“전체” 에 대한 검색결과 (총 52,762건)
전체(52,762건)
-
시회(時晦)@윤흔 - 윤흔(尹昕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해평(海平)으로, 윤두수(尹斗壽)의 둘째 아들이며 성혼(成渾)의 문인. 이괄(李适)의 난(亂)ㆍ정묘호란(丁卯胡亂)ㆍ병자호란(丙子胡亂) 때 왕을 호종하고, 지중추부사(知中樞府事) 등을 지냄.
1564~1638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선산 , 인명>관인>문신
-
시회(時晦)@김시회 - 김시회(金時晦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. 헌납(獻納) 김충갑(金忠甲)의 아들로, 《명종실록(明宗實錄)》 편찬에 참여했으며, 부평 부사(富平府使)를 지냄.
1542~1581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시회(時晦)@정엽 - 정엽(鄭曄)
조선 선조(宣祖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. 성혼(成渾)ㆍ이이(李珥)의 문인. 황주 판관(黃州判官)으로서 왜군을 격퇴한 공으로 중화 부사(中和府使)가 됨. 대사성(大司成)으로서 타직(他職)을 겸하는 예가 정엽으로부터 비롯됨.
1563~1625 한국>조선후기 , 경상도>초계 , 인명>관인>문신
-
시회(時晦) - 신광한(申光漢)
조선 중종(中宗)~명종(明宗) 때의 문신. 대제학을 지낸 당대의 문장가. 을사사화(乙巳士禍) 때 위사공신(衛社功臣)이 되고, 우찬성(右贊成)으로 양관(兩館) 대제학을 겸했으며, 좌찬성(左贊成)을 지냄.
1484~1555 한국>조선전기 , 경기도>여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시흥백(始興伯) - 왕필(王佖)
고려 후기의 종친. 이규보(二奎報)의 《동국이상국집(東國李相國集)》에 〈시흥백필위회안공(始興伯佖爲淮安公)〉이 있음.
한국>고려후기 , 경기도>개성 , 인명>왕실>종친
-
식(埴) - 이식(李埴)
조선 연산군(燕山君) 때의 학자. 본관은 진보(眞寶). 이계양(李繼陽)의 아들이며, 퇴계 이황(李滉)의 아버지로, 아우인 이우(李堣)와 함께 학문 연구에 정진함.
1463~1502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예안 , 인명>문사>학자
-
식(寔) - 권식(權寔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안동(安東)으로, 동지중추부사를 지낸 권응창(權應昌)의 아들. 1573년(선조 6) 식년시(式年試)에 급제한 뒤 통례랑(通禮郞) 등을 지냄.
1535~? 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안동 , 인명>관인>문신
-
식(拭) - 이식(李拭)
조선 명종(明宗)~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전주(全州). 이승상(李承常)의 아들로, 이조 참판(吏曹參判) 등을 지냄. 동서분당(東西分黨)이 일어나자 정희적(鄭熙績) 등과 함께 서인(西人)의 등용을 막으려다 체직됨.
1510~1587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관인>문신
-
식(栻) - 신식(申栻)
조선 명종(明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고령(高靈). 내자시 첨정(內資寺僉正)을 지낸 신여량(申汝樑)의 아들로, 1555년(명종 10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우계(牛溪) 성혼(成渾)의 손윗동서.
1528~? 한국>조선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유학
-
식(植)@유식 - 유식(柳植)
조선 전기의 유학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집(河西集)》에, 그가 술그릇과 화분을 보내준 데 대해 사례하는 시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인명>문사>유학
-
식(植) - 이식(李植)
조선 광해군(光海君)~인조(仁祖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덕수(德水). 인조반정 후 사헌부 집의(司憲府執義) 등을 지냄. 당대의 이름난 학자로서, 문장이 뛰어나 신흠(申欽)ㆍ이정귀(李廷龜)ㆍ장유(張維)와 함께 ‘한문사대가(漢文四大家)’로 불림.
1584~1647 한국>조선후기 , 서울ㅣ경기도>지평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식(植)@진식 - 진식(陳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문신. 본관은 부여(扶餘). 1506년(연산군 12) 문과(文科)에 급제하여 서산 군수(瑞山郡守)ㆍ의정부 사인(議政府舍人) 등을 지냄.
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부여 , 인명>관인>문신
-
식(植)@임식 - 임식(林植)
조선 선조(宣祖) 때의 문신. 본관은 평택(平澤). 홍문관 교리(弘文館敎理) 등을 지냈으나 모함을 받아 파직된 뒤에는 고향인 충청도 결성(結城)으로 낙향하여 부해정(浮海亭)이라는 정자에 은거하며 지냄.
1539~1589 한국>조선전기 , 충청도>결성 , 인명>관인>문신
-
식(植)@박식 - 박식(朴植)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유학. 본관은 상주(尙州). 박중원(朴仲元)의 아들로, 1528(중종 23) 생원시(生員試)에 입격함. 김인후(金麟厚)의 《하서전집(河西全集)》에 별시(别詩)와 화답시(和答詩)가 실려 있음.
한국>조선전기 , 경상도>의성 , 인명>문사>유학
-
식(湜)@신식 - 신식(申湜)
조선 선조(宣祖)~광해군(光海君) 때의 문신ㆍ학자. 본관은 고령(高靈). 이황(李滉)ㆍ성운(成運)의 문인으로 대사헌(大司憲)을 지냄. 학식이 높고, 예악(禮樂)에도 밝았으나, 정여립(鄭汝立)의 일파라는 탄핵을 받아 곤양(昆陽)에 유배됨.
1551~1623 한국>조선후기 , 충청도>청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식(湜) - 이식(李湜)
조선 전기의 종친ㆍ시인. 세종(世宗)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(桂陽君) 이증(李璔)의 셋째 아들로, 시(詩)에 능하여 많은 작품을 남김.
1458~1488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문인ㅣ인명>왕실>종친
-
식(湜)@조선 - 김식(金湜)@조선
조선 중종(中宗) 때의 학자ㆍ문신. 본관은 청풍(淸風). 현량과(賢良科)에 장원 급제하고, 기묘팔현(己卯八賢)의 한 사람으로 조광조(趙光祖)와 함께 개혁정치를 펼쳤으나, 기묘사화와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고초를 겪다가 자결함. 선조(宣祖) 때 영의정에 추증됨.
1482~1520 한국>조선전기 , 서울 , 인명>문사>학자ㅣ인명>관인>문신
-
식(湜)@하식 - 하식(河湜)
고려 공민왕(恭愍王) 때의 문신. 하륜(河崙)의 증조부로, 선관서 승(膳官署承)을 역임하였으며, 사후에 보조공신(補祚功臣)에 추록되고, 진강군(晉康君)에 봉해짐.
한국>고려후기 , 경상도>진주 , 인명>기타인명>공신ㅣ인명>관인>문신
-
식(湜)@고려 - 김식(金湜)@고려
고려 전기의 문신. 상산김씨(商山金氏)의 시조인 김수(金需)의 손자. 찬성사(贊成事) 김희일(金希逸)의 아버지로, 시중(侍中) 등을 지냄.
990~? 한국>고려전기 , 경상도>상주 , 인명>관인>문신
-
식(湜)@윤식 - 윤식(尹湜)
조선 전기의 유학. 본관은 남원(南原). 윤시영(尹時英)의 아들로 윤시호(尹時豪)에게 출계함. 윤자신(尹自新)의 아버지. 당제(堂弟)인 윤결(尹潔)이 화를 입자 은둔하였으며, 죽은 후 영의정(領議政) 용은부원군(龍恩府院君)에 추증됨.
한국>조선전기 , 전라도>남원 , 인명>문사>유학