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시직(時稷) - 이시직(李時稷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연안(延安). 조호익(曺好益)ㆍ김장생(金長生)의 문인으로, 이괄(李适)의 난 때 인조를 공주(公州)까지 호종함. 병자호란 때 강화(江華)가 함락되자 송시영(宋時榮) 등과 함께 자결함.
1572~163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시진(市津) - 은진(恩津)
충청도 남동부에 있던 고을 이름. 금강유역에 있어 물자운송이 편리하여 농산물의 집산지이며, 강경산(江景山)․황화산(皇華山)에는 봉수(烽燧)가 있음.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(論山市)에 속함.
충청도>은진 , 지명>행정지명
-
시진(時珍) - 이시진(李時珍)
중국 명(明) 나라의 학자ㆍ의원. 《본초강목(本草綱目)》의 저자로, 의업(醫業)에 종사하는 한편, 약물의 기준서(基準書)를 집대성하는 일에 주력함.
1518~1593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기술인>의원ㅣ인명>문사>학자
-
시진송씨(市津宋氏) - 은진송씨(恩津宋氏)
고려 때 판원사(判院事)를 지내고 은진군(恩津君)에 봉해진 송대원(宋大原)을 시조로 하는 성씨.
한국>고려후기 , 충청도>은진 , 인명>집단>성씨
-
시집전명물초(詩集傳名物鈔) - 모시명물초(毛詩名物鈔)
중국 원(元) 나라 학자인 허겸(許謙)의 문집. 8권. 고의(古義)에 해박한 저자가 명물음훈(名物音訓)을 상고하여 저술한 것으로, 《모시(毛詩)》의 빠진 것을 보충할 수 있음.
중국>원 , 중국 , 문헌>서명
-
시찬(是瓚) - 김시찬(金是瓚)
조선 영조(英祖)~순조(純祖) 때의 학자. 본관은 광주(光州)로, 성균생원 김성익(金聖翼)의 아들. 학행으로 동몽교관(童蒙敎官)에 천거되고 그 후 봉사(奉事)ㆍ직장(直長) 등 여러 차례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사양함.
1754~1831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시창(始昌) - 김시창(金始昌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 유학ㆍ효자(孝子). 본관은 금산(金山). 김종직(金宗直)의 문인으로, 현량과(賢良科)에 피천(被薦)되었으나 나가지 않음.
1472~1558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금산 , 인명>문사>유학ㅣ인명>기타인명>효자
-
시천(詩川) - 이후원(李厚遠)
조선 숙종(肅宗) 때의 유학. 둔촌(遁村) 이집(李集)의 10대손으로, 이집(李集)의 문집 《둔촌잡영(遁村雜詠)》을 개간했음. 문집으로 《시천집(詩川集)》이 있음.
한국>조선후기 , 전라도>보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시촌(枾村) - 시전촌(枾田村)
충청도 온양(溫陽)에 있는 고을 이름. 아계(鵝溪) 이산해(李山海)가 1600년(선조 33)에 파면되고 물러나 거처하던 곳임.
충청도>온양 , 지명>행정지명
-
시촌거사(柿村居士) - 이산해(李山海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. 종계변무(宗系辨誣)의 공으로 광국공신(光國功臣)에 책록됨. 대북(大北)의 영수로, 건저문제(建儲問題)를 일으킨 정철(鄭澈)을 탄핵하고, 임진왜란 때 유배되었다가 복직된 뒤 영의정 등을 지냄.
1539~1609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한산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시침(時忱)@윤시침 - 윤시침(尹時忱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파평(坡平). 도사(都事)를 지내고, 사암(思菴) 박순(朴淳)과 교유함.
1539~?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시침(時忱) - 김시침(金時忱)
조선 인조(仁祖)~현종(顯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풍산(豐山). 잠암(潛庵) 김의정(金義貞)의 현손(玄孫)으로, 서빙고 별제(西氷庫別提)에 제수됨.
1600~1670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시편(詩篇) - 시경(詩經)
유교 경전(儒敎經典)인 오경(五經)의 하나로,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시집(詩集). 춘추시대(春秋時代)의 민요를 중심으로 305편을 수록하였음.
중국 , 문헌>서명
-
시하(時夏) - 이시하(李時夏)
조선 후기의 유학. 본관은 전의(全義). 쌍계(雙溪) 이재(李梓)의 아들이며, 병조 정랑(兵曹正郞) 최석우(崔錫祐)의 사위로, 젊은 나이에 요절함.
1651~?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전의 , 인명>문사>유학
-
시행(始行) - 박시행(朴始行)
조선 예종(睿宗)~성종(成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박중신(朴中信)의 아들이고, 병조 좌랑(兵曹佐郞)을 지낸 박공달(朴公達)의 아버지로, 장악원 정(掌樂院正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시행(時行) - 신시행(申時行)
중국 명(明) 세종(世宗)~신종(神宗) 때의 문신. 이부 상서(吏部尙書)ㆍ건극전 대학사(建極殿大學士) 등을 지냈음. 문장에 뛰어났으며, 저서에는 《사한당집(賜閑堂集)》이 있음.
1535~1614 중국>명 , 중국 , 인명>관인>문신
-
시형(始亨) - 박시형(朴始亨)
조선 세조(世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. 1459년(세조 5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하였으며, 승지(承旨)를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시형(時亨) - 엄세보(嚴世父)
중국 송(宋) 나라 때의 학자. 주희(朱熹)의 문인(門人).
중국>송 , 중국 , 인명>문사>학자
-
시환(始煥) - 김시환(金始煥)
조선 숙종(肅宗)~영조(英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강릉(江陵)으로, 이조 판서(吏曹判書) 김상성(金尙星)의 아버지. 예조 판서(禮曹判書) 등을 지냄.
1661~1739 한국>조선후기 , 강원도>강릉 , 인명>관인>문신
-
시황제(始皇帝) - 시황(始皇)
중국 진(秦) 나라의 황제. 재위 B.C.246~B.C.210. 기원전 221년에 중국을 통일하고 스스로 시황제(始皇帝)라 칭함. 중앙집권을 확립하고 도량형ㆍ화폐를 통일하였으며 만리장성을 증축함. 분서갱유(焚書坑儒) 등으로 위세를 떨침.
B.C.259~B.C.210 중국>진 , 중국 , 인명>왕실>국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