄死)를 일으켜 심정(沈貞)ㆍ성세창(成世昌) 등을 파직ㆍ사사(賜死)시킴.
1495~1549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오기(權五紀)
조선 연산군(燕山君)~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.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동생 권오복(權五福)이 극형을 당하자 이에 연루되어 해남으로 유배됨.
1463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
-
권오륜(權五倫)
조선 세조(世祖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유학. 본관은 예천(醴泉). 무오사화(戊午士禍)로 처형된 권오복(權五福)의 동생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문사>유학
-
권오복(權五福)
조선 성종(成宗)~연산군(燕山君) 때의 문신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(門人)이라 하여 무오사화(戊午士禍) 때 김일손(金馹孫)ㆍ권경유(權景裕) 등과 함께 극형에 처해짐.
1467~149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천 , 인명>관인>문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